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고유형 및 성별에 따른 광고효과와 정서반응 패턴: 스토리텔링, 이미지, 정보전달 광고를 중심으로 KCI 등재

Influence of advertising type and gender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efficacy of storytelling advertis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7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스토리텔링 광고는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기존 몇몇 활자형태의 내러티브 광고에 대한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광고가 정보전달 광고보다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상업용으로 제작된 광고들을 사용하여 스토리텔링 광고가 다른 광고 유형(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품유형과 브랜드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같은 제품에 대해 스토리텔링 광고, 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 모두가 제작되어 있는 광고를 탐색하였으며 최종 9개의 광고가 선정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광고효과, 광고후 감정, 각성정도, SAM이 측정되었다. 예비분석을 통해 광고후 감정은 크게 정서적 감정과 인지적 감정으로 나뉘어졌으며, 이를 대상으로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광고효과, 각성수준, 정서적 감정 모두에서 스토리텔링 광고와 정보전달 광고가 이미지 광고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스토리텔링 광고는 정보전달 광고에 비해 평균은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성별의 주효과는 각성수준에서 경향성만이 관찰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각성수준을 보였다. 광고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감정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관찰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 광고에서는 남성이, 이미지 광고에서는 여성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Storytelling advertis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ad types in marketing fiel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storytelling ads in consumer and advertising research.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advertising, this study collected 9 commertial ads, which consisted of 3 advertising types(storytelling, informative, image) × 3 products(digital camera, coffee, health drink).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emotions after ads and arousal level, as well as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among the three types of advertising. Preliminary analysis revealed that the emotions after ads could classified into two distinct emotion types, affective emotions and cognitive emotions, and we used the two emotion types as emotions after ads to simplify th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orytelling ad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image ads, but this power of storytelling ads may not be found in the comparison with informative ads. It is also found that storytelling ads can help form a more positive attitude for males than for females, whereas image ads can have an more impact on females than males. In addition, it can be proposed that affective emotions after ad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types, b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advertising types and gender may depend on the cognitive emotions after ads.

저자
  • 정은경(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 Chung, Eun Kyoung
  • 최지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Choi, Ji Eun
  • 손영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Sohn, Young W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