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한자어 교육의 발전 방향 -언어 이론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FL/KSL - Focusing on language theorie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7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 육을 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인식, 언어와 인지의 관 계, 생태학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문제를 바라 보았다. 언어 인식의 측면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이 외국인 학습 자의 언어 인식을 고려하여 계획과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 기하였다. 비판적 언어 인식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은 단순히 어휘 의미의 해독과 이해를 넘어 사회적․문화적․이데올로기적 실천을 견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언급하였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는 인지 내용과 인지, 언어와의 관계 고찰 을 통해 지식과 정보, 현상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의 인지 활동을 들여다보았다. 외국인 학습자는 자신들의 모국어로 사고하고, 사고한 내용에 대해 한국어 표현을 찾고, 한국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이 언어 발달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함을 제기하 였다. 생태학적 관점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학습이 어휘력 신 장의 미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언어적 환경에 적응하는 데 기여할 것을 주문하였다. 한자․한자어 교육이 학습자의 실제의 삶에 얼마나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는지 근접하여 들여다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한자․한자어 교육 은 외국인이 한국에서 언어생활을 영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재설계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这个研究的目的在于以语言理论为背景,考察以外籍学习者为对象的韩语教育中其汉字、汉字词教育,为更好的发展揭示几种提议。这个研究从语言认识、语言与认知的关系及生态学的角度,观瞻了以外籍学习者为对象的汉字、汉字词教育问题。在语言认识方面,提出韩语教育中的汉字、汉字词教育是否考虑到外籍学习者的语言认识能力制定计划并实践的问题。考虑到批判性语言认识的韩语教育中,其汉字、汉字词教育应该超越对词汇意义的单纯解读与理解,往能够牵引社会性、文化性、意识形态性实践的方向前进。在语言和认知间关系的论述中,通过考察认知内容和认知、语言间的关系,了解了对知识、情报及现象的外籍学习者认知活动。外籍学习者一般会经历以自身的母语进行思考,对思考内容寻找韩语的表达方式,再用韩语进行表达的过程。在这样的过程中,需要能够验证汉字、汉字词教育对语言发达贡献程度的程序。在生态学观点方面,要求着韩语教育中的汉字、汉字词的学习应脱离增强词汇力的微观性观点,为学习者适应语言环境而做出贡献。有必要贴边观察汉字、汉字词教育对学习者的实际生活中存在多少有意义的价值,且通过这样的过程,应重新设计汉字、汉字词教育,令其实质性地帮助外国人营造在韩语言生活。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roposal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in KFL/KSL. This study prospect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view of language awareness,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ognition, and language-ecology. In aspect of language awareness, this study involves the argument of plans and practices which have considered foreign students’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get forward to lead the social, cultural, and ideological practice beyond decoding and understanding In KFL/KSL class. The discuss about language and cognition contains the foreign students’ cognitive activity about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phenomenon through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contents, cognition and language. This study suggest verification whether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ontributes language development or not in cognitive process. In view of language-Ecology,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hat foreign learners adapt to language environment.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has to have a meaningful valuation in learner’s life and redesign for providing authentic helps for leading an ordinary language life.

목차
1. 들어가며
2. 언어 인식을 고려한 교육적 실천
3. 인지와 언어의 관계 재정립
4. 생태적 관점을 고려한 목표 설정
5. 나가며
저자
  • 김대희(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 Kim, Dae-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