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성곽학보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叢書 25 (2014년 4월) 4

1.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증평 이성산성은 토축산성으로 남성과 북성이 이격하여 축조되어 있어 입지적인 약점을 서로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백제산성의 특징 중에 하나인 모자성에 해당한다고 하겠으나 두 城모두 내성과 외성을 갖추고 있는 특이한 유형에 속한다고 하겠다. 북성의 전체 둘레는 내성 219m, 외성이 310m로 내외성의 공유벽 100m를 포함하여 전체 둘레는 429m이다. 南城은 이성산 정상부를 에워싼 테뫼식산성과, 계곡을 포함한 포곡식산성이 부가된 복합식산성으로 테뫼식산성의 둘레는 741m이고, 포곡식의 외성은 1,052m으로 내·외성 공유벽 191m를 제외하면 전체 둘레는 1,411m에 달한다. 남성의 체성 축조기법은 성토기법을 기본으로 하되 부분적으로 유사판축기법이 채용되고 있으며, 북성은 남성 보다 유사판축기법이 좀 더 많이 채용되면서 판축기법도 관찰되고 있어 남성 보다 발전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하겠다. 기저부 조성에 있어서 성토층의 유동성을 억제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목주를 시설한 점과 암반 외벽 경사면에 성토층의 접착력 감소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길게 홈을 파서 기저부 성토층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시설은 새롭게 확인된 것으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특히, 남성과 북성 모두 체성 축조에 있어서 벽심을 시설하여 이에 의지해서 축성해 나간점과, 남성 서벽에서 확인된 표토블록의 사용 사례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토성축조기법에 있어서의 다양한 축성방법 중의 하나가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정주와 협판을 사용하지 않고 성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벽심이 협판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유사판축에 의한 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토성 축조에 있어서 판축기법이 보급되기 이전에 축성공정을 앞당길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라 하겠다. 남성 서벽에서 확인된 표토블록은 외벽 벽심을 내향하여 사직선으로 보축하여 형성한 중심토루를 보강한 것이라 하겠다. 표토블록은 유사판축이 판축기법에 준해서 목봉으로 다지기 때문에 이 압력으로 중심토루가 뭉개지거나 내려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한 발전된 축성기술의 하나라 하겠다. 중심토루를 토괴(土塊)로 보강하고 이 중심 토루에 의지해서 유사판축으로 토성을 구축한 사례로 지탑리토성이 주목되며, 증평 이성산성 보다 선행한다고 판단되어 어느정도 계통성을 살필 수 있는 성곽유적이라고 하겠다. 앞으로도 점토괴나 표토블록을 사용한 토성의 조사사례가 축적되어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토성 조사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성토법, 삭토법, 판축법 외에도 다양한 축조기법이 확인될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6,000원
2.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성산성은 남성과 북성 2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백제 한성기 토축산성이다. 이성산성에 대한 4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출토된 토기류는 원삼국기~백제 한성기에 해당하는 토기들로 미호천유역 원삼국기 이래의 재지적 요소를 갖고 있는 토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중심시기는 4세기 대에 해당하고 있다. 이성산성의 축조는 백제가 미호천유역의 정치세력을 병합한 직후인 4세기 중~후엽경에 백제 중앙의 주도하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시기는 토기양상을 통해 볼 때, 남성(南城)이 북성(北城)보다 다소 이른 4세기 중엽, 그리고 북성이 4세기 후엽경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성산성 토기류에는 재지계 및 한성백제 토기외에 가야(김해)지역, 충남 서해안 및 영산강유역의 토기기종으로 판단되는 외래기종 토기류가 출토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외래기종 토기류는 대체로 4세기 후엽의 시기에 집중되고 있는데, 가야와 영산강유역권과의 교류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백제 한성기 가야(김해) 및 영산강유역으로 연결되는 교류루트상의 중간지역에 위치한 지방 거점성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6,000원
3.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증평 이성산성은 남성과 북성 등 2성이 유기적으로 기능한 토성으로, 산성에서 출토된 철기와 철기 생산 유물의 검토를 통하여 남성과 북성에서 모두 철기제작이 이루어졌으나 제철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산성 내에서는 단조철기 위주의 철기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남성과 북성 출토 철기는 대부분 3세기 후반~4세기 전반의 시기에 수렴되어 이 시기에 취락 형성 및 토성 축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철기의 변화상과 성벽과 주거지와의 중복관계를 통하여 원삼국시대후기부터 취락을 형성하고 있던 바탕위에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축성된 이후에도 성내의 여러 시설들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면서 늦어도 5세기 중엽까지는 성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철기 중 大型鐵釘과 주조철부는 풍납토성 등 백제 중앙으로부터 공급된 것이 있는 반면에, 鐵鋌과 무경삼각형철촉, 릉형철촉 등 동남부지역의 김해․부산지역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철소재 또는 화폐로서 철 및 철기의 교역과 유통과정을 잘 보여주는 철정의 경우 미호천과 금강 수계 및 서해안을 따라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이 시기에 변한 및 가야와 밀접한 교류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大河川수계를 이용한 교역과 교류, 철기 및 철소재의 유통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역․교류는 원삼국시대 전기부터 있었으며, 원삼국시대 후기에는 한강 하류역까지 교류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에는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북내륙지역과 주로 교류하였으나, 3세기경부터는 김해․부산지역으로 교류 대상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산성 출토 동남부지역 계통의 철기들은 후자와의 교류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교류 및 교역은 주로 철제품 및 철의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이후 4~5세기에 들어서도 백제와 가야간의 교류와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다만 5세기 중후엽 이후에는 김해․부산지역에서 합천․고령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로 교류의 주 대상이 바뀌어 갔다. 이러한 철 및 철기의 교역․교류과정에는 철제품의 교역과 제철기술자의 이주․정착 단계, 철제품과 철소재(철정)의 교역과 신․구의 이주․정착 제철기술자들의 기술이전 및 현지화 단계, 제철 및 철기의 백제적 정형화와 확산 단계 등 3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7,000원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