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아동의 구강감각치료의 효과 KCI 등재

Effect of Oral Sensory Treatment on Oral Function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9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연하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구강기능에 대한 구강감각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OO대학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뇌성마비 아동 중에서 구강기능척도의 총점이 40점 이하인 18명의 아동이었다. 한 집단의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강감각치료 전, 후의 구강기능척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구강감각치료 방법은 손가락으로 눌러주기, 얼음막대로 자극하기, 전동칫솔로 자극하기이며, 자극 횟수는 치료 매뉴얼에 따라 각 부위 별로 10회씩 시행하였다. 구강감각치료는 1회당 30분씩, 주 2회씩 하여 8주 동안 총 16회 실시하였다. 결과 : 구강감각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의 전반적인 구강기능을 향상시켰다. 특히, 구강준비단계에서 필요한 턱과 입술과 혀의 움직임을 향상시켰고, 구강감각치료 후에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뇌성마비아동에게 구강감각치료를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의 마비 유형과 장애 유형을 고려해서 각 유형 간의 구강기능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sensory treatment on the oral function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Eight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were chosen. They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and received a total score of below 40 points in an evaluation of the oral function while feeding. The study was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and showed a difference in oral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oral sensory treatment. The oral sensory treatment included pressing with the fingers, and stimulating the cheek, chin, lips, tongue, and soft palate with an ice stick and electric toothbrush. The oral sensory treatment was conducted thirty minutes per day, two days a week, for 8 weeks. Result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sensory treatment had an effect in the improvement of the childrens oral function. In particular, ‘chin closing’, ‘closing the lips over a spoon’, and ‘tongue control’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dition, after oral sensory treatment, the subjects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 swallowing scale (ASHA NOMS). Conclusion : Further studies into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erebral palsy and oral function should be conducted.

저자
  • 송우진(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 Song, Woo-Jin
  • 박지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Ji-Hyuk Corresponding author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Eu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