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규범적 표상의 방향성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orientation on recognizing object represen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규범적 표상은 단어나 주제가 주어졌을 때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심상이다. 이러한 규범적 표상은 대상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특정한 조망이나 방향으로 떠오르게 된다. 규범적 표상이 측면임을 시사하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표상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규범적 표상을 자연범주와 인공범주로 구분하여 자극의 제시 방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실험은 그림의 방향성(왼쪽/오른쪽)과 범주(동물, 자연범주/도구, 인공범주)를 두 가지 독립변인으로 하여 설계하였으며 단어-그림 일치 판단과제를 사용하여 정답 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답 반응률은 범주 내에서 방향성에 따른 모든 조건에서 천장효과를 보였으며 아주 근소한 차이만 있었다. 반응시간에서 범주변인의 주효과, 범주와 방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자연범주에 속하는 동물 그림에서 방향성 효과가 관찰되었다. 동물의 머리가 왼쪽으로 향하는 그림이 오른쪽으로 향하는 그림 보다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빨랐다. 그러나 인공범주에 속하는 도구 그림에서는 방향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의 규범적 표상의 방향성은 왼쪽을 향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orientation of the head position across different categories affect reaction time and accuracy of object recognition. Fifty four right handed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performed the word-picture matching tasks, which were different in terms of head direction of object (i.e., Left-headed or Right-headed) and object category (i.e., natural : animal or artificial : tool).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cide whether each picture matched the word which was followed by the picture. For accurac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both animal and tool pictures due to the ceiling effect. Interaction effect of category and orient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only the main effect of category was significant. In the animal condition, faster reaction times were observed for left to right than right to left presentation, whil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ool condition.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s canonical representation was different across different categories. The faster RT for the animal condition implies that the canonical representation for animal is left-headed. This could be due to the orientation of the face.

저자
  • 정효선 | Jung, Hyo-Sun
  • 이승복 | Lee, Seung-Bok
  • 정우현 | Jung, W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