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증평 이성산성 출토 토기 및 주거지의 성격과 편년

The Nature and Chronology of Earthenware and Dwelling Sites Excavated in Iseongsanseong Fortress of Jeungpye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0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이성산성은 남성과 북성 2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백제 한성기 토축산성이다. 이성산성에 대한 4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출토된 토기류는 원삼국기~백제 한성기에 해당하는 토기들로 미호천유역 원삼국기 이래의 재지적 요소를 갖고 있는 토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중심시기는 4세기 대에 해당하고 있다. 이성산성의 축조는 백제가 미호천유역의 정치세력을 병합한 직후인 4세기 중~후엽경에 백제 중앙의 주도하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시기는 토기양상을 통해 볼 때, 남성(南城)이 북성(北城)보다 다소 이른 4세기 중엽, 그리고 북성이 4세기 후엽경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성산성 토기류에는 재지계 및 한성백제 토기외에 가야(김해)지역, 충남 서해안 및 영산강유역의 토기기종으로 판단되는 외래기종 토기류가 출토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외래기종 토기류는 대체로 4세기 후엽의 시기에 집중되고 있는데, 가야와 영산강유역권과의 교류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백제 한성기 가야(김해) 및 영산강유역으로 연결되는 교류루트상의 중간지역에 위치한 지방 거점성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Iseo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by piling up earth during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consisting of two fortresses in north and south. Unearthed in the mountain fortress over four excavations, the earthenware spanned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Most of them had a Jaeji element in the Miho River Basin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ir central period fell in the 4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Iseongsanseong Fortress was constr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central Baekje from the middle to the late 4th century right after Baekje integrated the different political forces in the Miho River Basin. Judging from the patterns of earthenware, the southern fortress seems to have been built in the middle 4th century a little bit earlier than the northern one,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4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the mountain fortress produced not only the earthenware of Jaeji and Hanseong Baekje, but also foreign types of earthenware in the Gaya(Gimhae) area, the west coast of Chungnam,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Those foreign types of earthenware were generally concentrated in the late 4th century, offering some window into the exchanges between Gaya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Iseongsanseong Fortress seems to have performed critical functions as a local base fortress located at the middle point of the exchange route between Gaya(Gimhae)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목차
Ⅰ. 머리말
Ⅱ. 토기류의 양상 및 편년
Ⅲ. 북성 주거지의 양상과 성격
Ⅳ. 이성산성의 축조세력과 시점
Ⅴ. 맺음말
저자
  • 박중균(한성백제박물관) | Park, Jung-g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