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the Mentally Disabl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정신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정신적 장애인을 대 상으로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원예치료 프로그램 중 공예활동이 가장 많이 진행되 었으며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시기별로는 전기보다 후기에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재배활동에서는 일반재배,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고 시기별로도 전기보다는 후기에 프로그램이 증가되 었다. 공예활동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화훼장식품이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가 많았고 시기별로는 전기보다 후기에 더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요리 활동에서는 차와 관련된 프로그램, 대상자별로는 지적 장애가 가장 많았다. 시기별로는 전기보다 후기에 더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학습활동에서는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별로는 정신적장애가 많았고, 시기별로는 전기보다 후기에서 증가했다. 야외활 동의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소풍이 많았으며, 대상자별로는 지적장애에서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또한 시기별 로는 전기보다 후기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horticultural-therapy program, which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mentally disabled, relevant 559 copies of ‘Confirmation Note of horticultural activity’ submitted for to be used the use in license examination to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lbeing Association were used as a tool. It contains 64 horticultural therapists for level 1 and 524 horticultural therapists for level 2 from May in 2000 to February in 2008. With the aim of examining difference depending on people covered by the program, license kind and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period in horticulture therapists, χ 2 test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frequency in each.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program, which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mentally disabled, the ‘art and craft activity’ was the largest with 46.0%. In terms of ‘growing activity’, the ‘normal growing’ showed the highest ratio with 74.7%. In the ‘art and craft activity’, the ‘flower decoration’ showed the highest ratio with 37.5%. In the result of ‘Cooking activity’, the activity related to ‘tea’ was the largest ratio with 33.6%. As a result of ‘learning activity’, ‘orientation’ was the largest ratio with 47.6%. In the ‘outdoor activity’, ‘excursion’ was the largest ratio with 36.7%.

저자
  • 문미영(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Mi Young Moon
  • 장유진(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Eu Jean Jang Corresponding author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 Ho P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