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기재배 벼 시비에 있어서 주로 이용되는 유기자재가 토양화학성과 벼의 수확량과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전남지역 벼 유기재배에서 양분공급원으로 많이 이용되는 금수강산골드를 compost I으로 하였다. 식물성 성분이 많이 함유된 자재(쌀겨팰렛®)를 compost II, 생선가공부산물을 별도로 추가 제조한 자재(참달콤®)를 compost III, 그리고 동물성과 식물성이 혼합된 자재(한가위®)를 compost IV로 나누어서, 벼 이앙 후에 표층시비로 토양에 골고루 처리하였다. 유기자재내의 탄소 :질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compost I과 III가 compost II와 IV에 비교하여 시기별로 유기자재내 질소의 무기태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유기자재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고 토양의 시기별 유기물 함량은 유기자재 투입량이 많았던 compost II와 IV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biomass C에도 영향을 주었다. 처리에 따른 벼 수확량은 시용 첫해에는 compost I에서 높았지만 시용 2년차와 3년차에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commonly used for rice culture o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yield and quality of rice. Treatments were applied on the surface layer after rice planting and included: A) Kumsugangsangold, commonly used as a nutrient source for organic rice culture in Chonnam province (compost I), B) Rice bran, containing large quantities of vegetable ingredient (compost II), C) Chamdalkom, manufacturing by-product fish (compost III), and D) Hangawi, mixing anmimal and vegetable ingredients (compost IV). Seasonal N-mineralization rate was faster on the compost I and III with lower C:N ratio than those of the compost II and IV. Soil chemiceal propertie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reatments. Seasonal organic matter was higher on the compost II and IV with high input of the organic materials than those of compost I and III, which would affect the level of biomass C. Higher rice yield treated by compost I was observed in year 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years 2 and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