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과급제와 기업성과의 관계 - 성과급적용 수준의 차별적 효과 - KCI 등재

Performance-based Incentives and Firm Performance - The Effects of Incentive Pay Component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620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4.21.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국내 기업들이 임금 유연성을 확보하고 경쟁을 통한 종업원의 역량강화를 통한 기업성과의 향상을 기대하며 성과급제를 도입하였으나 그 도입 추세는 점차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성과급제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업 마다 성과급을 구성할 때 그 적용 수준이 다르다는 점에서 성과급 적용 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드물다. 특히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를 고려할 때 집단 성과급과 개인 성과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성과급을 개인, 팀, 사업부, 전사의 네 가지 지급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성과급 적용 수준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등지급 성과급시행여부는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매출액 성장율, ROA의 기업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차등지급성과급의 비중이 높을수록 매출액 증가율과 ROA는 높아졌으나 종업원 1인당 부가 가치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성과급비율이 높을수록 매출액 증가율과 ROA가 높아졌다. 넷째, 성과급수준에 따라서는 사업부성과급비율은 매출액 증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사성과급비율은 제한적으로 정(+)의 관계에 있었다. ROA는 전사성과급비율과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었으며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는 성과급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집단성과급비율이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집단주의 성향이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기업은 목표로 하는 기업 성과 지표에 따라 적용 수준에 따른 성과급비율을 차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 and firm
performance in Korean firms. Even though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 is expected to
enhance firm performance by motivating employees and reducing moral hazard problem, different
impacts of each incentive component on the firm performance is not well examined. Incorporating
cultural values and social norms salient in Korea, the results suggest that costs of group based
incentive program such as free-riding can be alleviated. Using the sample of 1,287 firm-years, we
investigate whether the impact of performance-based incentive on firm performance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r composition of incentive plan. Our results suggest that performance-based incentive has positive impact on firm performance, showing the larger the ratio of performance-based incentive is, the higher the Growth rate and ROA. In addition, the ratio of group-based incentive has positive impact on Growth rate and ROA. When having all 4 types of incentive in the model, the division-wide incentive ratio is positively related to Growth rate and the corporate wide incentive ratio has marginal impact on Growth rate.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groub-based incentive will improve firm performance more significantly compared to individual or team incentives do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1. 차등지급성과급제
2. 차등지급성과급제의 비중
3. 집단성과급제
4. 성과급 적용수준에 따른 차별적 효과
Ⅲ. 실증연구의 방법론
1.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2. 변수의 측정
Ⅳ. 분석결과
1. 기술통계량
2. 회귀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신혜정(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박사과정) | Shin, Hye Jeong
  • 안지영(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 Ahn, Ji Yo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