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매실 과육성분의 분석 KCI 등재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ruit Flesh of Prunus mume Siebold & Zuccarn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1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남고 (Prunus mume 'Nanko'), 청축 (Prunus mume 'Viridicalyx'), 매향 (Prunus mume 'Baigo'), 갑주최소 (Prunus mume var, microcarpa 'Koshusaisho') 등 네 종류의 미성숙 매실과육의 Ethyl acetate 추출 성분을 GC/MS-SIM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분석 및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10종의 표준시약으로 도출된 정량식에 따른 분석의 결과, 매실 품종에 따라 함유성분 및 함유량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들 성분 중, Maleic anhydride, Citaconic anhydride, 5-Hydroxymethylfur-fural, Vanillin, Linoleic acid, Ethyl linoleate, 그리고 Squalene은 위의 네 종의 매실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Palmitic acid는 갑주최소, Isopropyl palmitate는 매향과 갑주최소, Stearic acid는 남고, 청축, 갑주최소에서만 측정되었다. 각 성분의 함량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Maleic anhydride의 경우, 매향, 남고, 갑주최소, 청축에서 각각 245.4, 153.6, 20.1, 2.7ppm이 측정되었다. Citraconic anhydride는 매향, 남고, 갑주최소, 청축에서 각각 637.4, 543.1, 150.7, 38.7 ppm이 측정되었으며, Stearic acid는 갑주최소, 청축, 남고에서 105.5, 64.4, 32.3 ppm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Squalene은 갑주최소, 매향, 남고, 청축에서 각각 7.6, 1.7, 1.0, 0.5ppm 씩 측정되었고 나머지 미량성분들 또한 매실 종간의 성분 함량 차이가 측정되었다. 정량분석의 특성 상, 본 연구에서의 분석 대상 성분 수는 시판되고 있는 표준품의 수에 따라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 제한된 성분 종류 간에도 함유량의 차가 큰 것으로 볼 때 측정된 성분 이외의 성분에 대한 함량 또한 다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종류의 표준품을 확보하여 좀 더 다양한 성분의 정량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ruit flesh of four Prunus mume cultivated varieties, P. mume 'Nanko', P. mume 'Viridicalyx', P. mume 'Baigo', P. mume var, microcarpa 'Koshusaisho' Siebold & Zuccarni, were ground and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and their chemical components were analyzed by GC/MS-SIM. In the ten compounds which was used fer the calibration, maleic anhydride, citraconic anhydride, 5-hydroxymethylfurfural, vanillin, linoleic acid, ethyl linoleate, and squalene were determined in all the four cultivated varieties. However, palmitic acid was detected only in P. mume var. microcarpa 'Koshusaisho'. Isopropyl palmitate was found only in P. mume 'Baigo' and var, microcarpa 'Koshusaisho', while stearic acid was determined in P. mume 'Nanko', 'Viridicalyx', and var, microcarpa 'Koshusaisho'. In the variation of quantities, maleic anhydride was contained 245.4, 153.6, 20.1, and 2.7 ppm in P. mume 'Baigo', 'Nanko', var. microcarpa 'Koshusaisho', and 'Viridicalyx', respectively. Citraconic anhydride was also contained 637.4, 543.1, 150.7, and 38.7 ppm in P. mume 'Baigo', 'Nanko', var. microcarpa 'Koshusaisho', and 'Viridicalyx', respectively. The amounts of stearic acid were 105.5, 64.4, and 32.3 ppm in P. mume var. microcarpa 'Koshusaisho', 'Viridicalyx', and 'Nanko', respectively. Squalene was found in amounts of 7.6, 1.7, 1.0, and 0.5 ppm in P. mume var. microcarpa 'Koshusaisho', 'Baigo', 'Nanko', and 'Viridicalyx', respectively. The amounts of other minor compounds also were varied in the P. mume cultivated varieties.

저자
  • 이오규 | Lee, Oh-Kyu
  • 이학주 | Lee, Hak-Ju
  • 신유수 | Shin, Yu-Su
  • 안윤경 | Ahn, Yun-Gyong
  • 조현진 | Jo, Hyun-Jin
  • 신현철 | Shin, Hyeon-Cheol
  • 강하영 | Kang, Ha-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