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관련 요인 연구-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우리나라는 2018년경에는 고령사회에 진입한다고 한다. 고령사회는 의학이 발달하고 생활환경이 개선되면서 평균수명이 늘어나 생기는 선진국형 사회이지만, 많은 문제점을 가져올 수 있다. 그 중에서 노인 우울증 환자 증가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노인 우울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65세 이상으로 입주 기준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으로 인해 저소득층으로 판단되어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정의하여, 저소득 노인들의 우울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증 예방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남녀 노인으로 서울시 금천구,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한 영구임대아파트 거주하고 있으며,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자와 훈련된 면접원이 직접 대상자를 만나 면접 설문조사 및 자기기입식 설문조사가 가능한 대상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글독해 능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은 연구자가 직접 개별 면접을 통하여 기록,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의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저소득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기술통계의 결과 사회적 지지에서 정서적 지지는 3.13, 인지적 지지는 3.55, 물질적 지지는 3.91로 나타나 3개 하위 요인 모두 ‘보통’ 보다 높게 나왔다. 사회적 지지 전체의 평균도 3.53으로 ‘보통’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전체 평균이 8.57로 나타나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 평균인 5.3(통계청, 2008)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저소득층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학력 변인에서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저소득층 노인들의 경제상태 및 건강상태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급직, 경제상태, 건강상태 등의 변인에서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경제상태 및 건강상태 관련 특성,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에서는 성별, 자녀 수, 경제상태, 치료중인 질환의 수 등의 변인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인지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정도는 일반 노인들의 우울정도에 비해 매우 높았다. 특히 우울에 취약한 계층인 여자인 경우와 학력이 낮고, 동거자녀가 없는 경우 우울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경제상태가 어렵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인지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저소득층 노인들의 우울 요인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다가올 고령사회를 준비하기 위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It has been noticed that Korea is on track to enter the state of having an aged society from 2018. An aged society emerge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improvements to the living environment, but it can also bring many problems. Among those problems, the significant raise in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cannot be ignored. In this study, our laboratory has defined elderly people from the lower-income group as “elders who are over 65years old, and have less income than the minimum cost of living by the residential standard”. This study addresses the actual state of depression among low-income elderly people,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and focuses on suggesting ways to prevent depression among elderly citizens.The focus of the study was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are living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of Gum-cheon gu, Seoul and Gwang-myeongsi, Gyeonggido, and the survey included 152 participants. The research material was collected over 14days from 1st November 2011 to 14th November 2011.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y researchers and trained interviewer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here capable, the participants filled out a self-answering questionnaire, and had a face-to-face interview. Participants who have bad eyesight or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Korean or understanding the questions were questioned and recorded by the researchers.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2.0. Data analysis include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Kruskal-wallies-test for independent samples, ANOVA, T-tests and analysis on rarity. Summary of this research:Firstl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rate for the low-income-elders,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re ranked as 3.13, cognitive support as 3.55, and material support as 3.91 which means all three low ranked factors have results higher than 'average'. The depression rate had total average of 8.57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depression rate of normal Korean elders, who have a depression rate of 5.3 (National Statistic office, 2008). Secondly, after researching the possibility of variance of the depression rate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elders, we took notice that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with the depression rate according to their sex and academic abilities. Thirdly, on analyzing the depression rate according to the economical and physical conditions of the low-income elders, it emerged that there are gaps between depression rates depending on the salaried position, economical and physical conditions and other variables. Lastly, from the research on whether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economical and physical conditions and the social support for the low-income elders has given influence to their rate of depression, we found out that the low-rank causes on social support and the variables such as the sex, number of children, economical condition and number of illnesses etc. have influenced the rate of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depression rates of low-income el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pression rate of average elderly people. Those who are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such as women, people with a low level of education and people who live without children, turned out to have higher rates of depression, along with those who have economical and physical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he cognitive recognition, which is one of the low-rank factors of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have lower rates of depression. Therefore,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depression rate of low-income elders, development of new program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will be needed. Also to prepare for the coming aged society,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follow up research must take place.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선행연구 고찰
  1. 저소득층 노인의 정의 및 특성
  2.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조사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 관련 특성
  3.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
  4. 조사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강선옥(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Kang, Seon-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