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근래에 건강 기능성효과가 널리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종실용 들깨의 기계화재배를 촉진하기 위하여 수확 때 종자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고 수량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 파종시기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파종후 개화기까지 생육일수는 짧아져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14일, 26일 및 31~32일 짧아졌으며, 또한 경장과 경태는 짧아지거나 가늘어졌으며 마디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유효분지수는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82%, 61% 및 56%로 7월 15일 파종부터 급격히 낮아져 수량성 확보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최저화방군의 높이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짧아지는데, 소담의 7월 15일과 8월 1일 점파구의 경우 15 cm 이하로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기와 수량성 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총수량은 6월 15일, 6월 30일 및 7월 15일 파종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종실탈립률의 경우 7월 15일, 8월 1일 (30.3%) > 6월 15일(15.3%) > 6월 30일(13.5%) 파종의 순이었는데, 탈립된 종실을 제외한 순수량은 6월 30일 6월 15일 >7월 15일 >8월 1일 파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품종 및 파종방법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4.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유율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증가하여 8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 함유율의 경우 소담은 6월 15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들샘은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리놀렌산의 함량율은 8월 1일 파종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5. 위의 결과, 종실용 들깨의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시기는 6월 30일 경으로 이때 파종하면 수확때 종실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면서 수량증대에 유리하여 기계수확에 가장 적합한 파종시기로 판단되었다.
        4,000원
        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나물(Glycine max L. Merrill)은 우리 고유의 전통식품으로서 무침, 국, 찌개, 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편리를 추구하는 바쁜 현대인들을 위하여 콩나물의 반조리식품화 또는 가공식품화의 형태로 이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고품질 콩나물의 생산을 위하여 콩나물 콩의 생육특성, 발아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생 콩나물의 조리 후 조직감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콩나물의 조직감 측정 시의 사용하는 프르브와 측정법에 따라 가공처리에 따른 조직감의 유의차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가열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조직감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가열처리에 따른 콩나물 조직감의 변화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콩나물은 파우치에 물과 함께 포장한 것과 진공포장 한 것을 84 ℃에서 20 분간 가열처리 하여 실린더형과 칼날형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조직감 특성을 확인하였다. 콩나물 머리와 줄기의 조직감 특성은 각각 deformation 30%와 60%의 조건일 때 test speed 0.5 mm/s 에서 진행하였으며, 부정형인 콩나물의 머리를 고려하기 위하여 engineering stress와 true stress를 비교하였다. 콩나물 머리의 크기는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하여 deformation 이전 콩나물의 전체 높이 및 긴 반지름, 짧은 반지름을 기준으로 30% deformation 일 때 해당하는 변수를 이용하였다.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콩나물 머리의 조직감은 실린더형 프로브로 측정 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조직감을 측정하였을 때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였다(p<0.05). 또한 콩나물의 줄기도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칼날형 프로브로 측정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한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콩나물 머리의 engineering stress 결과 값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30% deformation 시에 해당하는 변수를 통하여 도출한 콩나물 머리의 면적이 고려된 true stress 결과 값은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각각 89.08 g ± 10.03, 68.16 g ± 5.93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콩나물의 줄기는 engineering stress와 true stress 결과 값 모두에서 유의적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두 측정법 간에는 유의차(p<0.05)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콩나물의 머리와 줄기 모두 칼날형 프로브를 이용하는 것이 가열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특성을 유의미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콩 콤바인 수확 시 수확장애와 종실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잎과 줄기의 노화 지연에 관한 연구로 2015~2016년도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경남 밀양시 소재)의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대원콩과 풍산나물콩을 사용하였으며, 6월 9일에 고휴 2열로 휴폭 110 cm, 주간거리 40 cm, 1주 2본 재배하였고, 콩 꼬투리를 0~50%범위에 수준별로 제거하여 성숙기 생육특성과 잎과 줄기의 건물중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원콩과 풍산나물콩 모두 종실비대시 콩 꼬투리 제거가 생육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제거 비율이 높아질수록 성숙기가 지연되었다. 2. 콩 꼬투리 제거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종실 무게도 증가하였는데 꼬투리의 제거비율이 대원콩은 20%, 풍산나물콩은 30% 이상일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 3. 꼬투리 제거비율이 높아질수록 잎과 줄기의 건물중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종자에 축적되어야 할 잉여 동화 산물이 잎과 줄기에 축적된 결과로 보여진다. 4. Sink/source 감소폭은 대원콩 20% 제거 시 0.18, 풍산나물콩 30% 제거 시 0.42로 이전 처리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잎과 줄기의 성숙이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trial was conducted for two consecutive seasons (2013/14 and 2014/15), at the Gezira Research Station, Wad Medani, Sudan, to evaluate the agronomic performance of fourteen early maturing soybean germplasm introduced from USA, South Korea, Vietnam, Taiwan, and Croatia, under irrigated cropping environment.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01) were detected among the fourteen varieties for the eight agronomic traits in 2013/14 and 2014/15. Over the two seasons, Vietnam coll. 1 had the high grain yield (945 kg/ha), followed by N04-9859 (828 kg/ha) and AGS 327 (798 kg/ ha). Days to maturity ranged from 71 to 86 days over the two seasons. In both seasons, Vietnam coll. 1 and AGS 327 had the high agronomic performance in fodder yield, plant height and height to first pod. The agronomic performance of Vietnam coll. 1 and AGS 327 provides a clear example of the adaptability of tropical soybean germplasm to irrigated environments in Sudan comparing to other temperate germplams. The relative high yield of Vietnam coll. 1 and AGS 327 can be maximized by increasing plant populations/unit area. The unique soybean germplasm from the southern US and South Korea is valuable genetics resource for soybean germplasms at Agricultural Research Corporation (ARC), Sudan to broaden the genetic base of the released soybean varieties through introgression of potentially useful genes for drought-related and nutritional quality traits.
        4,000원
        7.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Glycine max)은 예로부터 장류, 두부, 콩나물, 혼반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수확 직후의 콩은 20~25% 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저장ㆍ운송이 어렵다. 따라서 수확량의 대부분은 열풍건조 후 건조된 콩으로 유통된다. 이러한 건조 콩은 다시 장류 및 두부 제조 시 수화하여 가열 및 분쇄 등의 이후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 된다. 하지만 수화시간이 길어질 경우, 비타민, 아미노산, 이소플라본 등의 수용성 영양소가 용출이 되게 되며, 높은 수분함량에 의해 미생물 안정성 또한 감소하게 된다. 현재 콩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콩의 수화 특성을 연구하고 입경과 수화 온도에 따른 콩의 수화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화 온도와 입경에 따른 콩의 수화 kinetics와 수화 모델의 적용으로 콩의 가공을 위한 수화공정 최적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입경을 달리한 (6.0, 7.5 그리고 9.0 mm (± 0.2)) 13.0 % (± 0.8)수분함량의 콩을 목표수분함량 (40 %)까지 건조를 진행하였으며 25, 35 그리고 45 °C 의 수화온도에서 60분간 수화를 진행하여, 매 10분마다 수화 시간에 따른 콩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수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수화 온도가 증가하고 콩의 입경이 작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45 ºC에서 20분간 건조한 경우, S 군의 수분함량은 40.20 %로 목표수분함량을 초과하여 건조되었으나, L 군의 경우 37.40 %로 목표수분함량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실험적으로 얻은 수화 데이터는, Peleg 모델을 이용하여 수화 특성을 설명하였다. 평형수분함량에 반비례하는 계수인 K2는 25, 35 그리고 45 °C에서 각각 0.0206, 0.008366, 그리고 0.004653 을 나타내어 수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형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leg model의 매개 변수를 통해 최종 목표 수분함량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수화시간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는25, 35 그리고 45 °C에서 각각 59분, 24분, 그리고 22분이 소요되어 목표 수분함량을 위한 최적 수화시간을 도출할 수 있었다.
        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Glycine max)은 동양에서는 주요식품 자원으로써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일컬어지고 우리나라 식생활에서도 쌀 다음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수확 직후의 콩 은 20~25% 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저장ㆍ운송이 어렵다. 따라서 수확량의 대부분은 열풍건조 후 건조된 콩으로 유통된다. 열풍건조는 콩의 건조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열피립이 발생하게 된다. 간헐적 건조는 열풍 건조 중 콩 의 내부 수분을 확산시켜주는 방법으로, 급격한 수분 구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열피립 등의 품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 콩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콩의 간헐적 건조에서의 건조 특성과 그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콩의 간헐적 건조에서 건조 kinetics와 박층 건조 모델의 적용은 콩의 저장 및 유통 시 품질최적화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약 25g(±0.7)의 콩을 건조기 중앙에 위치시켜 600분간 건조를 진행하였으며 35, 40 그리고 45 °C의 건조온도에서, 매 30분마다 수분함량을 확인하였다. 간헐적 건조의 경우 30분의 건조 후 30분 동안 상온의 데시케이터에서 수분이 확산되는 시간이 주어졌으며, 600분 동안 반복 되었다. 연속 건조와 간헐적 건조에서 모두 건조 온도가 증가할수록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같은 건조 온도에서 입경이 증가할수록 건조속도가 감소하였으며, 300분의 유효 건조 시간에서, 연속건조의 경우 건조온도 35, 40 그리고 45 °C에서 수분함량이 각각 9.38(± 0.00), 8.69(± 0.17) 그리고 7.70(± 0.48) %를 나타내지만, 간헐건조에서는 35, 40 그리고 45 °C의 건조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8.28(± 0.21), 7.31(± 0.41) 그리고 6.97(± 0.07) %를 나타내어 간헐적 건조의 적용을 통해 콩의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목표수분함량에서 열피립의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같은 온도에 서 간헐적 건조를 적용하였을 때 열피립 발생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35, 40 그리고 45 °C 에서 각각 52.08, 27.59 그리 고 18.24% 감소하였다. 이는 간헐적 건조에서 방치 기간 동안 내부의 수분이 콩 표면으로 확산되는 것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실험적으로 얻은 건조 데이터는 4개의 수학적 모델에 적용되었고, Midilli-Kucuk 방정식이 콩의 간헐적 건조 에서 건조 특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하였다. Midilli-K
        9.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s at the different position in the dryer with 28.1% (±0.8) of initial moisture content were studied. Drying temperatures varied at 35, 45 and 55ºC, with a constant inlet air velocity (3 m/s). The local air velocities at a position 1, 5, and 9 were 0.150 m/s (±0.012), 0.247 m/ s (±0.018) and 0.795 m/s (±0.036), respectively. The drying rate increased as the local air velocity increased from 0.150 m/s to 0.795 m/s. The cracked grain ratio increased as the drying rate increased. To prevent quality degradation of soybeans during hot-air drying, the local air velocity should be considered. Thin-layer drying models were applied to describe the drying process of soybeans. The Midilli-Kucuk model showed the best fit (R2>0.99). Based on the model parameters, the drying time to achieve the target moisture content (15%) was successfully estimated. The drying time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position in the dryer and the drying temperature.
        4,000원
        1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콩(Glycine max)은 동양에서는 주요식품 자원으로써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일컬어지고 우리나라 식생활에서도 쌀 다음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쌀, 보리 등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식사패턴에서 콩은 예로부터 장류, 두부, 콩나물, 혼반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수 확 직후의 콩은 20~25% 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저장· 운송이 어렵다. 따라서 수확량의 대부분은 열풍건조 후 건 조된 콩으로 유통된다. 열풍건조의 경우 천일건조에 비해 노동력이 크게 절감되며 건조시간이 짧다는 이점이 있지만, 건조기 내 위치에 따른 풍속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에 따른 콩의 건조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콩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는 품질 비균일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콩의 건조속도가 매우 빠를 경우 껍질이 깨지는 열피립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콩의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건조 온도와 풍속에 따른 콩의 건조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건조 온도와 풍속에 따른 콩의 건조 kinetics와 박층 건조 모델의 적용은 콩의 저장 및 유통 시 품질 최적화를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길이 140mm, 세로길이 160mm, 높이 30mm의 트레이 9개를 열풍 건조기 내에 위치시켜 600분간 건조를 진행하였으며, 35, 45 그리고 55℃의 건조온도에서, 매 30분마다 건조 시간에 따른 콩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건조 특성을 확인하였다. 트레이가 열풍의 inlet과 가까울수록 풍속은 증가하였으며, 트레이와 inlet의 가까워짐에 따라 풍속이 0.150m/s (± 0.012) 에서 0.795 m/s (± 0.036)로 증가하였다. 45℃에서 600분간 건조한 경우, 트레이 9의 수분함량은 10.93%로 목표수분함량(10.0%± 1.0)에 도달하였으나, 트레이 1의 수분함량은 13.13 %로 목표수분함량에 도달하지 못하여 풍속의 증가와 함께 건조속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5℃에 서 콩을 건조하였을 때, 트레이 1에서의 열피립 발생비율은 2.09%이었으나, 트레이 9에서는 6.78%로 3배 이상 증가하 여 열풍건조기 내 위치에 따른 건조속도의 차이가 열피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적으로 얻 은 건조 데이터는 4개의 수학적 모델에 적용되었고, Midilli-Kucuk 방정식이 콩의 건조 특성을 설명하는 데 가장 적합 하였다. Midilli-Kucuk 방정식의 매개 변수를 통해 최종수분함량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열피립의 발생비율을 예측할 수 있다.
        1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콩의 주요 생산지인 파주, 안동 및 무안의 3지역에서 2012년도에서 2014년까지 3개년의 설문 및 현지조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지역 3년 전체 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비닐피복을 하면 ha당 488 kg (23%) 증수를 하였고 논재배가 밭재배 대비ha당 520 kg (24%) 증수를 하였으며 추가관수 1회마다(3회까지) ha당 165 kg씩(7%정도) 증수를 보였다. 2.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저수요인은 지역별 기상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무안, 안동 파주 등 3지역을 3년간 조사한 결과를 대상으로 분석하면 콩의 수량 감수 주요인은 6월과9월의 토양수분 부족이었다.
        4,000원
        1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lling characteristics of rice using different milling methods (dry and wet) were investigated. Generally, average particle sizes of dry-milling flours were bigger than those of wet-milling flours due to low moisture content. Three theoretical models for milling, such as the Rittinger, Kick, and Bond model, were applied to characterize the milling process of rice. The wet-milling method showed higher value milling constants including Bond’s work index. Baeksulgi wa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milling method and particle size on rice flour’s physicochemical property (water content, color value, and texture). Moisture content and hardness of Baeksulgi were smaller as the particle size became smaller. L value of Baeksulgi was greater as the particle size became smaller. The energy requirement for the milling of grains to obtain a suitable size of particles was estimated by the grinding models. The results of our study might provide a systematic way to estimate the energy requirement to obtain a suitable particle size by milling
        4,000원
        1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경남지역에서 장류콩의 적정파종시기를 구명하고자 본 시험에서 중간생육,성숙기 생육, 수량성, 포장병발생정도 및 성분분석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잎의 전개 및 생식생장기의 주요생육단계의 도달에 소요되는 기간은 두 품종 모두 파종기가 빠를수록 길어졌다 2. R5 stage에 있어서 선유콩은 6월 10일 파종에서 단위면적당 건물중이 가장 많았고 전 파종시기에서 최적엽면적지수의 범위에 포함되었으며, 대원콩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건물중이 많았고 엽면적지수가 6월 25일 파종을 제외하고는 최적엽면적지수 에 미쳤다. Sink/Source이 비율은 선유콩과 대원콩 모두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낮아 엽이 부담하는 협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3. 선유콩의 수량성은 파종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5월 25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대원콩의 수량성은 수량은 5월 25일 파종에서 유의하게 가장 많았고 나머지 파종기간에는 비슷하였는데 6월 10일 파종에서 ‘09년 검은 뿌리썩음병의 많은 발생과 3년간 불마름의 발생이 수량성 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4. 파종시기 간에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차이가 없었고, 지방산에 있어서 Oleic acid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Linolenic acid 는 파종기를 늦을수록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며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았다. 5. 경남지역에서 이상의 건물중 및 엽면적지수, 100립중, 도복종실 열피립의 피해 감소 및 수량성을 고려 할 때 장류콩(선유콩 및 대원콩)의 적정파종시기는 5월 하순 ~ 6월 상순이었다.
        4,000원
        1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콩 재배 품종에 대한 선충 저항성 분석 및 국내외 유전자원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콩 씨스트 선충 피해 경감과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 육성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콩 재배품종인 75개의 자원에 대한 저항성 분석 결과 번식이 가장 적었던 품종은 장엽콩이며, 장엽콩, 새알콩, 밀양콩, 만수콩 등 4품종은 중간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알찬콩 등 33품종은 중간감수성을, 38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기 보고된 콩 씨스트 선충 유전자(rhg1, rhg2, rhg3, Rhg4)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하여 국내 품종 10품종과 HG-type에 이용되는 Lee74를 포함한 8가지 품종을 이용한 분석 결과 유전자의 유무차이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sequence분석 결과 SNP차이를 확인하였고 단백질 분석 결과 rhg1 gene의 Leucine Rich Region(LRR) domain 부근에서 감수성과 저항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유전자인 rhg1의 경우 감수성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3가지(H474R, R475K, K476N)가 있으며, rhg2의 경우 감수성에서 나타나는 3가지(I114F, I266N, P277L) 및 저항성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2개의 G281S와 S292C 단백질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품종 구분을 위한 marker로 활용 가능한 primer를 작성하였고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 품종 육성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5.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서 콩의 비닐피복 재배시에 적정파종시기를 구명하고자 본 시험에서 주요 특성 및 수량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피복재배에서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영양생장기 중 V6 stage 까지는 생육일수가 많이 단축되었으나 그 이후는 단축효과는 점차로 적었다. 2. 콩의 개화에 필요한 평균소요일수는 노지재배에서 컸고 성숙에 필요한 평균소요일수는 비닐피복 재배에서 컸다. 3. 콩의 비닐피복 재배시 R5 stage의 건물중은 노지재배보다 무겁고 엽면적지수도 최적엽면적지수인 5~7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4. 비닐피복 재배시 5월 25일 및 6월 10일 파종에서 콩의 립수가 많고 백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높았다 5. 단백질함량은 비닐피복 재배에서 낮고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으며 지방함량은 재배양식 및 파종기간 비슷하였다. 한편비닐피복 재배시 지방산 C18:1의 함량은 5월25일 및 6월 10일 파종에서 많았고 C18:3은 재배양식 및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다. 6.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비닐피복 재배에서 그리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많았다.
        4,000원
        1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mall red bean cultivar, ‘Geomguseul’, was artificially crossed between ‘Chilbo’ and ‘SA8412-3-1-4-3-3-2-3’ in 1998, fixed excellent agronomic characters by pedigree breeding method, and selected for the further trials with the name of ‘Miryang 10’. It was prominent and showed good result, such as high grain quality, lodging resistance, and high-antioxidant activity in the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and released for the public consumption as the name of ‘SA9801-24-4-3-1’ in 2011. ‘Geomguseul’ has a semi-determinate growth habit, yellow flower, green embryonic axis, black seed coat, white hilum, and small spherical seed (12.2 grams per 100 seeds). The average yield of ‘Geomguseul’ was 2.01 MT/ha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1.98 MT/ha) of the check variety, ‘Chungju’.
        1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olored soybean variety ‘Jungmo3005’ was developed as a breeding parent. ‘Cheongjakong’ and ‘Geomjeongkong3’ were crossed in 2000. F1 and F2 populations were grown for 2 years and selected by pedigree method from F3 to F5. The preliminary yield trial (PYT) and advanced yield trial (AYT) were conducted from 2006 to 2007, and regional yield trial (RYT) in 9 regions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0. ‘Jungmo3005’ is determinate, white flower, green cotyledon, green spherical seed and yellow hilum.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were July 30 and Oct. 7, respectively. Other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Jungmo3005’ were similar to ‘Cheongdu1’, but it was more tolerant to lodging and shattering than ‘Cheongdu1’ at RYT field and indoor test. Although ‘Jungmo3005’ showed symptom of mosaic disease in inoculation test at greenhouse, it had high level of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and bacterial pustule diseases at field. The yield of tofu of ‘Jungmo3005’ was more than that of ‘Cheongdu1’. The mean yield of ‘Jungmo3005’ in RYT was 256kg/10a which was 97% of the yield of ‘Cheongdu1’. ‘Jungmo3005’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a breeding parent to cross with other varieties and lines for creating colored soybean cultivars with tolerance to lodging, shattering and bacterial pustule.
        1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ungbean cultivar ‘Sanpo’ (Vigna radiata (L.) Wilczek)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M9710-3B-7 and Jangannogdu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JARES) in 2012. ‘Sanpo’ has erect growth habit, green hypocotyls, heart leaflet, dull green seed surface, and black and straight pod when matured. The stem length of ‘Sanpo’ were 71㎝, which was 5㎝ longer than check cultivar ‘Owool’. The pods number per plant, the seeds number per pod, and the seed weight of ‘Sanpo’ are similar to check cultivar. It has field resistance to cercospora leaf spot, mungbean mottle virus, and powdery mildew. In addition, ‘Sanpo’ has high lodging resistance. The hard seed rate of ‘Sanpo’ was 2.4%, which was 0.8%point lower than check cultivar. The sprout yield ratio of ‘Sanpo’ was 8.26 times, which was 10% (77%point) more than check cultivar. The average yield of ‘Sanpo’ was 1.62ton/㏊, which was 14% more than the check cultivar ‘Owool’. (Cultivar registration number: 5250)
        2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maturity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n important character for double cultivating system with winter crops such as onion or garlic in southern area of Korea. Soybean cultivars released in the past, especially ‘Keunolkong’ was widely cultivated but it was weak at abiotic stress and low yield potential because of too short growing period and short stem height. ‘Hanol’, a new early maturing cultivar showing better abiotic stress tolerant and higher yield potentia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1408 and ‘Hwaeomputkong’, and released in 2009. ‘Hanol’ is, compared to ‘Keunolkong’, Hanol’s growing period is five days longer and its height is 5cm higher. In addition, it showed better excess-water tolerant and 26.5g 100-seed weight. At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in six regions from 2007 to 2009, ‘Hanol’ showed 2.04 tons of seed per hectare, 14% higher than ‘Keunolkong’ (1.80ton/ha). ‘Hanol’ is promis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with higher yiel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