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환경 조경요소의 기온저감효과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Reduction by Landscape Elements in Urban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과밀화, 대기오염, 녹지의 감소, 에너지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도시열섬현상이나 여름철 기온상승을 야기한다.본 연구는 여름철 도시내 자연요소에 의한 기온저감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로킹블럭 포장, 점토벽돌포장, 화강석 포장, 회양목 식재, 잔디밭, 연못 등과 같은 지표면 피복재별 복사열을 분석하였으며 중앙분리대 녹음수 식재의온도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지표면 피복재의 복사열은 수면, 잔디밭, ILB 포장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잔디밭에 비하여 녹음수 아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낮았다. 점토벽돌, 화강석 판석, 회양목 식재지를 비교하면 복사열은 회양목 식재지, 점토벽돌, 화강석 포장지 순으로 낮게나타났다. 중앙분리대 녹음수 아래의 기온이 보도, 횡단보도 중앙부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도시온도 저감을 위해서는 평면적 구성에서 수공간과 잔디밭의 확보가 바람직하고 대규모 위주의 입체적 식재가 요구되며또한 포장재의 신중한 고려 및 가로수, 중앙분리대 식재 등 도로상에 대형목 식재의 도입을 검토해야 할것이다.

As urbanization has been expanded, this has brought out environmental changes for the worse, such as overpopulation, air pollution, energy depletion, etc.. Another change brought about is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or temperature rising in summ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of nature elements. It analyzed that the radiant heat of covering materials - interlocking blocks, clay bricks, granite flagstones, lawns, ponds - and the temperatures under a tree on median strips, sidewalks, and sunny median strips. The radiant heat of covering materials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were highest in the of order interlocking blocks, lawns, and ponds. Compared with clay bricks, granite flagstones, and boxwood planters, their temperature was lowest in of order boxwood planters, clay bricks, and granite flagstones. The temperature under the trees on median strips is lower than on sidewalks, or sunny median strip. It was needed composition of lawn and water space in planar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urban temperature. and three-dimensional planting is required. Planting in urban street such as roadside trees and plants of the road median should be considered. also Careful selection of paving materials is important.

저자
  • 안득수(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Ahn, Deug soo Corresponding author
  • 정나라(전북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Jeong, Na Ra
  • 강상희(전북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Kang, Sang H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