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식시 유묘 크기에 따른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 KCI 등재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ffected by Transplanted Seedling Siz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1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작물의 개화는 일장과 저온 뿐만 아니라 식물체의 크기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바위솔의 주년재배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유묘를 대 (본엽 18매), 중 (본엽 13매), 소 (본엽 8매)의 3개군으로 분리하여 정식한 후 개화기에 소화의 개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night-break를 처리하면서 재배된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화서장,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정식되는 유묘의 크기가 클수록 길고 많거나 굵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엽과 포엽중, 소화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 전체건물중은 정식되는 유묘의 크기가 클수록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형성되는 소화수는 정식되는 유묘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던 반면, 소화의 개화는 정식되는 유묘의 크기와 관계없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4. 정식 유묘의 크기는 형태, 생장과 소화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나 소화의 개화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바위솔의 주년재배는 정식 유묘의 크기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Floret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monocarpic and short day plant, should be controlled to continue cultivating. The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planted seedling size (large, 18 leaves; medium, 13 leaves; small, 8 leaves) on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lowering. Night-break treatment of 2 hours at midnight were done on August 25 and afterward samples were taken every 2 weeks. Growth, morphological and flowering related characters were measured from each sample. With larger seedling transplanted, plant height, inflorescence length, number of leaves including bracts and stem diameter were increased. Leaves and bracts, stem, root, shoot and total dry weights were increased as transplanted seedlings became larger. Although formed florets were inclined with larger transplanted seedling, they were not flowered because of the night-break treatment, meaning that the larger transplanted seedlings, the more economic yield.

저자
  • 전승호 | Jeon, Seung-Ho
  • 홍동오 | Hong, Dong-Oh
  • 이창우 | Lee, Chang-Woo
  • 김홍영 | Kim, Hong-Young
  • 신성철 | Shin, Sung-Cheol
  • 강진호 | Kang, Ji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