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장 방법에 따른 즉석섭취형 함박스테이크의 냉장저장 중 품질 변화 KCI 등재 SCOPUS

Quality changes in ready-to-eat hamburg steak depending on the packaging methods during chilled stor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8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포장방법에 따른 함박스테이크의 냉장저 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polylactide(PLA) tray를 이용한 함기포장(AC)이었으며, 처리구로는 진공포 장(VAP)과 탈산소제 봉입포장(OS)이 적용되었다. 총균수 는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AC구에서의 총균수 증가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기 간 중 TBA와 VBN값은 AC구에서 가장 빠른 증가를 보였으 며 그 다음으로는 OS, 그리고 VAP포장구의 순이었다. 관능 평가 결과 VAP구와 OS구 시료들은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 서 12일째까지 5.0점 이상의 평가를 받은 반면, AC구는 모든 항목에서 5.0 미만으로 이미 상품성을 상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VAP나 OS처리를 통하여 포 장 내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호기적 미생물의 생장과 산화작 용의 억제로 인한 지방산패나 단백질부패속도가 지연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the various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 steak depending on the packaging methods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5±1℃ for up to 15 days. Three packaging treatments including vacuum packaging (VAP), air-containing packaging (AC), and oxygen scavenger packaging (OS) were applied in this experiment. The initial total aerobe bacteria counts were identical at 2.3 log CFU/g in all treatments, but the growth rate of total aerobe bacteria in the AC samples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 VAP and OS samples during storage. The changes in the TBA and VBN values over the storage time showed that lipid oxidation and protein spoilage developed fastest in the AC sample, followed by OS and then VAP samples. The instrumental color and texture profi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reatments during storage (p>0.05). After 12 days of storage at 5℃, evaluation of the samples’ sensory attributes showed that the AC samples had become unmarketable with a score of less than 5.0 points for all sensory properties, whereas the VAP and OS samples were still marketable.

저자
  • 임지훈(한국식품연구원 대사영양연구단) | Ji Hoon Lim
  • 이성기(강원대학교 동물식품응용과학과) | Sung Ki Lee
  • 정승희(지오푸드텍 연구소) | Sung Hee Cheong
  • 이근택(강릉원주대학교 식품가공유통학과) | Keun Tai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