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국으로부터 재도입된 한국 원산 콩 재래종의 Saponin 함량 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Saponin Content in Korean Native Soybean Landraces Reintroduced from USA t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2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2007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재도입된 한국 원산 재래종 콩 293점에 대한 종실 saponin의 함량의 변이를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roup A saponin의 함량은 평균 484.9 ugg1으로 149.8~1279.0 ugg1의 범위이었고, group B saponin의 함량은 평균 3670.0 ugg1으로 2160.1~7868.6 ug1의 범위이었으며, 총 saponin 함량은 평균 4154.9 ugg1으로 2502.8~8764.0ugg1의 범위이었다. 2. Gruop B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이 높은 5점은 IT226841, IT226761, IT226844, IT226826 및 IT22 8534이었고, 이중에서 IT226841이 group B saponin 함량이 7868.5 ugg1, 총 saponin 함량이 8764.0 ugg1] 로서 가장 높았다. 3. Group A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 간에(r=0.5119), 그리고 group A와 group B saponin 함량 간에(r=0.3708)는 정의 상관관계, group B와 총 saponin함량 간에(r=0.9876)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4. 수집지역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북한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기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상남도,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5. 종실크기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소립종이 중립종과 대립종보다 높았고, 중립종과 대립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색, 검정색, 녹색 및 갈색의 종피색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variation of saponin contents in 293 Korean native soybean landraces reintroduced from USA to Korea in 2007. Group A saponin content ranged from 149.8 ~mug~;g-1 to 1279.0 ~mug~;g-1 with an average of 484.9 ~mug~;g-1 . Group B saponin content ranged from 2160.1 ~mug~;g-1 to 7868.6 ~mug~;g-1 with an average of 3670.0 ~mug~;g-1 . Total saponin content including both group A and B contents ranged from 2502.8 to 8764.0 ~mug~;g-1 with an average of 4154.9 ~mug~;g-1 . Five promising landraces for use as breeding materials that showed higher than any other landraces in group B and total saponin content were IT226841, IT226761, IT226841, IT226828 and IT228534. IT226841 showe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with group B content of 7868.5 ~mug~;g-1 and total saponin content of 8764.0 ~mug~;g-1 among landra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each components, group A saponin cont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roup B saponin content (r=0.3708) and total saponin content (r=0.5119). Group B saponin content show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0.9876) with total saponin content. When landraces were compared for the total saponin content based on collected location, landraces from North Korea showed the highest, Gyeonggi-do showed second highest content, followed by Chungcheongbuk-do, Gangwon-do, Gyongsangbuk-do, Chungcheongnam-do, Gyongsangnam-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Landraces were also grouped according to seed size and seed coat color. Small seed group was higher than medium and large seed groups tha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aponin content. Seed coat colo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aponin content.

저자
  • 장은규(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박향민(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황태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선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정규화(전남대학교 생명화학공학부)
  • 최유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명철(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정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