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실무자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n the Social Welfare Center - Focusing on executive interview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6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 변화에서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실태 및 현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소재 5개 종합사회복지관의 실무자가 기관별 각각 1명씩 선정되어 1시간 정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환경변화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의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최근에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조직화 사업의 추세는 마을 공동체, 마을 만들기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이 지자체의 일방적인 계획 및 추진으로 진행됨에 따라 많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업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고, 실질적인 예산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의 정체성 및 전문성이 위기를 맞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5대 사업영역에서 3대 사업기능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종합사회복지관의 전문성 및 정체성 확립은 먼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사회복지관의 지역 내에서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관의 성격과 정체성이 분명하게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조직 및 인력에 대한 포괄적인 구조조정 및 혁신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의 특성에 맞는 종합사회복지관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민조직화 및 복지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복지마을 만들기가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사회관계망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역복지실천의 내실화를 실천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fast-paced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function and role of the environment with respect to getting a serious challenge to the status of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d suggest ways to improve study. 5 Methods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practitioners one by one each of the institution has been selected for an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 hour . Looking at the results , first ,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projects and the difficulty , it was suggested improvements for solving . In other words, the area of ​​Social Welfare Center recently organized business community, the trend in the village , town development , and the like. However, these projects are i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 unilaterally closed end is taking a lot of progresses in Korea. To solve this problem, build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for projects and funding should be made practical . Second,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risis, identity , and expertise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last five business areas into three business function switch was made.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expertise and identity of the remote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Center in order to perform a given role and identity are clearly the nature of the agency shall be This requires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and labor organizations for a comprehensive restructuring and innovation is need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is not fit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network of residents should be organized and well-being , it must be done through creating a welfare village , local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 formed through the practice of community welfare through the practice of substantiality should be .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목적
 Ⅱ. 종합사회복지관에 대한 이해
  1. 사회복지관 개념 및 원칙
  2. 사회복지관 사업내용
 Ⅲ. 종합사회복지관 실태 및 현황
 Ⅳ.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1. 환경변화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 사업추진 어려움과 개선방안
  2. 종합사회복지관 정체성 및 전문성 위기와 개선방안
  3. 지역사회특성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 부재와 개선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권오균(장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Kwon, Oh-gyun
  • 조당호(장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Cho, Da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