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범섬의 식물상 KCI 등재

The Flora of Beomseom Island, Jeju-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5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조사는 식물상을 밝힘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존관리대책을 마련하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최남단에 속하는 도서에 있어서 식물자원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관속식물은 65과 140속 162종 2변종으로 총 164분류군이었는데 그 중 양치식물은 6과 13속 15종,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 피자식물에 있어서는 쌍자엽식물이 49과 97속 114종 1변종으로 11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29속 32종 1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여 계 59과 126속 146종 2변종으로 계 148종이었다. 미기록 종은 양치식물 중 점고사리, 쇠고비, 큰족제비고사리, 사다리고사리 등 4종, 단자엽식물 중 강아지풀, 줄, 송이고랭이, 꽃토란, 개구리밥, 부채마 등 6종, 쌍자엽식물 중 큰사방오리, 개모시풀, 애기싱아, 미국자리공, 갯장구채, 새머루, 누리장나무, 보리장나무. 진득찰 등 9종 총 16과 19속 19종이었다. 희귀식물로서는 국내 거문도와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으며, 바위연꽃의 자생지도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총 20과 33속 34종 1변종으로 총 35분류군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systematic and efficient measures for natur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Beomseom Island, and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plant resources in southernmost islands of Korean peninsul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64 taxa included 6 families, 13 genera, and 15 species in pteridophyta, 1 family, 1 genus, and 1 species in coniferophyta, and 59 families, 126 genera, 146 species, and 2 varieties in endospermae composed of 49 families, 97 genera, 114 species, and 1 variety in dicotyledonae and 10 families, 29 genera, 32 species, and 1 variety monocotyledonae. Unrecorded taxa of the flora of Beomseom Island were 19 taxa included 4 taxa of pteridophyta, i.e. Hypolepis punctata, Cyrtomium fortunei, Dryopteris pacifica, and Thelypteris granduligera, 6 taxa of monocotyledonae, i.e. Setaria viridis, Zizania latifolia, Scirpus triangulatus, Zantedeschia aethiopica, Spirodela polyrhiza, and Dioscorea nipponica, and 9 taxa of dicotyledonae, i.e. Alnus firma, Boehmeria Platanifolia, Aconogonum ajanense, Phytolacca americana, Melandryum oldhamianum var. roseum, Vitis flexuosa, Clerodendron trichotomum, Elaeagnus glabra, and Siegesbeckia glabrescens. The two rare species, Osmanthus insularis that distributed only Jeju-do and Geomoondo Island and Orostachys iwarenge that distributed only southern parts of Jeju-do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20 families, 33 genera, 34 species, and 1 variety.

저자
  • 이은주 | Lee, Eun-Ju
  • 김진 | Kim, Jin
  • 송국만 | Song, Kuk-Man
  • 문명옥 | Moon, Myong-Ok
  • 송관필 | Song, Gwan-Pil
  • 김찬수 | Kim, Chan-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