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njung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 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우고, 그런 관점에서 한국의 민중교회를 살핌으로써 양쪽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상호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교회 뿐 아니라 북미 교회에서도 선교적 교회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신학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이기 때문이어서 이해가 쉽지 않은 측면이 있고, 목회자들이 결국은 교회중심적 선교관을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은 선교적 교회론이 태동된 배경과 신학적 전제와 정의,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지역교회를 강조하기 때문에 선교적 지역교회에서 신학함을 다루고, 지역교회로서의 선교활동이 갖고 있는 내용이 앞에서 언급했던 신학적 방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려 한다. 그리고 선교적 공동체를 육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 선교적 리더십이 선교적 공동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선교적 리더십의 기초와 형태를 다룬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론의 장점과 한계를 지적한다. 이런 선교적 교회론을 민중교회에 적용해 보면 우선 신학적 회심과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북미교회가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대화를 한다면, 민중교회는 시대적 과제와 씨름하려 했기 때문에 삼자 대화가 큰 의미를 갖기보다는 민중교회에 대한 민중의 반응이 초래한 민중에 대한 부정적 이해가 민중교회와 목회자의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이전보다 더 확대된 민중선교를 하게 됨을 본다. 그리고 민중교회에서 선교적 교회의 구성요소와 신학함, 그리고 선교활동을 살펴본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민중교회의 장점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main points of the missional church of the North America and to apply them to the Minjung church in South Korea so that the merits of both churches,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Minjung church could complement each other. It is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missional church, for the missional church is produced by the results of the theological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in depth. Even though we agree with th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new orientations such as the Trinity, the reign of God and the missio Dei, it is almost impossible for us to be liberated from the attractional church. In other words, unless the mind-set of the attractional church is dead the missional church cannot be born. That is the reason why so many pastors looking for the missional church turn out to be satisfied with new mission strategies rather than to keep those theological orientation in mind. As the local church is the focal point of the missional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for the missional church. There are three types of doing theology, community theology, prophetic theology and outsider theology. The local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the missio Dei for the sake of the reign of God through identifying the boundary-breaking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 becoming a witness to the reign of God and challenging to the current unjust system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Foundations of the missional leadership are Jesus Christ who confronts the current power of the world, the Holy Spirit who leads the people of God toward the reign of God, and the recovered eschatology. The Minjung church aims at the reign of Go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missio Dei,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As the Minjung church wrestles with the signs of the times the Minjung church is beyond the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Minjung church on its theological orientation was radical enough to accept thos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orientation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njung mission became diversified from the mid-nineties for Minjung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boundary-breaking mission of the Holy Spirit. This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Minjung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Minjung church, however, is limited to Minjung pastors so laity and women of the Minjung church must involve in doing theology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