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first detection of African swine fever (ASF)-infected wild boar in October 2019, the ASF virus has been circulating among wild boa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riority for ASF control is to understand the epidemic situation correctly. The basic reproduction number (R0) can be used to describe the contagious disease epidemic situation since it can assess the contagiousness of infectious agents by presenting the average number of new cases generated by an infected case. The current study estimated R0 for the 2019/20 ASF epidemics in wild boar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reported number of ASF cases and a serial interval of the ASF virus. The estimated mean R0 was 2.10 (range: 0.06 – 10.24) for the 2019/20 ASF epidemics, 2.94 (range: 0.43 – 9.89) for the 2019 ASF epidemics, and 2.00 (range: 0.06 – 11.10) for the 2020 ASF epidemics. In addition, the estimated mean R0 was 3.82 (range: 1.16 – 8.78) in winter, 1.39 (range: 0.16 – 6.30) in spring, 4.82 (range: 0.26 – 17.08) in summer, and 2.21 (range: 0.51 – 5.86) in fall. Even 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applied ASF control measures, including hunting or fencing, the ASF epidemic situation in wild boars has intensified. For ASF control in wild boars, tailor-made hunting, wild boar management, or active searching for carcass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ASF virus. For ASF prevention in domestic pigs, no contact between wild boars and domestic pigs and a biosecurity plan by veterinarians are needed to decrease the risk of ASF virus transmission from wild boars to domestic pigs.
        4,0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first detection of the African swine fever (ASF) viru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9, the Korean government has applied interventions, including fencing, increasing the biosecurity level at domestic pig farms, and the capture-and-removal of wild boars. In particular, wild boars ar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ASF control because they can spread disease among susceptible animals, such as wild boars or domestic pigs. A capture-and-removal method aims to reduce the likelihood of ASF transmission from wild boars to domestic boars or among wild boars by decreasing the number of susceptible wild boars. This study estimated the required number of wild boars captured and removed for ASF control using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opulation factors, such as a life span, sex ratio, or an inbreeding depression with different capture-and-removal proportions of wild boa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en scenarios with different capture-and-removal proportions of wild boars and different periods of culling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a method in which 75% of wild boars are captured-and-removed for at least three years showed long-term effectiveness for more than ten years. The current ASF control method, in which 33% of wild boars are captured-and-removed, decreased the number of wild boars for three years, after which the wild boar population increased to more than its initial number. Given the limit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controlling ASF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resources be prioritized to increase the capture-and-removal proportion of wild boar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ASF-control effectiveness.
        4,0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낙엽활엽수림에서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는 그 수효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임상 교란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멧돼지의 임상을 파헤치는 교란이 토양생태계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환경부 장기생태연구지소인 점봉산 지역에서 미생물량 C와 토양 효소의 활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멧돼지에 의해 생성된 교란지형은 표층토양과 하층토양이 섞인 흙더미와 파인 구덩이의 노출된 바닥 2종류로 구분하였고, 인근의 교란을 받지 않은 지역을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유기물 함량이 높은 표층의 토양과 하층의 토양이 섞이면서 대조구에서 20.22%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고, 흙더미와 구덩이의 바닥은 각각 16.91%, 15.52%를 나타내었다. 용적밀도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미생물량 C와 토양 CO2의 발생은 교란을 받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으며 이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cellu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생물량 C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유기물의 함량이 토양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질산환원효소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용적밀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토양 공극이 적은 다소 혐기적 조건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멧돼지의 파헤치는 교란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토양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4,000원
        5.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상자형 포획트랩으로 멧돼지를 성공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유인 먹이에 대한 반응과 트랩포획 개체수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자형 철골 포획트랩은 길이 4 ×폭 1.5 × 높이 1.2 m 크기로 제작하여 2017년 1월 17일부터 동년 3월 24일까지 전남 담양군 소재 2개소와 전북 순창군 소재 1개소에서 설치하였다. 유인먹이의 선호도를 확인하고자 옥수수 알곡사료와 발효된 옥수수 알곡사료를 혼합하여 멧돼지 이동통로 주변에 200 m 간격으로 제공하였다. 미리 먹이주기를 통해 먹이반응이 활발한 곳으로 선택하여 트랩설치를 하였고, 트랩설치를 한 후 유입구를 열어둔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 유인먹이 처리별로 선호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없었고 모두 고르게 섭식하였다. 또한 처음 유인 먹이를 제공한 후 멧돼지가 먹이를 모두 섭식할 때까지 소요일수를 조사한 결과, 수렵활동이 활발한 담양과 영암지역은 6~12일이 소요되었으나 수렵활동이 없었던 순창지역은 5일이 걸렸다. 또한 먹이유인을 8.7일간 하고 트랩 유입구를 개방한 채로 3일 더 유인작업을 한 결과 약 13.7일이 되어 트랩당 4.3마리의 멧돼지가 포획되었다. 따라서 멧돼지의 포획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트랩주변의 수렵활동 강도가 중요 요인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