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동계 사료작물을 2012년 5월 중 순부터 하순까지 지역별로 조사료 생산성을 조사하여 조사 료의 생산성의 지표나 기초적인 통계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도별로 2개소씩 안배하여 총 16개 시 군 66개 농가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IRG는 11개 시 군 22농가, 총체보리는 8개 시 군 21농가, 호밀은 5개 시 군 11농가, IRG +총체보리 혼파는 6개 시 군 12농가에서 실 측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료의 건물수량은 전체평균 9,418 kg/ha 이였으며, 호밀, IRG의 수량 보다 총체보리 또는 IRG +총체보리 혼파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조사지역중 공주(IRG +총체보리 혼파)에서 가장 높은 수량(15,128 kg/ha)을 보였으며 당진(간척지에서 IRG)에서는 가장 낮은 수량(3,885 kg/ha)을 나타냈다. 지역별 조사료 생산성은 일 정한 경향이 없이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어 지역보다는 농 가의 재배수준에 따른 생산성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We examined the use of basic forage data and indicators of forage productivity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The productivity of winter forage crops was evaluated from mid to late May 2012 by directl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farmhouses. A survey of winter forage crop productivity was conducted with 66 farmers in 16 regions; including, Italian ryegrass (IRG) from 22 farmers in 11 regions, whole crop barley from 21 farmers in eight regions, rye from 11 farmers in five regions, and IRG mixed with whole crop barley from 12 farmers in six reg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onju region exhibited higher yields of dry matter (DM) forage (15,128 kg/ha) and that the Dangjin region (reclaimed land) showed the lowest (3,885 kg/ha). The average yield of DM forage was 9,418 kg/ha. Yields of whole crop barley and IRG mixed with whole crop barley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rye and IRG. We conclude that overall forage productivity was influenced by farmer’s cultivation ability rather than the forage cultivat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