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조방법에 따른 잣솔잎 분말 추출액의 항산화특성 KCI 등재

Antioxidant Properties of Pinus koraiensis Needle Powder Extracts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6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잣솔잎 추출액 분말의 항산화적 특성과 성분변화를 조사하고자 생 잣솔잎을 진공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한 후 5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적 활성 및 페놀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각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킨 잣솔잎 추출액 분말의 수율은 진공건조 시료가 31.0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열풍건조시료 및 동결건조 시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풍건조 시료가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0.05), 반면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반대의 경향으로 열풍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1.0mg/mL 농도에서동결건조>진공건조>열풍건조 시료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나타내었다. 건조방법별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조건의 pH를 1.2와 3.0으로 달리하여 각각 측정한 결과 pH 1.2의 강산성 조건에서 잣솔잎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80% 이상으로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진공건조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잣솔잎 추출물의 페놀산 조성과 함량은 t-cinnamic acid가 잣솔잎 중에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페놀산 함량은 페놀산의 종류에 따라 건조방법 별 함량의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페놀산을 합한 총 페놀산 함량은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Korean pine needles have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Hence, pine needle extract was pre-pared as powder using 50% ethanol extraction followed by various drying methods such as hot-air drying, vacuumdrying, and freeze drying. With these extracts, the effects of the drying methods 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essed. As a result, vacuum drying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 whereas hot-air driedextract contained the least amou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However, the extracts by hot-air drying showed thehighest amount of total flavonoids in comparison with the extracts obtained by other drying methods (p<0.05). Incase of freeze dried samples, there was much strong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in other samples (p<0.05). The nitratescavenging activities of all samples at high acidic conditions were higher than 80%, and that of the vacuum driedsampl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p<0.05). t-Cinnamic acid was the major phenolic acid regardless of dry-ing method applied.

저자
  • 정하숙(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Ha-Sook Chung
  • 김인호(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In Ho Kim
  • 김성호(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Seong Ho Kim
  • 이준호(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Jun Ho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