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4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고려 수월관음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근저로 고려 중·후기 불교계의 특징, 수월관음에 관한 문헌적 전거, 거사불교(居 士佛敎)와 수월관음의 접점을 찾았다. 수월관음도가 고려 중·후기 라는 비교적 짧은 시기에 제작된 것에 비해 현대인들에게 미치는 파 급력은 엄청나다. 이 불화가 갖고 있는 대단한 영향력과 달리 그동안 고려 수월관음도 연구는 몇 가지 근원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명 칭의 전거에 관한 문제, 특정 지물에 관한 문제 등이 바로 그것이다. 본 논고에서 이들 중『불설고왕관세음경(佛說高王觀世音經)』의 전거 문제, 대나무의 등장시기에 대한 문제제기 등을 통해 수월관음도의 도상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특히 수월관음도를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들 중 대나무에 관한 도상 학적 해석이 미비한 현 상황에서 간단하게나마 대나무에 관한 새로 운 불교미학적 해석을 시도했다. 대나무는 선승과 거사들이 절개, 은 일, 청정의 의미로 즐겨 사용한 소재이다. 청정(淸淨)은『금강경』에서 분별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이는『반야심경』에서 말하는 공 (空)사상으로도 연결된다. 대나무는 어떻게 청정, 공(空)의 미학을 상 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수월관음도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월관음과 불교신앙에 관해 관음신앙을 중 심으로 진행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선종과의 연결고리와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8,400원
        4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자사상과 춤과의 유관성을 연구하여 춤의 가치를 재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노자사상의 핵심 키워드인 대교약졸(大巧若拙)에 주목하여 이것이 김수악의 진주교방 굿거 리춤의 미의식과 어떤 식으로 연계되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과 정에서 먼저 노자의 대교약졸(大巧若拙)의 의미파악이 선행될 것이고, 이어 대교약졸의 미적 지향 인 ‘무기교의 기교’와 ‘무언’의 미의식을 학문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런 뒤, 무위자연적인 춤 의 미감을 가진 김수악의 내면을 주시하면서 예인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대교약졸의 근원을 연대 기적으로 밝혀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진주교방 굿거리춤에서 드러나는 노자사상의 특질인 무기교의 기교와 예인의 삶속에서 보이는 ‘무언’과 ‘침묵’이 어떤 식으로 춤에 스며있는지 밝히면서 김수악 춤의 미적지향과 노자사상의 유관성을 정리할 것이다. 춤의 사상성은 몸이란 신 체성의 발현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에서 경험론적 계기를 포착한다. 따라서 춤의 정신성의 근저를 이루는 사상은 춤의 미의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바탕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춤추는 몸의 내 면이 춤의 움직임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그 면면을 주시하면서 춤과 사상의 유관성을 파악하 는데 있다.
        5,800원
        4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s six different ways of arti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olitics. It calls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that lurk behind the seemingly simple phrase—everywhere in vogue today—the “politics of aesthetics.” Five of these models are drawn from contemporary discussions regarding the politics of art. The last model is the attempt to develop an account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at is faithful to the diffcult and ambiguous dimension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were hinted at by the texts of classical philosophical aesthetics. Most notably,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idea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can be understood as a form of disinterested contemplation—one that is not reducible to cognitive or moral considerations—and with some of the consequences that this entails. It explores some of the political signifcance that can be attributed to this idea of disinterested contemplation, arguing that the aesthetic should be understood as a withdrawal from the world’s pre-established meanings. Unlike some of the other thinkers discussed in this paper, this author doubts that a single, uniform meaning can be ascribed to the aesthetic experience. I thus argue that we need to approach the aesthetic through the networks of textual signifcance that have been built up around it. Throughout this paper, I attempt to explain how the efforts to link art and aesthetics to politics simultaneously give rise to ideas about the nature of the human community. In looking at the sixth and fnal model, what I have called the “anarchical politics of aesthetic ambiguity,” I argue that the aesthetic tradition offers a rather unique way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Here, we see that the aesthetic is prone to a number of paradoxes, central among them the one that makes art the bearer of a solipsistic pleasure in which we nevertheless discover our capacity for genuinely communicating with others, outside of clichés and banalities.
        4,900원
        4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니체철학에서의‘춤’은 철학적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해방’,‘자유’,‘영원성’, ‘디오니소스적인 것’등의 추상적 관념을 상징한다. 니체에 있어서 무용수의 몸과 춤은 현실적인 것, 경험적인 것으로서 주요한 연구대상일 뿐만 아니라 니체사상의 주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니체철학의 영향을 받은 현대무용의 안무자들 가운데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1894-1991) 의 무용을 고찰하고, 그레이엄의 무용세계에 미친 니체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니체의 철학과 사유를 통해 마사 그레이엄의 무용에 접근하는데 있어서, 첫째는 니체의 미학사상을 토 대로 현대무용의 미학과 발전을 알아본다. 둘째는 그레이엄 무용의 근원적 가치와 의미를 동작 원리와 작품세계를 통해 고찰한다. 셋째는 마사 그레이엄 무용미학에 미친 니체의 영향을 밝힌 다. 이 연구는 니체를 통해 창조적 자기표현과 자기완성의 과정으로서의 그레이엄의 춤을 사유 하도록 한다. 삶과 창조 그리고 숭고의 니체미학이 자연성, 자유, 몸을 근간으로 마사 그레이엄 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신화 등의 소재를 재해석하는 창작활동에 의해 그 레이엄은 자신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아갔다. 또 한 삶과 예술을 몸의 살아있는 경험으로 미학화 한다. 즉 언어로서 끌어 올리는 데에는 한계를 지닌 감각적인 근본적 세계를 그레이엄은 동작언어로서 재현해내고 창조한다. 그레이엄은 무용 을 통해 디오니소스적 이념 자체의 내용으로서의 도취와 인간의 정열의 확대를 실천한다. 그레 이엄의 신체 개념은 인간의 내면을 드러내고 표현하는 방법과 기술 그리고 내면의 내용에 적절 한 구조의 발굴 등을 모두 포함하며, 단순한 전달의 도구적 기능에서 더 나아가 기술의 습득에 의해 내부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고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을 키워주는 신체, 즉 가벼운 춤의 상태를 이룬 짜라투스트라의 신체와 상통한다.
        5,200원
        4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13년부터 1916년의 기간 동안 예이츠와 파운드는 영국 서섹스의 애 쉬다운 포리스트에 소재한 조그만 카티지에서 함께 겨울을 보냈다. 이른바 “스톤 카티 지 영혼의 워크샵”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이 문학적 공동작업은 모더니즘 운동의 효 시가 되었다. 그들의 문학적 공동작업의 결과 평온한 달의 부드러운 침묵의 산문집 과 해골의 꿈이라는 극이 탄생하였다. 전자는 1925년판 비전의 초판이전에 등장 한 예이츠의 시학의 가장 체계적인 이론서라 할 수 있고, 1917년 판 해골의 꿈은 일본의 니시키기와 같은 노극을 본격적인 모델로 하여 탄생한 것이다. 두 작품 다 예 이츠의 극이론과 시론의 이면에 자리잡은 열린 영혼의 시학의 미학적 선언문을 제시 하고 있다. 니시키기와 모토메주까 등의 노극을 모델로 예이츠는 그의 후기 극에서 “죽은 자의 환몽”의 극적 재현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5,700원
        4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the extrinsic Modern Functionalist, Louis I. Kahn, a modern American architect, had been pursued intrinsic architectural nature based on historicity; The Essence of Architecture, during his lifetime. That is the reason why he is generally called as one of frontiers toward Post-Modern Architecture. However, the actual meaning of his ‘The Essence of Architecture’ is so vague and unclear until today, because not only his complex personal thought and career but various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by so many later architects and architectural theorists.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reanalyze and clarify Kahn's idea of ‘The Essence of Architecture’ with the deep and objective view of aesthetics focused on a distinguished contemporary German philosopher, N. Hartman’s idea of phenomenological relation and the stratified structure of a work of art.
        4,500원
        47.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nch-born Saint Orland (1947 –) showed the performance of getting cosmetic surgery on her face broadcast live via satelliteto the audience in various regions including Pompidou Center in Paris, and also the scene of herself bleeding on the operating table as a picture. Not only art books but also People’s Magazine deal with such operating scenes importantly but the general public showed the suspicion of how the works of art could come to such a state. Actually, the meaning of Orland’s surgery performance was overshadowed by the medical operation named cosmetic surgery compared with the popular awareness. Orland’s surgery performance is part of the project called The Reincarnation of Saint Orland thatactually began on her 43rd birthday in 1990 and was performed nine times until 1993. Despite the fact that it is one of her various performances using her body and a kind of method, I wonder why The Reincarnation of Saint Orland is perceived andrepresented as a mere medical technique of modern society called "cosmetic surgery." The reasons can be thought of from two points of view. First, it is because of the influence that "cosmetic surgery"exerts on the mass society. Due to the cosmetic surgery, she drew the public’s attention such as her stories being published not only in art books but also in People’s Magazine. The Reincarnation of Saint Orland can be said to be represented by the word "cosmetic surgery" in that she has taken the approach of cosmetic surgery that exerts an enormousinfluence on the mass society. Second, it is perceived as cosmetic surgery for a negative reason. Orland tried to make her own face by borrowing the faces of the women idealized in the famous works of art in art history. So the art world including feminism artists criticized Orland that she tried to become more beautiful by the standards of beauty defined by the male-dominated society. If so, isn’t there other art historical meanings, getting rid of the feministic meaning, in <The Reincarnation of Saint Orland>? It is considered that clue can be found in Orland’s words that have made the feministic art world criticize Orland incalculably. "My works of art do not resist cosmetic surgery. My works of art challenges the standards of beauty imposed on the woman’s body and challenges the dominant ideology." What she mentioned like this tries to make people recognize that she is not to become a symbol of submission herself, but the art world focuses its criticism on what she tries to challenge by complying with the standards of beauty defined by men. This thesis explains that coming to modern art beyond those criticisms of her, Orland actually understood the entire Western art history by accepting it as the history of human body, and focuses on her trying to present a new concept by her own body. She absorbs the past and modern art by her own body and disfigures it and tried to create new art, i.e. carnal art. Carnal art shows the freedom from sufferings imposed on human body and due to this, it tries to give birth to self separated from one’s own body This is considered the art historical concept with regard to The Reincarnation of Saint Orland, in which the aesthetics of body shown by Orland has been regarded as mere surgeries to become beautiful, no more, no less.
        5,800원
        4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실은, 예이츠는 자신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생각들조차도 스스로 일부 반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후기 작품들의 이론적 측면은 두드러지게 내적 통일성을 보이다. 즉, 사회와 개념, 이론들과 정신세계, 이미지론, 순환적 역사관, 등 사이의 구분이 쉽지는 않다. 이런 이유로, 나는 간단히 “예이츠의 우생학적, 영적 미학”이라는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4,300원
        4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작업속성에 따른 스마트폰의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아직까지도 심미성과 객관적 사용성의 관계는 모호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다른 심미성을 가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36명의 피실험자에게 3가지 타입의 작업(정보입력작업, 정보검색작업, 정보유희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이때의 수행도와 주관적 평가가 기록되었다. 그 결과 높은 심미성이 낮은 심미성에 비해 주관적 사용성이 사용 전과 후에 높게 평가되었지만, 사용 전에 비해 사용 후에는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또한 심미성이 높은 것이 작업수행시간이 더 오래 소요되었다. 하지만 작업속성과 심미성에 의한 교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미성은 감성적 만족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성 평가에서 심미성이 주관적 사용성과 객관적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4,000원
        5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epting the musician as a genius means the concern for outstanding ability of human beings reflects the viewpoint of the emphasis on the artist's individuality, subjectivity, and especially the creativity. In this context, the aesthetics of genius provided the opportunity of establishing the autonomy of arts and the chance of reestablishing the social position of musicians. That is, on the one han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genius has a close relation with individual and artistic subjects and on the other h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Western music. However, does the word "genius" contain just positive meanings? In this thesis, I began with this question and researched the aesthetic meanings of "genius" in the aspect of the artist's subjective identity(subjektive Identität). And I've examine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in the concept of artist a 'geni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iu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rtist's identity in the field of music. In this thesis, I've objectively examined whether the musician could have attained authentic identity as a subject of art as the musician got the recognition of being a genius or not. Then I have thought the internal meanings of representation or the rhetoric of 'artist as a genius'. And I looked on the problems of 'aesthetics of genius' which is so-called 'genius-ideology'. Throughout this process I've critically examined the hidden meanings of 'musical genius' and moreover groped the 'images of genius' which is contemporarily meaningful in the view of these times.
        8,900원
        5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구매 의사결정에서 소비자가 심미성과 사용성 중 어느 제품 속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제품을 선택하는지 알아본다. 최근 독일에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외관 디자인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지만 실제로 제품을 선택할 때는 심미성을 상대적으로 중시하지 않았다(Diefenbach & Hassenzahl, 2009). 개인적 가치를 중시하는 개인주의 문화(예, 독일)에 비하여 집단주의 문화(예, 한국)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매우 중시한다.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인지하기 쉬운 제품 속성(심미성)이 그렇지 않은 제품 속성(사용성)보다 우선될 것이다. 독일에서 실시된 연구를 한국에서 동일한 절차로 재연한 결과, 예상한대로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제품을 선택하였다.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있어서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한 반면, 사용성에 있어서는 사용성이 높지 않더라도 가격이 싼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1). 심미성과 사용성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사용성이 낮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2). 개인의 사회인정 욕구를 살펴본 결과,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는 심미성이 낮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보다 사회인정 욕구가 높았으나 사용성에 있어서는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5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eat Chinese ancient novel, The Great Mansion, is a story of the daughters who were regarded as water and of the boy who was the guy regarded them as water. It is also a story implicated the pure beginning alike water of life and the clean ending alike snow of it. As a central concept in Chinese ancient literature, Water becomes an imago which represents the features of beauty and meanings of life.
        4,900원
        54.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기술발전에 따라 급변하는 제품의 패러다임은 다양화 되어가는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사용자들이 제품의 규격화된 형태와 편리성을 강조하기보다는 감성적 가치 부여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성적 가치는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니즈로 연결되고,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구체적인 속성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창의성은 디자인 분야뿐만 아니라 미래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을 갖게 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디자이너는 주어진 것에 순응하는 사람이 아니라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조해 나가는 지식 노동자이며, 경쟁력에서 이길 수 있는 가장 부가가치 있는 부분이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창의적 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감흥을 불러일으켜 기존 제품들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디자인 해결안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 디자인에 있어 사용자의 의식 또는 무의식의 니즈에 대하여 디자인 구성요소와 심미성 요소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창의적 디자인의 제품 개발에 있어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고 심미성 요소를 통한 디자인 컨셉 도출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4,200원
        5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퇴계의 한시에 나타난 ‘졸박’의 미의식을 탐색한 논문이다. 퇴계는 약 2000여수의 시를 남겼다. 그의 시 대부분이 산수 자연을 노래한 전원시 경향을 드러내고 있으며 시의 소재도 노송, 오두막, 학, 물고기, 매화, 달, 연못, 연꽃, 대나무, 바위, 시내, 누정 등 소박한 정감을 드러내고 있다. 퇴계의 한시에는 산수자연의 생활체험과 예술감각이 교융된 졸박(拙樸)의 미학이 드러나고 있다. 퇴계의 강호가도는 도산십이곡을 비롯하여 도산잡영에 집중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퇴계는 도산을 졸박의 미학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퇴계의 산수시, 매화시, 愛蓮詩, 누정시, 등 시 전반에 걸쳐 졸박의 미학이 감지되고 있다. 그의 시를 통해 졸박의 미학을 탐색하여 퇴계시에 대한 감상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졸박! 이것은 퇴계의 자연시 창작의 미학 이념이었다.
        8,400원
        5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two aspects of aesthetic modernity reflecting some of the spiritual crise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s resistance against the scientific modernity. These two are similar or the same to each other in seeing the modern world as fragments and discontinuities with pessimistic tone, the reality as relativity, and the language as lack. By contrast,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n be seen as well. For example, modernism reflects Elite's taste of high culture while postmodernism is impatient with Elite's taste of ideas. And also, modernism hands down humanism and enlightenment while postmodernism rejects the so-called humanism and enlightenment. More likely than not, however, the foremost difference will be that modernism has the spirit of betterment by a kind of stoic attitude through self-criticism hoping for the birth of the hero who searches for the spiritual father, while postmodernism reflects a kind of Epicurism emphasizing 'seize the day' by accepting the commercial,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values. It follows that modernism tries to expand freedom of more people through digging inner reality while postmodernism tries to expand equality of more people through de-constructing the concept of hierarchy of the western civilization. I think that Seamus Heaney's Seeing Things i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his poetry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respect that it continuously reflects the pursuit of tradition.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post-modern aesthetics in respect that Squarings of Seeing Things transforms the concrete into the abstract by de-constructing some of the fixed meanings, from which readers can enjoy the entire freedom. My last conclusion is that Seamus Heaney's Seeing Things reflects not only his pursuit for the past tradition but also his desire to de-construct it. In brief, his poetry reflects some ambivalence: the search for the father and killing him, waiting for Godot and searching for light, freedom, equality and song.
        4,900원
        58.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0.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