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팽나무버섯 액체 종균의 접종 전 오염 검사 KCI 등재

The contamination check before inoculation at the liquid Spawn on Flammulina veluti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액체종균의 세균 오염 여부를 Giemsa 용액의 단일 염색으로 짧은 시간 안에 정확하게 판정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Giemsa 용액은 혈액·골수·림프절·말라리아 원충·리케차 세포 등을 염색하는 것으로, 염기성 색소인 methylene azul과 methylene blue, 그리고 산성색소인 eosine을 methyl alcohol-glycerine에 녹여서 제조하였다. 그리고 팽이 액체종균의 폭기 배양액 분취하여 슬라이드에 올리고 Gimesa 용액으로 염색한 후 광학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이 결과 40~60초 동안의 세균세포를 (팽나무)버섯(류) 균사세포의 부스러기나 잔존 대두박 등과 구별할 수 있었다. 이 Gimesa 용액을 이용한 염색 및 검경방법은 빠르고 간편하며 정확하므로 액체종균을 사용하는 버섯재배 농가에서도 세균 오염을 효과적으로 동정(감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whether Giemsa staining solution can accurately determine bacterial contamination of liquid spawn for Flammulina velutipes in a short period of time was investigated. Giemsa solution staining cells of blood, bone marrow, lymph node, malaria parasites, rickettsia et al. was prepared by dissolving basic methylene azul and methylene blue, and acidic eosine in methyl alcohol-glycerine. Supernatant samples of Flammulina velutipes liquid spawn cultured under explosive aeration were placed on a slide, mixed with Gimesa solution and examined with optical microscope after staining. In 40 to 60 seconds bacterial cells were distinguishable from soybean meal residual and hyphal cell fragments. Thus we conclude that microscopy using Gimesa staining solution is a quick, simple and accurate method for the mushroom growers to effectively use to detect bacterial contamination of the liquid spawn.

목차
ABSTRACT
 적요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
  • 심규광((주)팔오테크) | Kyu-Kwang Shim
  • 유영진( 전북농업기술원) | 유영진
  •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구창덕
  • 김명곤(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 김명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