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목단재배종의 채취시기 및 부위별 Paeonol과 Paeoniflorin의 함량변화 KCI 등재

Changes of Paeonol and Paeoniflorin Contents in Chinese Moutan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Times and their Pa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0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중국에서 재배되는 목단의 품종 중 화형의 연화정도가 다른 대표적인 6개 품종의 뿌리에 대해 채취시기에 따른 paeonol과 paeoniflorin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6개 품종의 뿌리에서 paeonol의 양은 계절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여 변화가 없었다. 반면 paeoniflorin은 개화기인 5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이다가 6월에 감소, 7월에는 증가, 8월에 다시 감소하다가 9월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교한 6개의 품종중 화형의 형태가 단순한 종류가 복잡한 종류에 비해 약리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단판형화관인 Dan Feng과 만첩형 화관의 Wu Long Feng Sheng의 채취시기에 따른 부위별 약리성분의 분포정도를 비교하였다. Paeonol은 두 품종 모두 뿌리를 제외한 잎과 줄기에 미량으로 존재하며 채취시기가 달라져도 변화가 없었다. Paeoniflorin은 뿌리와 잎 두 부분에 다량으로 존재하여 뿌리에서의 분포양이 계절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는 반면, 잎은 성장이 가장 왕성한 5월에 가장 높게 분포하고 시기가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We analyzed six cultivars of Chinese Moutan,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using HPLC for the investigation of appropriate root harvesting time and distributions of paeonol and paeoniflorin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nges. The contents of paeonol remained nearly constant at different harvesting times. However, the paeoniflorin contents have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harvesting time. These showed the increasing tendency in May, July and September.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two compounds between two cultivars with different flower forms, Dan Feng and Wu Long Feng Sheng. The contents of paeonol were very low in the leaf and annual shoot. This tendency was not changed during five harvesting times. But the paeoniflorin existed abundantly in the leaf and root. The contents of paeoniflorin in the leaf were highest in May, and gradually decreased.

저자
  • 최경 | Choi, Kyung
  • 조비 | Zhao, Fei
  • 이옥화 | Li, Yuhua
  • 최준원 | Choi, Jun-Won
  • 이학주 | Lee, Hak-Ju
  • 권영한 | Kwon, Yeong-Han
  • 박광우 | Park, Kwang-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