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규모 경작지에서 질소 변량시대가 벼 수량 및 품지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s of Site-specific N Application on Rice Grain Yield and Quality in Small Size Paddy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8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논에 있어서 정밀농업시 변량시비가 벼 생육에 미치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토양 및 생육정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 토양의 변이계수는 EC,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및 칼리는 11.63~52.03% 로 10% 이상의 큰 변이를 보였으나 pH는 각각 1.96~4.9% 로 적었다. 2. 생육중의 경수는 10%이상의 변이를 보였으나 초장, 엽색 및 쌀수량, 현미중 단백질은 10%이하의 변이를 보였다. 변량시비에 의하여 변이계수가 쌀수량은 8.06%에서 5.22% 및 5.81%로, 현미중 단백질 함량은 4.06%에서 3.40%로 낮아졌다. 3. 공간구조의 강약을 보여주는 Q값은 시험전 토양의 pH, 전질소함량, 유효인산 및 칼리함량은 0.60이상으로 공간의존성이 강하였으며, 엽색, 초장, 쌀수량 및 현미중 단백질함량 등도 0.50이상으로 공간의존성이 강하였으나 유수 형성기 경수는 0.22로 공간 의존성이 약했다. 4.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공간의존 거리는 현미중 단백질 함량을 제외하고는 20 m 이상의 공간의존성이 있었다. 5. 시험전 토양의 pH, SiO2 및 초장, 엽색은 기비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O.M.은 부의상관을 보였다. 수비는 시험 전 토양중 EC, O.M. 및 토양 고저차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초장, 경수 및 엽색과는 부의상관을 보였다. 현미중 단백질 함량은 토양중 SiO2 및 엽색, 수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토양중 O.M.과는 부의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초장, 경수 및 엽색과는 정의상관을 토양중 PH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For precision farming the influences of site-specific N application on rice grain yield and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0.5 ha paddy field from 2001 to 2003. In pre-cultured soil, EC, O.M., total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content showed high spatial variation, ranging from 11.63 to 52.03% of coefficient of variation, while that of pH was relatively low. In rice growth characteristics, tiller number at panicle formation stage was more than 10% in coefficient of variation, but plant height, SPAD figure at panicle formation stage and milled rice yield, protein content in brown rice showed less below 10%. Spatial dependence was over 0.60 in pH, total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in pre-cultured soil and was over 0.50 in plant height, SPAD figure and protein content, while it was below 0.22 in tiller number at panicle formation. The range of spatial dependence was longer than 20m in all factors except for protein content in brown rice. Basal dressing nitrogen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 SiO2 , plant height and SPAD figure.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panicle formation st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 and O.M.. Protein content in brown r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iO2 in pre-cultured soil. Milled rice yiel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nt height, tiller number and SPAD figure at panicle formation stage.

저자
  • 최민규(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최원영(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홍규(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남정권(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백남현(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이준희(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상수(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정곤(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