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8.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of soybean oil and bread crumbs mixture for pork patty.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re were ten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for soybean oil and bread crumbs.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analyses of each sample, including pH, cooking loss, thickness increase, moisture content, lightness,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gumm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quality (p<0.05). The optimum formulation calculat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 was 13.61 g of soybean oil and 6.35 g of bread crumb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the meat industry, which tends to decrease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ith a concomitant enrichment in the 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4,200원
        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radon, we analyzed from 55 house, 37 government office, 54 schoolfrom June 2008-June 2011 in Chungnam area. From the result of surveying indoor radon degree of 146 facilities,the annual average geometric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was 69.4Bq/m³, 40.5Bq/m³, 51.4Bq/m³ in house,government office, school respectively. As for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ased on seasons, the radon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winter in al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by dividing the construction year, into before 60s, 60-70s, 80-90s and 2000s, the radon concentration was lowerin all the newly constructed facilities. As for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basement, concentration of house, government office and schools having basement was 52.2Bq/m³, 44.5Bq/m³,36.4Bq/m³ that of having no basement was 75.2Bq/m³, 53.6Bq/m³, 67.4Bq/m³ respectively. Place having nobasement tend to show higher concentration.
        4,000원
        10.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s and mixing condition of skim milk powder (A), and roselle (B) for the production of yogurt prepared with rosell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estimat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 which yielded ten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for the skim milk powder and roselle.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analysis of each sample, including pH (P<0.001), titratable acidity (P<0.001), color (P<0.05), viscosity (P<0.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tioxidant properties (total phenolic conte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iable cell counts of lactic aci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sensory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or, flavor, sourness, texture, and overall quality (P<0.05). The optimal formulation, calculat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7.82 g of skim milk powder and 2.09 g of roselle. From findings of this study, the roselle may be used in yogurt and can be applied for other food industries.
        4,000원
        1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for two different amoun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powder and olive oil for the processing of chicken sausag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ten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for turmeric powder and olive oil.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analysis of each sample, including water holding capacity, moisture content,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sensory evaluations also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flavor, tenderness, chewiness, and overall quality. The optimal formulation, calculat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1.89 g of turmeric powder and 9.77 g of olive oil. Under these conditions, the model predicted pH-6.01, salinity-0.20, WHC-94.88, L* value-61.13, b* value-37.45, hardness-36.66×102 (N), springiness-8.70 (mm), chewiness-26.88×103 (N×mm).
        4,000원
        1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간과 돈 효과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돈보다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 및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과 돈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는 각 개인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시간은 경험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은 물질적 제품보다 경험적 제품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발하는 반면, 돈은 소유로 대표되는 물질주의적 가치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경험적 제품보다는 물질적 제품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품유형에 스마트폰을 더하여 시간과 돈의 효과가 소비자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기존에 자신이 사용하였던 제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만족도에 대해 시간과 돈 활성화 조건과 3 가지 제품유형(패밀리 레스토랑, 스마트폰, 고급브랜드청바지)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스마트폰에 있어서는 시간활성화가 돈활성화보다 높은 만족도를 유발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1에서 사용된 제품유형에 대한 이미지 광고를 사용하여 시간과 돈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구매의사, 개인적 관련성 변인 모두에서 시간돈활성화 조건과 제품유형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역시 스마트폰에서만 유의미한 활성화조건간 차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활성화조건의 주효과도 관찰되어 시간활성화 광고가 돈활성화 광고보다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용적 함의점이 논의되었다.
        4,000원
        1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토리텔링 광고는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기존 몇몇 활자형태의 내러티브 광고에 대한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광고가 정보전달 광고보다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상업용으로 제작된 광고들을 사용하여 스토리텔링 광고가 다른 광고 유형(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품유형과 브랜드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같은 제품에 대해 스토리텔링 광고, 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 모두가 제작되어 있는 광고를 탐색하였으며 최종 9개의 광고가 선정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광고효과, 광고후 감정, 각성정도, SAM이 측정되었다. 예비분석을 통해 광고후 감정은 크게 정서적 감정과 인지적 감정으로 나뉘어졌으며, 이를 대상으로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광고효과, 각성수준, 정서적 감정 모두에서 스토리텔링 광고와 정보전달 광고가 이미지 광고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스토리텔링 광고는 정보전달 광고에 비해 평균은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성별의 주효과는 각성수준에서 경향성만이 관찰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각성수준을 보였다. 광고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감정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관찰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 광고에서는 남성이, 이미지 광고에서는 여성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4,600원
        1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절부합은 개인의 조절초점 성향과 평가 및 판단 전략이 지닌 조절초점이 서로 일치할 때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및 의사결정의 영역이 유발하는 조절초점과 개인의 조절초점간의 부합이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향상적 영역으로는 제품 디자인 평가를, 예방적 영역으로는 도덕적 평가를 사용하여 조절부합 효과를 알아보았다. 향상초점과 관련된 영역인 미적 제품에 대한 평가 과제를 사용한 실험 1에서는 향상초점인 사람들이 예방초점인 사람들에 비해 긍정적인 것은 더 긍정적으로, 부정적인 것은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F(1, 95) = 4.87, p < .05. 반면 금지와 규범적인 도덕 상황을 사용한 실험 2에서는 금지적 상황에서만 예방초점인 사람들이 향상초점인 사람들에 비해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결정에 대해서는 더 비 도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F(1, 139) 4.14, p < .05. 반면 규범적 상황에 대한 평가에서는 이러한 조절부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가 및 의사결정 영역과 관련해서도 조절부합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1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for three amounts of onion powder, sugar, and butter to prepare onion powder cookie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based on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methodology of response surface, which included 16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for onion powder, sugar, and butter. The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cookies were measured, and these values were applied to the mathematical models.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mixed final product. The results of the spread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but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of onion powder and sugar but decreased with butter (p<0.01). The color lightness "L"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of sugar and butter but decreased with added onion powder. In contrast, the redness color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of onion powder and sugar. Sugar did not affect the yellowness color "b" value, but the color b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onion powder and sugar. The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using the predicted model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flavor (p<0.01), texture (p<0.05), taste (p<0.05), and overall quality (p<0.01).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12.58 g onion powder, 35 g sugar, and 52.38 g butter.
        4,000원
        1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형성에서 긍정/부정이라는 정서적 방향성이 분명하게 이탈된 디자인을 활용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사에 성격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기존의 긍정적 전형성에서 부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과 기존의 부정적 전형성에서 긍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에 대한 참가자들의 선호도와 구매의사가 측정되었으며 여기에 미치는 개인 특성으로 외향성, 신경증, 심미적 성향이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부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보다 긍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을 훨씬 더 선호하였고 구매의사도 더 높았다. 부정적으로 이탈된 디자인 제품의 선호도에는 신경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신경증이 높을수록 부정이탈 디자인 제품을 더 선호하였다. 또한 부정이탈 디자인 제품의 구매의사에 대해서는 선호도와 외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즉 내향적인 사람일수록 높은 선호도가 실제 구매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긍정이탈 디자인 제품에 대해서는 성격의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전형성 이탈 디자인 제품에 있어서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선호도 및 구매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4,000원
        1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 버섯속에 속하며 성숙한 갓의 모양은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 을 사이에 침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항염증, 항콜 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새로운 유망 야생버섯을 개발하 기위하여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섯 10계 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성을 검 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4계통간 교배를 하여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 계통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여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48 과의 교배계통으로서 Ppm- 430 계통을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Ppm- 430계통의 주요 특성으로는 자실체 발생온도는 16∼ 18℃, 생육온도는 15∼17℃이며 850㎖ 병재배가 적합하 며 병재배시 군사배양기간은 32일이며 균긁기 후 초발이 소요일수는 3.4일이었다. 자실체의 발생형은 다발형, 갓 의 단면 형태는 얕은깔떼기형, 갓의 색깔은 흑갈색, 대의 색깔은 흰색, 갓에 대한 대의 부착형은 편심형, 수량은 850㎖병당 102.2g이었으며 맛과 색깔이 양호하였으며 적합한 배지조성은 미송톱밥25+면실박20+콘코브25+ 비트펄프30%이었다.
        1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 과에 속하는 사물기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 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식용 및 생리활성이 뛰어난 약용 겸용버섯이다. 본 실험은 새로 운 버섯 품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잎새버섯 계통을 수집, 균사생리 특성 조사를 하여 등록품종 잎새1호 및 MKACC52026계통을 교배모본으로 선발한 후 잎새1 호의 단포자를 분리, 발아된 1핵균사와 MKACC52026계 통의 2핵 균사간 교배를 하여 우량 교배계통으로서 새로 운 다수성 품종 "대황"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는 균 사생장 최적온도는 30℃, 자실체 발생 온도는 16∼18℃, 자실체 생육온도는 15∼-18℃, 갓의 색깔은 황갈색, 자 실체 발생형은 다발형이었으며 병재배가 가능하며 갓 표 면에는 윤문이 있고 자실체는 다발이 크며 수확은 밑면 갓 이 두꺼워지기 직전이며 수량은 850㎖ 병당 85g이었다. 적합한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75(입도 3∼5㎜ 25% + 입도 1∼2㎜ 75%)%+미강 10+옥수수피 15%이며 병재 배 균사배양 적온은 21∼23℃, 후숙기간은 10일, 후숙온 도는 21±1℃였으며 균긁기 및 버섯발생 초기의 충분한 배지표면 습도관리와 소량의 환기 및 1일 16시간의 조명 이 필요하고 자실체 생육시 충분한 환기가 있어야 할 것으 로 생각되었다.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은 담자균문, 주 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 버섯속에 속하며 성숙한 갓의 모양은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침 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본 실험은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섯 10계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 성을 검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4계통간 교배를 하여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계통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여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39와의 교배계통 으로서 Pp-m-151 계통을 우량 계통으로 선발하여 기 존에 보급되어있지 않은 산느타리버섯의 새로운 품종 "호 산"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는 자실체 발생형은 다 발형,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30℃, 자실체 발생온도는 16 ∼18℃, 생육온도는 15∼17℃, 850㎖ 병재배시 균사배 양기간은 28일, 초발이소요일수는 4일, 갓 단면의 형태는 얕은깔때기형, 갓의 색깔은 흑갈색, 대의 형태는 굵고 대 의 색깔은 백색, 갓에 대한 대의 부착형태는 편심형, 유효경 수는 병당 9.2개, 수량은 115.3g이었으며 적합한 배지조 성은 미송톱밥25+면실박20+콘코브25+비트펄프30% 이며 수확적기는 갓 모양이 폐모양에서 선풍기 펜모양으 로 변할 때이었다.
        1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 과에 속하며 저령, 잎새버섯 등 4종이 알려져 있고 사물기 생균으로서 늦가을에 물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발생한다. 식용 및 약용 겸용버섯으로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는 대량 재배 및 대량 소비품목이 나 국내에서는 안정적인 재배기술 개발 및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다. 잎새버섯의 종균종류로서 국외에서는 톱밥, 액 체, 종목, 곡립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주로 톱밥종균 이 쓰이며 최근 액체종균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액체 종균의 제조방법 및 효과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실험 은 잎새버섯의 봉지재배시 액체종균의 제조방법을 개발한 결과이다. 잎새버섯 액체종균 배지로서 설탕 540g+ 효모 추출물 20g+콩식용유 15㎖/18ℓ 수도수를 조제, MKACC52026 균주를 접종하여 18ℓ병에서 7일간 배양 할 경우 톱밥종균에 비해 종균생산 소요일수가 38일 단축 되며, 봉지배지에 접종하여 중온범위에서 재배한 결과 톱밥 종균에 비해 균사배양기간이 3일, 버섯발생은 11일, 수확 소요일수는 1일 단축되고 수량이 16% 증가하였다.
        2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버섯속에 속하며 미 색 또는 약한 황갈색을 띄며 일반 느타리버섯에 비해 작고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침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순하며 향기가 있고,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기능성을 가지 고 있다. 본 실험은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 섯 10계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 성을 검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 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교배로서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계통 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였다. 2차 선발 결과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39와의 교배로서 4 계통, GWM20107와 GWM20145와의 교배로서 4계통, GWM20107와 GWM20148과의 교배로서 16계통 등 총 24계통을 선발하였으며 그 중에서 갓의 색깔, 갓의 모양, 대의 모양과 길이 및 경도, 수량특성에 따라 GWM20107 와 GWM20139와의 교배계통으로서 PP-m-151, GWM20107와 GWM20145와의 교배계통으로서 PPm- 178, GWM20107와 GWM20148과의 교배계통으로 서 PP-m-418, PP-m-430 계통을 선발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