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treatments (electrolyzed water: EW, organic acid, and ultrasound) and their combination on reducing foodborne pathogens from perilla leaves. Perilla leaves were innoculated with a cocktail of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Inoculated perilla leaves were treated with EW combin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0.5%, 1.0%, 1.5%, 2.0%) for 1 min at room temperature. Treatment of 3 pathogens on perilla leaves with electrolyzed water combined with ultrasound (25 kHz) and 0.5% acetic acid was also performed for 1 min. While the numbers of S. Typhimurium and B. cereus showed reduced with increasing acetic acid concentra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 aureus treated with EW containing 0.5% to 1.5% acetic acid. Discoloration was observed the perilla leaves treated with EW combined with more than 1.0% acetic acid. For all three pathogens, the combined treatment of EW and ultrasound resulted in additional 0.42 to 0.72 log10 CFU/g. The maxium reductions of S. Typhimurium and B. cereus were 0.95, 1.23 log10 CFU/g after treatment with EW combined with 0.5% acetic acid and ultrasound simultaneous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EW combined with 0.5% acetic acid and ultrasound increased pathogens reduction compared to individual treatment.
A new peanut variety ‘Daan’(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Milyang 2014.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ksan 31’ with Virginia typed short stem and ‘Dakwang’ with Shinpung-typed larger grain. ‘Daan’ which is a Shinpung plant type had 13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44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long ellipse-shaped large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34 pods per plant, 127 g of 100-seed-weight and 75%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quality showed 47.8% of crude oil and 28.3%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showed resistant to early leaf spot and had more resistant to late leaf spot, stem rot and lodging, compared to reference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3 years ‘Daan’ was more productive than reference variety by 16% with 5.00 MT/ha for grain production.
A new peanut variety ‘Heuksaeng’(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14.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ksan 31’ with Virginia typed short stem and ‘Iksan 35’ with large grain. ‘Heuksaeng’ is the first purple testa variety developed in Korean. It has 25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32 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puple testa and long ellipse-shaped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60 pods per plant, 69 g of 100-seed-weight and 77%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quality showed 46.0% of crude oil and 26.9%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has anthocyanins typed as delpinidin-3-glucoside (D3G) and cyanidin-3-glucoside (C3G) in seed testa. This variety showed more resistant to late leaf spot, web blotch, and lodging, compared to reference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2 years, ‘Heuksaeng’ with 4.25 MT/ha for grain production has the same productivity to reference variety.
Early maturity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n important character for double cultivating system with winter crops such as onion or garlic in southern area of Korea. Soybean cultivars released in the past, especially ‘Keunolkong’ was widely cultivated but it was weak at abiotic stress and low yield potential because of too short growing period and short stem height. ‘Hanol’, a new early maturing cultivar showing better abiotic stress tolerant and higher yield potentia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1408 and ‘Hwaeomputkong’, and released in 2009. ‘Hanol’ is, compared to ‘Keunolkong’, Hanol’s growing period is five days longer and its height is 5cm higher. In addition, it showed better excess-water tolerant and 26.5g 100-seed weight. At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in six regions from 2007 to 2009, ‘Hanol’ showed 2.04 tons of seed per hectare, 14% higher than ‘Keunolkong’ (1.80ton/ha). ‘Hanol’ is promis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with higher yield.
A new peanut variety ‘Danwon’(Arachis hypogaea ssp. fastigiat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Milyang 2013.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YG75’ with Shinpung type and ‘SP9617’ with larger grain. ‘Danwon’ is the first Shinpung typed short stem variety ever developed in Korea. It has 13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32 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long ellipse-shaped large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40 pods per plant, 91 g of 100-seed-weight and 77%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quality showed 48.7% of crude oil and 26.9%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showed more resistant to early and late leaf spot, web blotch, stem rot and lodging, compared to reference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3 years ‘Danwon’ was more productive than reference variety by 6% with 4.52 MT/ha for grain production.
A new peanut variety ‘K-Ol’(Arachis hypogaea ssp. fastigiat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Milyang 2013. This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Baekseon’ with Shinpung type and ‘F435-5’ with high oleic acid. ‘K-Ol’ is the first high oleate variety in Korean and has short stem and Shinpung plant type. It has 10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43 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short ellipse-shaped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46 pods per plant, 74 g of 100-seed-weight and 76%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contains 26.0% protein and 50.7% crude oil with a typical fatty acid composition of 82.9% oleate and 2.7% linoleate. This variety showed more resistant to late leaf spot, web blotch, stem rot and lodging, compared to reference variety ‘Daekwan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2 years ‘K-Ol’ showed 4.34 MT/ha for grain yield by 99% of production level of reference variety.
A soybean cultivar for soy-paste, ‘Uram’,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uwon190’ and ‘SS99244’ (Shinpaldal-2 X T243) by soybean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10. A promising line, SS00232-B-B-3SSD-9-4-1-1, was select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Milyang188’. It was prominent and had good result from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in southern area of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and released as the name of ‘Uram’. It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 gray pubescence, yellow seed coat, yellow hilum, spherical seed shape and large seed (25.8 grams per 100 seeds). ‘Uram’ was found to be resistant to bacterial pustule and soybean mosaic virus, the major soybean diseases in Korea. The lowest pod height of ‘Uram’ was 19cm and it will be able to reduce seed loss during mechanical harvesting. The average yield of ‘Uram’ is 3.27 ton per hectare in southern double cropping area. Through these results, ‘Uram’ is soybean cultivar that is favorable for mechanization harvesting, resistant to diseases and highly yield.
A new peanut variety ‘Huaseon’ (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Southern Area Crop Scienc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Milyang 2013.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ksan 31’ with Virginia typed short stem and ‘SP9614’ with Shinpung-typed larger grain. ‘Huaseon’ which is a Shinpung plant type had 10 branches per plant and its length of main stem was 41 cm.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long ellipse-shaped large kernel. Its yield components showed 45 pods per plant, 84 g of 100-seed-weight and 79%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Seed quality showed 47.3% of crude oil and 27.6%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showed resistant to early leaf spot and had more resistant to stem rot and lodging, compared to reference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for 3 years ‘Huaseon’ was more productive than reference variety by 12% with 4.78 MT/ha for grain production.
Soybean is one of the important food crop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East Asia, it is the main ingredient for traditional food like soy sauce and soy paste. The double cropping system including soybean following onion, Chinese cabbage, and potato is widely adopte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In this system, sowing date of second crop (soybean) can be delayed depending on first crops’ growth period and weather condition. When planting date is delayed it is known that soybean yield is declined because of shorter vegetative growth period and earlier flowering induced by warm temperature and changes in photoperi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oybean growth and yield responses as plant populations at late planting dat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located in Miryang, Gyeongsangnam-Do for two years (‘13-’14) in upland field with mid-late maturity cultivar Daewon. A split-plot block design was used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were three sowing dates from June 20 to July 20 with 15 days intervals, and subplots were 4 levels of planting densities. Data of maturity (R8) was recorded, yield components and yield were examined after harvesting.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ROC GLM, and DMRT were used for mean comparison. Optimum planting population for maximizing soybean yield in late planting which compared with standard population. In mid-June planting, higher planting density causes increased plant height and decreased diameter which lead to higher risk of lodging, however, reduced growth period due to late planting alleviated this problem. Therefore higher seeding rates can provide protection against low seedling emergence caused by late planting in this region.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들깨의 국내 재배면적은 2013년 30.1천 ha에서 2014년 37.5천 ha로 약 20% 이상 늘어나고, 2014년 들기름 일본 수출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 이유로 들기름의 지방산 조성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알파-리놀렌산이 심장질환 예방, 학습능력 향상, 알레르기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들깨는 주로 조미용이나 착유용으로 많이 이용되므로, 종피가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많은 품종을 선호하고 있다. 2014년에 개발된 ‘소담’은 2004년에 K015926을 모본으로 하고 IT274257(밀양27호)를 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으며, 수량 및 종실특성이 우수하여 2012년 ‘밀양6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소담’은 특히 분지수가 11개로 적으며 분지각도가 좁은 신초형이다. 종피는 회백색이며,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46.4%로 높다. ‘소담’은 성숙기 10월 2일로 기존 품종보다 4일 빠르며, 6월 중하순경 파종하였을 경우, 경장이 116 cm이고, 화방군수가 83개로 많았다. 종실의 수량성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보다 95% 수준이며, ㏊당 수량은 0.97MT이다.
본 연구는 장류용 콩 품종의 논 재배 시 만파에 따른 생 육 및 수량성 변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경남 밀양에서 2012 년부터 2013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용된 품종은 대원콩, 남풍, 대풍, 새단백, 선유, 우람, 천상, 태광 등의 중만생종 품종과 참올, 황금올의 조생종 품종이었으며 6월 20일, 7월 5일, 7월 20일 세 차례에 걸쳐 파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중만생종에서 만파할수록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조생종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7월 20 일 파종 시 분지수는 태광, 대풍, 선유, 참올 등에서 많 이 발생하였고 마디수는 우람, 천상에서 가장 많았다. 2. 대부분 품종에서 6월 20일 파종 시에 가장 많은 협수 를 기록하였으나 대풍, 우람, 천상은 7월 5일 파종 시 에 오히려 협수가 많았다. 3. 만파 시 백립중은 적기 파종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하 였으며 수량은 적기 파종과 만파 시 모두 대풍, 태광, 우람 순으로 가장 높았다. 4. 만파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남풍이 9.6%로 가장 낮아 만파적응성이 가장 높은 품종인 것으로 보인다. 5. 파종기에서 개화기까지의 기간은 파종기가 늦춰지더 라도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개화기에서 성숙기까지는 만파할수록 크게 단축되었다. 중만생종 중 선유, 조생 종 중 황금올은 등숙기간의 단축이 가장 적어 만파에 따른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단백’은 고단백 다수성 콩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보광콩’과 ‘수원193호’를 교배한 계통을 다시 단백질 고함유자원인 ‘MD87L’을 모본으로 하여 1999년에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으로 2010년 12월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새단백’으로 명명하였다. ‘새단백’의 개화기는 ‘대원콩’보다 3일 늦으며, 성숙기는 10월 5일경으로 7일 빨라 등숙기간이 10일 정도 더 짧다. 경장은 64 cm로 ‘대원콩’보다 다소 작으며 도복에 강하고 불마름병에 저항성이며 바이러스와 종자병해에 강하였으나 뿌리썩음병에는 약한 편이었다. 조단백 함량은 ‘대원콩’보다 8.9% 높은 고단백 품종으로, ‘단백콩’보다 연차간 단백질 함량의 변이가 적고, 두부수율과 순두부응고력이 높으며 두부의 물성이 양호하여 두부 가공적성이 우수하다. ‘새단백’의 종실 100립중은 20.7 g으로 ‘대원콩’보다 약 4 g 가벼우나 ‘단백콩’보다 5.7 g 무거운 중립종이며, 수량성은 2.53 MT/ha로 표준품종인 ‘대원콩’에 비해 9% 감소하였으나 ‘단백콩’과는 비슷하였다.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재배종인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들깨) 와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차조기)는 서로 변종의 관계로서 염색체가 2n = 40이며, 야생종으로는 Perilla citriodora, P. hirtella, P. setoyensis가 있으며 모두 2n = 20의 염색체를 가진다. 들깨의 표준유전체 해석을 위한 재료 로서 P. citriodora(YCPL450)를 선정하였다. YCPL450은 2005년 제주도에서 수집한 들깨 야생종으로 P. citriodora 로 분류되며, 염색체수는 들깨 재배종(2n=40)의 반인 2n=20으로 유전체 해석에 효율을 높이고자 선정하였다. 유전 지도작성용 집단을 육성하기 위해 표준 유전체 재료인 P. citriodora와 P. hirtella를 교배하여 F1을 양성하였으며, SCAR marker를 이용하여 교배유무를 확인하였다. 표준유전체 및 비교유전체 분석을 위하여 재료의 순계화 양성 및 특성검정을 수행할 예정이며, 향기성분 및 진화론적 분류 탐색을 위한 집단을 양성할 것이다
‘중모3011호(밀양228호)’는 극대립 검정콩의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초형이 양호하고 다수성인 ‘청자3호’를 모본으로 극대립 검정콩인 ‘단파흑두’를 부본으로 2002년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되었다. 자엽은 황색이고 종피색은 검정색이다. 2013년 1년간 전국의 7개소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모3011호’의 성숙기는 11월 17일로 표준품종인 ‘청자3호’보다 22일 늦은 극만숙종이고, 경장은 80cm로 청자3호보다 15cm 크고 도복지수는 6으로 약하다. 종자의 100립중은 66.4g으로 ‘청자3호’보다 32.0g 무거운 극대립종이며, 수량 성은 10a당 157kg으로 대비품종의 55% 수준이었다. 불마름병과 검은뿌리썩음병에 비교적 강했다. 경실종자 는 없으며, 12시간 침종시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153%로 대비품종보다 25% 높았다. 또한 조단백질 함량은 40.5%이고 조지방 함량은 16.8%로 대비품종의 42.0%와 17.1% 보다 낮았다. 또한 기능성 성분인 이소플라본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1,682㎍과 15,556㎍으로 대비품종 보다 낮았다. 재배상의 유의점은 표준 재식거리의 재배시 도복이 나타므로 소식재배를 준수하고 성숙기가 매우 늦으므로 조기에 파종하는 것이다.
남부지방에서 강낭콩의 2기작 재배를 위한 파종기별 생육과 수량성 및 종실의 외관 품질 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로 ‘선강’ 품종, 파종기는 9시기로 4월 2일부터 8월 27일까지 흑색유공비닐 피복하 여 재식거리는 55 x 15cm, 1주 2본으로 파종하였다. 파종기별 개화소요일수는 평균 38일이고 33일(8월 6일 파종)에 서 51일(4월 2일 파종) 범위였다. 성숙일수는 평균 45일이고, 39일(4월 2일 파종)에서 59일(6월 25일 파종) 범위였 다. 생육일수는 평균 83일이고, 71일(6월 4일 파종)에서 93일(6월 25일 파종) 범위였다. 8월 27일 파종시 11월 12일 서리로 인하여 생육이 중단되었다.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경장, 분지수, 마디수, 협수가 함께 감소하다 다시 증가 하였다. 풋콩의 100립중은 평균 85.0g이고 50.5g(6월 4일 파종)에서 99.5g(4월 2일 파종) 범위였다. 춘계파종시 풋협과 종실 수량은 4월 2일 파종에 비하여 6월 4일까지 감소하였다. 추계파종시 8월 16일 파종한 시험구만 수확이 가능하였다. 6월 4일 파종은 8월 초 성숙기의 장마로 인하여 병해립이 많이 발생하여 종실의 외관 품질이 크게 저하 되었다.
들깨는 꿀풀과 1년생 식물로 우리나라 주요 유지작물 중 하나이다. 들깨의 국내 재배면적은 2013년 30.1천ha로 꾸 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들깨의 종실은 기름 함량이 40-50%이며 기름의 지방산 조성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알파-리놀렌산이 심장질환 예방, 학습능력 향상, 알레르기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들깨는 주로 조미용이나 착유용으로 많이 이용되므로, 종피가 부드럽고 기 름함량이 많은 품종을 선호하고 있다. 2013년에 개발된 ‘들샘’은 2003년에 ‘밀양28호/YPS72’ 모본에 ‘대실들깨’를 부본으로 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하였으며, 수량 및 종실특성이 우수하여 2011년 ‘밀양57 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들샘’은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품종으로, 종피가 갈색이며, 부드럽고 기름함량이 43%로 높으며, 착유량 또한 39%로 많다. ‘들샘’은 성숙기 10월 7일로 기존 품종과 비슷한 시기에 수확할 수 있다. 6월 중하순경 파종하였을 경우, 경장이 134 cm이고, 화방군수가 77개로 많았다. 종실의 수량성은 3년간 지역적응 시험 결과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보다 5% 증수하였으며, ㏊당 수량은 1.43MT이다.
국내 콩의 재배면적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연간 1인당 소비량은 8kg을 유지하고 있어 식용콩의 자급율이 30%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콩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수량성이 높은 품종을 개발하여 왔 으며, 2002년 ‘신팔달콩2호’의 수량성을 이용한 ‘대풍’이 평균 3MT/ha 이상의 다수성 품종으로 개발되었으나 종자 의 배꼽색이 갈색이며 크기가 작아 보급이 확대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개선하기 위해 2012년 ‘대풍’을 모본으로 하여 종자상의 단점을 개선한 ‘진풍’이 개발되었으며, 2013년에는 ‘진풍’보다 종자가 굵고 품위가 우수 한 다수성 ‘선풍(밀양231호)’을 개발하였기에 그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선풍’은 ‘신팔달콩2호’에 ‘화엄풋콩’을 교배하여 대립화한 ‘수원 224호’에 ‘동산121호’와 ‘Sprite87’의 교잡후대로서 종실품위가 우수한 계통을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따라 육성한 품종이다. ‘선풍’은 성숙기가 10월 19일로 현재 가장 많이 재배되는 ‘대원콩’보다 5일 늦으며, 불마름병과 SMV에 저항성이다. 종자의 배꼽색이 없고 100립중이 ‘대원콩’보다 1.7g 무거운 대립이면서 내탈립성이 강하다.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전 지역에서 ‘대원콩’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특히 중남부지역에서 평 균 3.4MT/ha로서 대원콩 대비 21% 증수하였다.
‘건백(밀양44호)’은 고품질, 다수성 참깨 품종 육성을 목적으로 2001년 모본 ‘성분’과 부본 ‘SIG950006-4-1-1”를 인 공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이다. 주요 형태적 특성을 보면 초형은 소분지형이고 꼬투리는 3과성 2 실 4방형으로 달리며 꽃과 종피는 흰색이다. ‘건백’의 개화기와 성숙기는 7월 6일과 8월 24일로 표준품종인 ‘양백’ 보다 조금 느리다. 반면에 경장은 149 cm로 크고 주당삭수가 90개로 많으며 역병 및 도복에도 강한 특성을 나타내 었다. 종실수량은 전국 7개 지역 평균 119kg/10a으로 표준품종인 ‘양백’보다 15% 증수하여 국내 참깨 육성 품종 중 최대 수량성을 보였다. ‘건백’의 품질 특성을 보면 조지방 함량은 50.2%이며, 리그난의 주요성분인 세사민 함량은 396 mg/100g을 나타내었다.
참깨 “중모5005(밀양43호)”는 내병 다수성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모본 “한섬깨”와 부본 “SIG950033-2-2-1”을 2000 년 인공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이다. “중모5005”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보면 초형은 소분지형이고 꼬투리는 3과성 2실 4방형이며 화색은 백색이다. “중모5005” 의 개화기는 7월 6일로 표준품종인 “양백깨”보다 2일 늦고 성숙기는 8월 24일로 1일이 늦었다. 경장은 142cm로 “양백깨”보다 17cm 컸으며 착삭부위장도 컸고, 주당삭 수는 76개로 1개가 적은 경향이다. “중모5005”의 종실수량은 103kg/10a으로 “양백깨”와 같았다. 또한 “중모5005” 는 표준품종인 “양백깨”보다 역병, 도복에 강한 특성을 나타냈다. “중모5005”의 품질 특성을 보면 조지방함량은 50.1%로 높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23.4%로 낮았고, 인체의 노화억제와 항암 효과가 있는 기능성 리그난성분인 세 사민 함량은 4.4mg/g으로서 표준품종 “양백깨”보다 1.3mg/g 많은 품종이다.
콩의 특성 중 작부체계 및 기계화 적응성은 재배적 측면에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조숙화로 인한 생육기간의 단기화는 9월 하순 파종, 6월 중하순 수확하는 양파나 마늘 같은 후작 작물의 작부체계 구성을 유리하게 한다. 또한 착협고의 증가와 내도복성은 콤바인 또는 바인더 등 기계화 수확 시 수량손실 감소에 기여할 수 있어 생산비 절감 등 수익 증대를 위해 조숙 기계화 적응성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2003년 ‘신기’를 모본으로 ‘태광콩’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4년∼2005년 F1, F2 세대를 양성하고, F3부터 계통 전개 및 선발하여 준조숙 고착협 내도복 특성의 장류 및 두부용 콩 신품종 ‘태선(밀양230호)’을 육성하여 2014년 품종보호 출원 및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하였다. ‘태선’은 경장이 68㎝ 에 화색은 농자색, 모용색은 회색, 종실은 황색 구형, 배꼽색은 황색이며 100립중은 22.2g이다. 병해충 저항성 검정 결과 불마름병 저항성은 표준품종인 대원콩보다 강하였다. 특히 성숙기는 2011년에서 2013년의 지역적 응시험 평균 10월 4일로 표준품종인 대원콩보다 10일 빨라 생육기간이 짧아졌지만 수량은 303㎏/10a로 표준 품종인 대원콩보다 10% 증수하였고 착협고는 18㎝로 대원콩보다 7㎝높으며 내도복성 또한 시험포장과 검정 포장에서 대원콩보다 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