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음주운전억제를 위한 새로운 제도 도입 필요성 검토 KCI 등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new Institution for DUI preven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638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우리나라에서 음주운전이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엄벌 정책과 경찰의 단속만으로 음주운전을 줄이려는 것은 매우 단편적인 대책에 불과하다. 더욱이 상습적이고 만성적인 음주 운전자에 대한 엄벌적 억제수단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없다. 또한 음주운전에 대한 형사처벌은 실제로 집행상의 많은 흠결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낮은 적발율과 암수범죄의 증가로 인하여 음주운전이 밝혀진 경우보다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고, 그나마 제재된 것도 강한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음주억제정책인 혈중알코올농도의 하향조정, 형벌강화, 삼진아웃제도 등이 음주운전에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알코올에 의존성이 있거나 상습적인 음주운전자에 대해서는 예방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수강명령과 교육처분 등의 보안처분은 어느 정도의 예방효과는 있으나 이러한 보안처분 역시 상습적인 음주운전자에 대한 억제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주운전에 대한 새로운 음주억제 정책으로 시동잠금장치와 전자감시장치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우선 차량시동잠금장치(BAIID)와 관련하여 이 제도를 시행 중인 미국과 캐나다 스웨덴의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지 맞는다면 어떻게 시행할지에 대한 논의와 검토하였다. 이에는 기술적인 문제와 비용적인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음주운전 초범보다도 재범이상의 음주운전자에 대해 차에 부착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시동잠금장치는 재범 이상의 음주운전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집중보호관찰에 비해 운전자의 재산권이나 생활필수품의 이용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사생활침해나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위험성을 가진 만성적 음주운전자와 같은 매우 제한된 특정집단만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희망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보안처분 중의 하나인 전자감시장치의 부착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최근 특정 범죄자에 대한 전자감시장치를 착용케 하는 제도가 시행 중에 있다. 특정범죄에 재범이 우려가 있는 음주운전자와 상습적 음주운전자를 추가하는 방안이다. 다시 말해 음주운전자 중 재범의 우려가 큰 자에 대해 이와 같은 전자감시제도의 도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

There is increasingly high a Crime Rate of Alcohol Impaired Driving and habitual Alcohol Impaired Driving in Korea. But It was a very simple measures and ex post punishments about these problems in Korea.To form a society, it is necessary to have elements of cohesion and unit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ke the society cohesive and harmonious, regulations and orders should be established. In other words, society should have rules to regulate behavior of citizens. The regulating society is one of roles that politics play. It is a government or a nation that plays such a regulating role in an organized and a systematic way. Regulation is a policy which is designed to control and restrict freedom and property rights of individuals or groups in order to protect the majority's interest. Among them is drunken driving regulation. The government interrupts individuals or imposes legal restrictions on certain people to exercise the drunken driving law. When people driv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it is not only affecting drivers but also causing accidents in a massive scale. When car accidents occur with drivers driving under the influence, it not only takes lives of people but also leave immense property damage. In addition, plenty of money is spent on controlling drunk drivers to prevent such damage. Therefore,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ationality of regulating drunken drivers by analyzing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

목차
I. 서 론
Ⅱ. 기존의 음주억제 정책에 대한 고찰
1. 음주운전 규제의 필요성
2. 음주운전 규제의 법적근거
3. 음주운전억제정책의 효과성 검토
Ⅲ. 차량시동잠금장치와 전자감시장치의 도입 검토
1. 차량시동잠금장치
2. 전자감시장치
3. 소 결
Ⅳ. 결 론
저자
  • 정신교(김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조교수) | Jeong, Shin-Kyo
  • 추봉조(김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 Choo, Bong-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