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검정소립, 내병성 나물용 콩 신품종 ‘원흑’ KCI 등재

A New Soybean Cultivar ‘Wonheug’ for Sprout with Small Seed, Black Seed Coat and Disease Toler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3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원흑’은 나물콩 특성이 우수한 고품질 내재해 다수성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다원콩’과 ‘진주1호’의 F1에 ‘진주1호’를 다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YS1318B-2B-3-3-3-4-1계통으로 계통명은 익산63호이다.유한신육형으로 꽃색은 자색이고 잎의 모양은 난형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며, 성숙기가 지나도 협개열에 강하다. 성숙기는 10월 4일로 ‘다원콩’보다 10일이 늦은 만숙종으로 경장이 다소 길고, 꼬투리수가 많으며, 종자 100립의 무게는 8.8 g으로 ‘다원콩’보다 작은 소립이다. 바이러스 접종시 모자이크를 보이나 포장에서는 강하며 불마름병은 ‘다원콩’보다 강한 중도저항성을 보였다. 종실의 조단백과 조지방함량은 ‘다원콩’과 비슷하며, 콩나물의 아스파라긴산 함량은 낮았으나 이소플라본 함량이 ‘다원콩’의 2배 이고, GABA 함량이 높은 고기능성 품종이다. 콩나물재배시 경실과 비정상발아율이 낮고 발아율과 배축신장성이 좋으며 수율이 풍산나물콩에 비해 20% 높았다.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6개소 평균수량은 ha당 2.34톤으로서 ‘다원콩’보다 128% 증수하였다.

A new soybean cultivar for soybean sprout, ‘Wonheug’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09. ‘Wonheug (Iksan63)’ was released from the cross between F1 of YS1286 (Tawonkong/Jinju#1) and Jinju#1. It has purple flower, oval shaped leaf, tawny pubescence and small black seed (8.8 g/100 seed). Maturing date of ‘Wonheug’ is ten days later than check cultivar, ‘Tawonkong’. Even though mosaic symptom can be observ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onheug’ is tolerant to virus and bacterial pustule at field. It has similar tolerance to a check cultivar for excess water and seed spot. ‘Wonheug’ produce more soy-sprout than a check cultivar because it shows high in germination ratio, low in rate of abnormal germination and hard seed. The average yield of ‘Wonheug’ was 2.34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 (RYT)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7 to 2009, which was 12 percent higher than check cultivar, ‘Tawonkong’.

저자
  • 김현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yun-Tae Kim Corresponding Author
  • 백인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In-Youl Baek
  • 오영진(농촌진흥청) | Young-Jin Oh
  • 조상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ang-Kyun Cho
  • 한원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Won-Young Han
  • 고종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ong-Min Ko
  • 전명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yung-Gi Jeon
  • 박금룡(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eum-Yong Park
  • 김경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yong-Ho Kim
  • 김영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Jin Kim
  • 김태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Tae-Soo Kim
  • 이병원(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Byong-Won Lee
  • 이영훈(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eong-Hoon Lee
  • 심하식(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Ha-Sik Sim
  • 윤홍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ong-Tae Yun
  • 김동관(전라남도농업기술원) | Dong-Kwan Kim
  • 김성택(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Sung-Tae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