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채취시기 및 생산방법에 따른 천일염의 성분 분석 KCI 등재 SCOPUS

Analysis of component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ng time and production method in sun-dried sal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8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생산시기별 국내산 천일염(장판염, 토판염)의 성분 비교와 미생물 오염 실태 조사를 통하여 천일염 품질 관리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월별 천일염 시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15% 이상의 높은 수분함량을 보인 시료도 포함되어 식염규격기 준에 부적합하였지만, 불용분의 경우 장판염과 토판염이 별개의 기준을 가지고 있어 모두 현재 기준에 부합하였다. 또한 사분은 0.2% 이하의 기준을 초과한 시료도 일부 검출 되었다. 회분 함량과 염도는 토판염이 장판염에 비해 약 10% 내외로 높아, 생산방법별로 구분하여 장판염은 염도 80% 이하(회분 80% 이하)의 기준을, 토판염은 염도 90% 이하(회분 85% 이하)의 기준 적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염 소 이온(40% 이상)에 대한 분석 결과, 9월~10월에 채집한 장판염 시료에서만 기준보다 낮아, 가을에 채취한 천일염 의 경우 채취시기를 명확히 하는 등 별도의 관리 강화 방안 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식염 규격 기준 외에 무기이온 (Na, Mg, K, Ca, Zn, Fe) 및 미생물조사(중온, 대장균, 연쇄상 구균, 호염균)를 실시한 결과, 주요 무기 성분에서 토판염보 다는 장판염에서 생산시기별 차이를 조금 보였지만, 마그 네슘만이 온도가 높은 여름보다 온도가 낮은 봄, 가을에 그 함량이 조금 높을 뿐, 월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 다. 또한 미생물 오염도 실태 조사에서는 생산방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9~10월에 수집한 시료에서 일반세 균, 연쇄상 구균 및 호기성 호염균이 상당히 높게 검출되어 관리 기준 마련 시 생산시기를 고려한 강화 방안도 고려되 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후, 토양 등 생산 환경과 생산방법에 따라 뚜렷한 성분 차이를 보이는 우리나라 천일 염을 장판염과 토판염으로 구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 합한 관리 기준이 마련되어 천일염 품질 관리 및 등급 기준 에 따라 균일한 천일염이 생산된다면, 세계시장 진출 시 고품질의 천일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부서에서는 제도 마련과 지원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mestic sun-dried salt (white and gray salts) according to their collection time and produc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white and gray sun-dried salts were 10.4~13.2% and 5.2~8.0%, respectively, and the sand contents were 0.1% and 0.2~0.3%,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onth. Several samples exceeded the criteria of 15% moisture content and 0.2% sand content. The ash content and salinity of gray salt (below 85% and 90%,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white salt (both below 80%). The total chloride contents of the salts colle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were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s and exceeded the criteria of above 40%. In the case of mineral cont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llection times because the analyses showed a marked deviation.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oduction method, but the salt samples colle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had relatively high detection rates of total aerobe, staphylococci, and halophilic bacteria.

저자
  • 김영섭(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Yong-Xie Jin
  • 김행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Haeng-Ryan Kim
  • 김소영(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 | So-Youn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