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춘파재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출수기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 '코스피드'가 평균 5월 14일이었으나 중만생종인 '화산101호'는 수확할 때까지 출수되지 않았다. 건물수량은 조생종 '코스피드'가 6,819 kg/ha로 중만생종 '화산101호' 4,409 kg/ha 보다 55%나 증수되었다. CP와 TDN
        4,000원
        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joong”, a winter wheat(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Suwon272/Olgeuru//Keumkang/Suwon252” during 2002. “Jojoong” was evaluated as “Iksan360” in advance yield trial test in 2011.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est between 2012 and 2014. “Jojoong” is an awned, semi-dwarf and hard winter wheat, similar to “Keumkang” (check cultivar). The heading and maturing date of “Jojoong” were earlier to “Keumkang”. “Jojoong” had lower test weight (799 g/L) and 1,000-grain weigh (35.6g) than “Keumkang” (816 g/L and 45.5g, respectively). “Jojoong” showe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and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withering rate on the high ridge (10.5%) and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10.5%) than “Keumkang” (31.7 and 21.4%, respectively). “Jojoong” showed similar protein content (12.5%), SDS-sedimentation volume (43.5ml) and gluten content (8.6%) to “Keumkang” (12.9%, 58.5ml and 8.5%, respectively). It showed higher lightness (93.17) in flour color than “Keumkang” (91.95, respectively). “Jojoong” showed higher lightness (81.50) of noodle dough sheet than “Keumkang” (80.95). “Jojoong” exhibited similar hardness (3.84N) and highe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cooked noodles (0.94 and 0.66) compared to “Keumkang” (3.88N, 0.90, and 0.62, respectively). Average yield of “Jojoong”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 test was 5.09 MT/ha in upland and 5.35 MT/ha in paddy field, which was 9% and 8% higher than those of “Keumkang” (4.67 MT/ha and 4.92 MT/ha, respectively).
        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수확시기가 빠른 국수용밀 품종 개발을 목적으로 1997년도에 조숙 계통인 SW86054 를 모본으로 하고 현재 국내 최대 재배되고 있는 금강밀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SW97031 조합을 육성하였다. 경기도 연천에서 집단재배 후 계통을 전개하여 초형과 수형이 양호하며 숙기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한 계통인 SW97031-B-47-4-1-5-1-1을 2005년과 2006년도 2년간 생산력검정을 거쳐 ‘익산31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7년부터 3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숙기가 빠르며 내한성이 강하고, 백립계이면서 수발아 중도저항성으로 생산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밀가루와 국수 색택이 좋고 식미감이 우수하지만 단위면적당 수량 개선이 요구되어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심의회에서 ‘중모2003’으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등록 원부에 등록되었다. 중모2003의 파성은 III형으로 양절형이고, 엽색은 녹색이며 이삭은 방추형이고, 종자는 중간크기로 백색이다. 출수기와 성숙기는 밭 조건 조건에서 각각 4월 24일과 6월 4일로 금강밀보다 1~2일 빠르고, 논 조건에서는 각각 4월 21일과 6월 2일로 2일 빠르다. 추위와 수발아저항성이 강하고, 흰가루병과 붉은곰팡이병은 감수성이다. ‘중모2003’의 제분율은 금강밀보다 약간 낮지만, 밀가루의 품질과 국수 가공특성이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천립중은 42.5g으로 금강밀보다 약간 적은 소립이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밭 조건 수량은 555 kg/10a, 논 조건 수량은 485 kg/10a로 금강밀보다 4%와 7% 감수하였다.
        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ongmo2003”, a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SW86054/Keumkang” during 1997. “Joongmo2003” was evaluated as “Iksan318” in advance yield trial test in 2006. It was tes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test between 2007 and 2009.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in upland and April 21 in paddy filed conditions, which were two days earlier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Keumkang, respectively, and Maturing date was June 4 in upland and June 2 in paddy field, one or two days earlier than those of Keumkang, respectively. “Joongmo2003” showed resistance to winter hardiness and pre-harvest sprouting, which lower withering rate on the low ridge (0.3%) and rate of pre-harvest sprouting (18.5%) than “Keumkang” (9.2 and 25.8%, respectively).“Joongmo2003” showed similar protein content (13.2%), lower SDS-sedimentation volume (54.0ml) and higher gluten content (11.7%) than “Keumkang” (13.1%, 57.8ml and 10.8%, respectively). It showed higher lightness (89.85) of flour and noodle dough sheet than “Keumkang” (89.81 and 80.28, respectively). “Joongmo2003” exhibited similar hardness (3.84),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cooked noodles (0.92 and 0.63) compared to “Keumkang” (4.54N, 0.93, and 0.63, respectively). The average grain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5.55MT/ha in upland and 4.85 MT/ha in paddy field, which were 4% and 7% lower than those of the check cultivar, Keumkang, respectively.
        5.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신품종 ‘옥랑’은 ‘세리단’을 모본으로 하고 ‘캠벨얼리’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2년도에 우수 계통을 선발한 후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포연-3호’의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도에 최종 선발하였다. 옥천지역에서 발아기는 4월 17일, 만개기는 5월 29일, 성숙기는 8월 30일로 ‘세리단’ 품종에 비하여 40일 정도 빠른 조생종으로 수세는 약~중간 정도이며 성엽 앞면의 주맥상의 안토시아닌의 함량도 중간 정도이다. 과실의 평균 과방중은 300 g, 과립중은 3.4 g이며 당도는 16.9 °Bx 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조금 높은 수준이다. 과피색은 흑색이며 풍부한 여우향을 나타내며, 화진 현상이 적어 착립율이 우수하다. 또한 포도주 제조시 와인의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북농업기술원 마늘연구소에서는 2000년부터 수집한 유전자원 중 한지형인 ‘단양종’ 보다 조숙다수성이며 불완전추대의 특성을 가진 계통을 5년 동안 지속 선발하여 ‘단산’ 품종을 육성하였다. ‘단산’ 마늘의 추대 특성은 불완전 추대형으로 ‘단양종’의 완전 추대형과 뚜렷한 구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화경이 출현하지 않아 수확 전에 쫑을 뽑을 필요가 없으며 숙기도 6일 정도 빨라 수확기 때 장마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2차 생장비율은 3.3%로 ‘단양종’이 17.3% 보다 매우 낮아 이차생장율이 적은 상품성 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단산’의 통의 크기는 ‘단양종’ 보다 크고, 쪽 껍질의 색은 갈색을 띠며 안토시아닌 줄무늬가 존재한다. 수량은 1,131 kg/10 a로 ‘단양종’ 보다 18% 정도 높다.
        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콩용 신품종 ‘상원’은 1997년 황색 대립이고 극조숙인 큰 올콩을 모본으로 하고 일본에서 도입된 Oshimamidori가 교배된 조합이다. 1998년부터 2002년도에 걸쳐 F1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풋콩 특성이 유망하여 선발된 YS1309- 2B-4-1-1 계통으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수확시기가 빠르고 도복에 강한 대립 풋콩 다수성 계통으로 유망하여 선발된 밀양154호이다. ‘상원’의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한신육형이며
        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유’는 종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YCPL 1824를 모본으로 하고, SF9225-3-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SF98024-2B-4-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46호이며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유’는 잎모양은 피침형이며, 엽뒷면색이 자색이고, 화색은 자색, 종자는 진갈색의 구형이다. 2. 노지재배시 경장이 120 cm로 경장이 낮아 도복에 유리하며 화방군수가 많고 화방군장이 길다. 3
        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석"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내냉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9일, 남부중산간지에서는 7월 26일로 오대벼보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2. 오대벼에 해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은 다소 높으나 현미천립중은 오대벼보다 가벼운 편이다. 3. 위조현상은 없고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 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
        1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Valley", is an early maturing potato cultivar with high yield potential. "Early Valley" is a clonal selection resulting from the cross between 'Suncrisp' and 'A87109-10'. It has medium plant height and light green foliage. "Early Valley" has medium flowering habit and white flowers. Tubers are smooth, yellow skin, light yellow flesh, round tuber shape, medium eye depth, and medium dormancy and good keeping quality. It has stable yield under wide range of climatic conditions. "Early Valley" is resistance to late blight, but moderately susceptible to common scab and hollow heart. This cultivar is also resistant to potato rotting at harvesting during the raining season. "Early Valley" has high level of antioxidant activity (about three times higher) and vitamin C (higher by 40%) than the 'Superior'. This cultivar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capable of yielding 36.56 t/ha which is 17.07% higher than the control potato cultivar 'Superior' under optimum agronomical practices.
        1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oseo”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in 2007. Hoseo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Camp and Nattosan.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ksan 57 were carried out from 2003 to 2007. This cultivar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purple flower, grayish brown pubescence, yellow seed coat, grayish brown hilum, rhomboid leaflet shape and small seed size (7.4 g/100 seeds). The maturity date of “oseo”is 12 days earlier than the check variety, “ungsan” It has good seed quality for soybean-sprout and resistance to lodging. This cultivar has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necrotic symptom (SMV-N). The average yield of “oseo”was 2.51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or double cropping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5 to 2007.
        1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mi”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7. This variety was developed from a across between Samcheonbyeo with lodging and cold tolerance and HR17870 derived from the cross of Iksan435 (Sobibyeo) and Sangju17 with resistance to diseases and good quality. This variety has about 110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It is about 68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blast, and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Unmi” is translucent and has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It has about 17.3% amylose content, 6.3% of protein and simila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Odaebyeo.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5.16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Unmi”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the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South Korea.
        1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ngkeumbora”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three way cross of Jinbubyeo, Odaebyeo and Fukei126 at Honam Agricultural Rease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bout 110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milled kernel of “wangkeumbora”is translucent with non- glutinous endosperm. Amylose content of “wangkeumbora”is about 19.3%. “wangkeumbora”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daebyeo”and shows high resistant reaction to the blast, but susceptible to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yield of "Hwangkeumbora" is about 5.37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keumbora”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and southern mountainous of Korea.
        1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unbong 1’' 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angjubyeo”", high yield cultivar and ‘'Unbong 17’', cold tolerance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11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Korean climate condition. This cultivar shows high resistant reaction to the blast,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and strip virus. This variety has cold tolerance, compared to Odaebyeo. The milled kernels of ‘'Sinunbong 1’' are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9.2%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Odae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Sinunbong 1’' is about 5.46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Sinunbong 1’' would be adaptable to the northern plain, mid-mountainous, southern mountainous of Korea.
        1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Jonam" 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in 2006. Jonam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Eunhakong and Jeonju-I1.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line (Iksan 48) were carried out from 2002 to 2006. This cultivar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purple flower, grayish brown pubescence, grayish brown hilum, lanceolate leaflet shape and small seed size (9.6 grams per 100 seeds). The maturity date of "Jonam" is 18 days earlier than that of the check variety, "Pungsan". It has good seed quality for soybean-sprout and resistance to lodging. This cultivar has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necrotic symptom(SMV-N). The average yield of "Jonam" was 2.57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double cropping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4 to 2006.
        16.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kwang is a new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obibyeo (Iksan435), high yield and coldtolerance cultivar and Cheolweon 54, early maturity cultivar at Honam Agricultural Reaserch Institute (HARI), NICS, RDA, m2004. This cultivar h
        1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현' 율무는 조숙, 단간,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2년에 박피, 다수성인 수원6호와 조숙, 단간인 오카야마재래종을 교잡한 것을 모본으로 조숙, 다수성인 UCN300-25를 부본으로 한 삼원교배로 F1 (SJ920)을 얻었다. 1993년 하계에 F1을 양성하였고, 1994~1997년에는 F2~F5를 계통육성하였으며, 1998년과 2001년 하계에 생산력검정을 실시하였다. 2002~2004년 3년간 '연천8호가는 계통명을 부여하여 3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연천8호는 조숙, 단간, 다수성의 특성이 우수하다고 인정되었고, 2004년 12월 직무육성품종 심의위원회에서 중부 및 북부지역에 적합한 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조현'으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의 엽초색과 엽신색은 각각 자색과 녹색이며, 출수기의 엽색과 줄기색은 녹색이었다. 암술색은 유백색이고 종피색은 암갈색이었다. 2. 출수기와 성숙기는 표준품종인 율무1호보다 각각 8일, 15일 빨랐다. 간장은 율무1호보다 22 cm 짧았고, 분얼수는 비슷하였다. 천립중은 105 g이었다. 3. 잎마름병과 조명나방 피해에 대한 저항성은 중강으로 율무1호와 비슷하였고, 절간도복에는 약하였다. 4. 수량성은 생산력검정에서 312 kg/10a로 대조품종 율무1호보다 15% 증수되었고,지역적응시험 결과 3개소 평균 320kg/10a로 18% 증수되었다. 5. 정현비율은 60%로 율무1호보다 5% 낮았고, 종피경도는 4.13 kg/cm2 이었다.
        20.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강" 율무는 1991년에 조숙, 내병성인 후쿠하네를 모본으로 박피, 다수성인 수원6호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F1 (SJ9106)을 얻었고, 이를 모본으로 하여 1992년에 수원 6호를 부본으로 하여 삼원교배를 하여 SJ9201이라는 교배번호를 부여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1993년 하계에 F1세대를 양성하고, 1994~1997에 F5세대를 계통육성하였으며, 1997~1998년 동계에는 온실에서, 1998년 하계에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1999~2001년간에 걸쳐 3년간 "연천5호"라는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한 결과, 조숙, 내병, 다수성 등의 특성이 인정되어 2001년 12월 농림부 주요작물 종자협의회에서 경기도를 중심으로 중부 및 중북부 단작지역의 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그 주요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초색은 녹색, 잎은 농록색, 잎의 크기는 중정도, 줄기의 색은 녹색, 줄기의 굵기는 중정도이며, 자술색은 유백색, 종피색은 흑갈색이었다. 2. 출수기와 성숙기는 표준품종인 율무1호에 비하여 각각 10일, 12일 빨랐다. 3. 간장은 205cm로 율무1호와 비슷하였다. 수량구성요소는 상강율무의 주당립수는 336립으로 율무1호에 비하여 56립 적었으나 등숙율은 71.8%로 율무1호에 비하여 6.5% 높았고, 천립중은 118 g으로 율무1호에 비하여 20.1 g 높았다. 4. 잎마름병은 율무1호에 비하여 다소 강하였다. 5. 수량성은 생산력검정 결과 상강율무가 283 kg으로 율무1호에 비하여 3% 증수하였고, 지역적응시험 결과 경기 연천에서는 311 kg으로 17%, 충북 청주에서는 329 kg으로 27% 각각 증수하였으나, 밀양에서는 304 kg으로 4%로 감수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