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주요 조사료의 Linoleic acid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nges of Linoleic Acid Concentration in Major Domestic Forage Spec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8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조사료 종류와 수확시기에 따른 linoleic acid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재 배되는 주요 목초 및 사료작물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전체 19종의 목초 및 사료작물 이 조사대상 이었다. 대상작물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 되는 8종의 화본과 목초(Perennial ryegrass, Reed canarygrass, Tall fescue, Timothy, Bromegrass, Kentucky bluegrass, Orchardgrass and Wheat grass), 6종의 두과목초 (White clover, Red clover, Sweet clover, Crimson clover, Alfalfa and Hairy vetch), 그리고 5종의 월동 사료작물 (Italian ryegrass, Barley, Rye, Oat and Rape)에 대하여 3번 의 수확시기를 두었다(5월 8일, 5월 19일 및 5월 28일). 화본과 목초 중에서는 Reed canarygrass와 timothy가 가장 높은 lin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고 남방형 목초인 bromegrass가 가장 낮았다. 모든 초종은 5월 19일 조사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 28일 조사 시 가장 낮았 다. 두과목초는 화본과 목초보다 linole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5월 19일 수확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사료작물 중에서는 유채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호 밀은 높은 수준이었다.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수확시기 가 진행됨에 따라 lin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육종, 품종의 선택 및 재배관리를 통하여 CLA 전구물질인 linoleic acid 함량 을 변화시켜 반추가축 생산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the range of linoleic acid concentrations in different forage species and harvest stages. The linoleic acid concentrations in main cultivated grasses and forage crops were analyzed at three harvesting dates in Korea. The experiment compared 19 species of main grasses and forage crops, including eight species of grasses (Perennial ryegrass, Reed canarygrass, Tall fescue, Timothy, Bromegrass, Kentucky bluegrass, Orchardgrass and Wheat grass), six legumes (White clover, Red clover, Sweet clover, Crimson clover, Alfalfa and Hairy vetch) and five forage crops (Italian ryegrass, Barley, Rye, Oat and Rape) in Korea with three cuts (8 May, 19 May and 28 May). The linoleic acid concentrations of Reed canarygrass and Timothy were the highest, and Bromegrass was the lowest among the grass species. All grass species had high concentrations of linoleic acid at the late May harvest stage but were low at the mid May harvest stage. Legumes had higher linoleic acid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grasses, and harvesting in mid-May resulted in the highest linoleic acid concentration. Rape had the highest linoleic acid concentration and rye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linoleic aci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forage crops. All species of grasses and forage had decreased linoleic acid concentrations by the harvest stage. We have demonstrated opportunities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ruminant products through breeding, selection, and management of grasses for altered levels of linoleic acid as a precursor to conjugated linoleic acid.

저자
  • 박형수(국립축산과학원) | Hyung Soo Park
  • 서성(국립축산과학원) | Sung Seo
  • 임영철(국립축산과학원) | Young Chul Lim
  • 최기춘(국립축산과학원) | Ki Chun Choi
  • 김지혜(국립축산과학원) | Ji Hea Kim
  • 이기원(국립축산과학원) | Ki Won Lee
  • 김종근(국립축산과학원) | Jong Ge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