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재생사업 시행방안 - 사업방향 및 추진체계를 중심으로 - KCI 등재

Measures to Implements the Local Regeneration Undertaking through Utilizing Cultural Heritage - Focused on the Orientation and Promotion System of Undertaking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지방 소도시지역 활성화를 위해 그 지역이 본원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관광객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지역재생사업의 방향설정 및 추진체계를 주 내용적 범위로 한 바, 첫째, 문화재형 지역재생사업에 있어 중요한 것은 문화유산에 중점을 두기보다도 문화재와 관련되어 있는 지역의 인적 요소의 참여가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차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얻기 위한 공공디자인의 도입 효과는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성과에 그치기 쉽기 때문에 이와 동시에 지역재생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의 인적 전문가의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동시에 정보를 소통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타 정부기관의 초창기 지역재생은 물량투입을 주로 하면서도 그 성과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최근의 지역재생의 흐름은 인적 자원을 중시한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기 시행되었던 문화재청의 “문화재 생생 활용사업”은 소정의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내용상 지역재생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요소가 상당히 있어 이와 연계 또는 발전시키는 방법도 또 다른 지역재생 시범사업이 될 수 있다. 다섯째, 문화재형 지역재생사업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사업명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지역재생은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수행해야할 사업이지만, 풍경유산을 중점에 둔 지역재생을 실시할 경우에는 우선 풍경유산의 요소와 체계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최우선 과제이다. 일곱째,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유산의 지역재생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이를 전담하는 문화유산 재생전담팀의 설치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재생의 행정적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동시에 문화유산을 지역재생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평적 연계를 강화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여덟째, 지역재생에서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띤 문화유산은 관리체계가 문화재청과 자치단체로 나누어져 있어 관리체계가 이원화 되어 있지만, 지역재생에서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활용해야 할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문화재의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mprove the quality of inhabitant’s life and to induce the influx of tourist through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heritage for vitalizing the provincial small town. The research range is setting the direction and the system of the local regeneration.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The first, for the local regeneration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human resources who are related with the local cultural heritage is more important than placing emphasis only on the cultural heritage. The secon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troduce the public design but also to promote the local human resources who can perform the urban regen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construct the communication system because the effect of introducing the public design only would be in the sort-term. The third, we need to consider that the recent tendency of the local regeneration is changing toward regarding the human resources as important since the outcome of the material local regeneration of the other government organization is still unclear. The fourth, the project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achieving the desired result, so it is possible to connect this research with the project that has many factors to develop for the local regeneration. The fifth, it is need to excavate the project title that shows well the characteristic of the local regeneration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The sixth, the local regeneration is long-term project but in the case of the local regeneration based on th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the first priority of the project is to construct the system that can manages the factors and the sequences of th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The seventh, it needs to organize exclusive responsibility team for the local regeneration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also needs the administrative approach for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local regenera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nsolid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local regeneration. The eighth, thoug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dualize the managing system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case of the local regeneration it is need to construct the integral managing system for efficient practical use.

저자
  • 박동석(문화재청 활용정책과) | Park, Dong Seok
  • 이승재(문화재청 활용정책과) | Lee, Seung Jae
  • 최종희(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 Choi, Jong Hee
  • 이시영(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 Lee, Shi Young
  • 한병권(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 Han, Byoung Kwon Corresponding Author
  • 김동현(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 Kim, Dong Hyun
  • 최병하(계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 Choi, Byeong Ha
  • 김덕삼(가천대학교 조경학과) | Kim, Duk Sam
  • 김규연(제노바 건축경관전문대학원) | Kim, Kyu Ye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