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보리 품종 중, 농가에 40년이상 보급되고 있는 올보리 품종에 대하여 출수기 및 정곡수량의 안정성을 전·답리작별 5개 지역에서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1. 올보리 품종의 평균출수기는 전작재배에서 진주가 4월 23일로 가장 빠르고, 밀양 4월 25일, 대구, 대전이 각각 4월 28일, 4월 30일이며, 수원이 5월 4일로 늦었다. 답리작재배에서평균출수기는 밀양이 4월 24일로 빠르고 진주, 익산, 대구는4월 26~27일, 대전이 5월 1일로 늦었다.2. 정곡수량의 총 평균은 10a당 전작 444kg, 답리작363kg으로서 전작에서 답리작보다 81kg 증수되었다. 전작재배에서 10a당 평균수량 이상의 지역은 진주 488kg, 대구469kg이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밀양의 385kg이며, 수원과대전은 평균정도의 수량을 얻었다. 답리작 재배 역시 진주에서 425kg으로 수량이 높은 반면, 익산은 307kg으로 가장 적었다.3. m2당수수는 지역별로 거의 비슷한 경향이며, 전작에서 평균 567개로 답리작의 529개보다 38개 많았다.4. 평균 1수립수는 전작에서 48립으로 답리작의 44립보다 4립 정도 많고, 천립중의 평균은 전작 33.9g으로 답리작33.2g과 비슷하였다.5. Stroike and Johnson(1973)의 모델을 분석한 결과, 올보리 품종의 환경지수는 −60에서 +60으로서 지수의 폭이 매우작아 전 지역에서 안정적이며, 회귀계수 및 회귀에 기인하는평균편차 평방화는 지역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진주와 대구는 회귀계수가 1미만이고 표준편차 평방화도 적어 적응력이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6. Finlay and Wilkinson(1983)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검정한 결과에서도 진주가 가장 적응력이 높은 지역인 반면,전작의 밀양과 답리작의 익산은 안정성이 비교적 낮았으며, 다른 지역은 평균 안정성 지역으로 나타났다.7. 올보리 품종의 5개 지역에서 정곡수량에 미치는 수량구성요소의 기여도는 중북부 지역인 수원, 대전과 답리작의 대구, 익산에서 m2당수수의 기여도가 매우 높았으며, 천립중은낮았다. 전·답리작 5개 지역의 평균은 m2당수수 > 1수립수 >천립중 순서로 높았다.
Barley cultivar “Olbori” has been cultivated for more than 40 years in Korea. Here, wereport heading date, yield stability of “Olbori” that has been evaluated in five locations of both uplandand paddy fields. Models were based on the Stroike and Johnson analysis and Finlay and Wilkinsonregression to analyse multi-environmental trials. The mean heading date of “Olbori” is earlist at uplandin Jinju (April 23) and followed by Milyang (April 25), Daegu (April 28), Daejeon (April 30), and Suwon(May 4) the latest. The total main point quantity averages for cultivation in upland and paddy field were444kg/10a and 363kg/10a, respectively. For upland cultivation, Jinju and Daegu showed 488kg/10aand 469kg/10a, respectively. These numbers are above the average. Milyang recorded the lowest mainpoint quantity average. Suwon and Daejeon showed around the average. For cultivation on paddy field,Jinju recorded the highest, i.e., 425kg, whereas Iksan showed the lowest, i.e., 312kg. According to theanalysis for Stroike and Johnson model, the environmental index for “Olbori” was between -60 and +60.This means, for all area, “Olbori” is quite stable to cultivate. The average deviation for squared partialcorrelation due to regress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it showed some deviation depending on the area.Jinju and Deagu showed the highest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stability analysis using Finlay andWilkinson model, Jinju turned out to be most adaptable, whereas Milyang (for upland cultivation) andIksan (for paddy field cultivation) showed relatively low stability. Other areas showed average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