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판 소포장 보리쌀의 품위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External Quality of Polished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시중에서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의 외관과 품위를 평가하여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브랜드 보리쌀의 품질 등급 기준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전국의 중대형 슈퍼마켓에서 2007년 6월~ 7월에 수집한 소포장 보리쌀 61점(쌀보리쌀 28점, 찰보리쌀 23점, 재래시장 보리쌀 10점)을 식물자원학과 유전육종학실험실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보리쌀의 포장단위는 200~1,000g 이었는데, 1,000 g 포장된 것이 56.8%였으며, 800 g 포장이 25.4%였는데, 찰보리쌀은 800 g 포장이 많았고, 쌀보리쌀은 200~300g 의 작은 단위로 포장된 것도 있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한 되 평균 중량은 1,159 g이었는데, 762~1,732g 의 범위로 차이가 컸다. 2. 보리쌀의 1,000립중은 평균 20.1±2.51g 이었는데, 쌀보리쌀은 18~28g 였고, 찰보리쌀은 14~26g 이었으며, 쌀보리쌀은 20~22g 이 39.2%이고, 찰보리쌀은 18~20g 이 43.47%로 가장 많았다. 3. 보리쌀의 정립율은 쌀보리쌀이 평균 88.0%였고, 찰보리쌀은 평균 94.3%로 찰보리쌀의 정립율이 더 높았는데, 쌀보리쌀의 정립율이 현저히 낮은 것은 싸라기율이 높기 때문이었다. 재래시장 보리쌀의 정립율은 평균 69.7%로 브랜드 보리쌀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4. 브랜드 보리쌀의 용적중은 평균 843g~cdotL1였고, 805~917g~cdotL1의 범위였는데, 가장 높은 것은 쌀보리쌀의 917g~cdotL1였고, 가장 낮은 것은 쌀보리쌀의 805g~cdotL1였으며, 변이계수로 보아 찰보리쌀의 용적중 변이가 더 컸다. 5. 브랜드 보리쌀의 수분함량은 평균 14.75%였는데, 찰보리쌀은 평균 16.2%로 수분함량이 높았고, 쌀보리쌀은 평균 13.75%로 찰보리쌀에 비하여 낮았다. 6. 쌀보리쌀의 길이는 평균 4.61 mm였고, 폭은 평균 3.05 mm였으며, 두께는 평균 2.12 mm였고, 찰보리쌀은 길이가 평균 4.44 mm였고, 폭은 평균 2.89 mm, 두께는 평균 2.06 mm로 쌀보리쌀이 찰보리쌀에 비하여 모두 컸다. 7. 보리쌀의 장폭비는 대부분이 1.4~1.9 의 범위였으며, 장폭비는 쌀보리쌀이 1.51±0.10 , 찰보리쌀이 1.74±0.13 으로 찰보리쌀이 약간 길었으나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1.31~1.70 과 1.33~1.74 로 차이가 없었다. 보리쌀의 입장과 입폭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입후와는 상관이 없었다. 8. 백도는 쌀보리쌀이 34.2±7.34 였고, 찰보리쌀은 27.3±10.21 였으며,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보리쌀은 40±6.12 로 찰보리쌀이 가장 낮고 재래시장의 보리쌀이 가장 높았다. 9. 쌀보리쌀의 가열흡수성은 평균 215.41%였으며, 대부분이 200~220% 였고, 퍼짐성은 평균 379.68%였으며, 주로 350~400% 였다. 찰보리쌀의 가열흡수성 평균은 231%였고, 주로 240~260% 였으며, 퍼짐성은 평균 401%였고, 주로 400~450% 가 많았다.

Demand for the high quality barley with fibroid material and functional substances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although the amount of barley consumption decreased drasticall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ut the limited information on quality of barley makes consumers hard when they purchase barley for their own consumption. Therefore, 51 brand barley, .i.e., 28 naked barley and 23 waxy barley from supermarkets and 10 polished barley from local markets were collected, and their external quality were analyz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brand barley. Among 51 brand barley, 56% were 1kg package and 25% were 800 g pack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1~pm3.62~;g ) between printed and actual weighs. The weight of 1,000 grains of naked barley and waxy barley ranged 18.6~26.7~;g and 14.6~24.7~;g , respectively. Thousand grain weight of 38% of naked barley ranged 20~22~;g , while that of 43% of waxy barley ranged 18~20~;g . The ratio of normal grains was 88% and 94% for naked barley and waxy barley, respectively, when separated with 1.7 mm sieve. Although 82% of brand barley products were free from foreign substances, in 18% of brand barley products, sands, pieces of cloth and wood, other kinds of grain and insect larvae were found, Average test weight of brand barleys was 843g~cdotL-1 with range of 805~917g~cdotL-1 . Water content was less than 14% in 7.8% of barley products, while it was 14~15% in 62.7% of them. Average whiteness of brand barley was 31.06, while waxy barley had higher whiteness with 27.28 than naked barley with 34.16. Heated water uptake rate of milled naked barley and milled waxy barley were 215.4% and 231.7%, respectively, while expansion rate of milled naked barley and milled waxy barley were 379.7% and 401.6%, respectively. Barley from local markets were as good as brand barley products in 1,000 grain weight, ratio of normal grains, inclusion of foreign substances, test weight, water content, whiteness, water uptake rate, and expansion rate, but they showed higher ratio of foreign substances included.

저자
  • 배숙현(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정승근(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