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항실습선 승선자의 분포특성에 따른 대피시간 비교 KCI 등재

Comparative Studies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ining Ship's Personne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4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운항실습선을 대상으로 선내 승선자의 군집유형에 따른 피난 시간과 특성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비교한 것으로, 크루즈선 승객은 승선 시 다양한 선내 활동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승선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승선 시 행동 유형을 군집유형 A(지정선실 내 재실), 군집유형 B(모든 승조원이 정상활동 공간에 위치), 군집유형 C(모든 승조원이 소속 식당에 위치)의 3가지로 분류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군집유형 B는 피난시간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빨랐고 피난 정체구간도 짧았다. 군집유형 C의 경우 승조원이 특정공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함에 따라 피난과정에서 Upper deck가 병목 구간으로 작용하였고 피난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동일한 선박 내에서도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선내 재실자의 분포특성에 맞는 피난 관리 및 대응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imulates and compares the evacuation tim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ving patterns on board a training ship which was launched in Dec. 2005, on the viewpoint of the various activities being possible on board a cruise ship. Based on interviews with personnels on board, 3 living patterns are set as representative living conditions; Pattern A(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their cabins), Pattern B(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lecture rooms, offices or else), Pattern C(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restaurant or cafeteria).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attern B is comparatively ideal because the evacuation time is short and there is less delay of personnels' movement on each deck. On the contrary, Pattern C is evaluated as the worst because the average evacuation time took more than 360 seconds and the bottle-neck happened at Upper deck.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the needs of variou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fire and/or disaster, considering the various living patterns on cruiser(s) and/or passenger ship(s).

저자
  • 황광일 | Hwang, Kwang-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