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KCI 등재

Awareness and Need for Driving Rehabilitation: A Survey of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6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부산 내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고, 운전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발병 전 운전경력이 있고 현재 외래로 병원 및 복지관에서 작업치료서비스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13문항, 대상자의 운전 현황 7문항,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기간은 2013년 12월∼2014년 1월이었다. 결과:대상자의 50.0% 이상이 운동능력평가와 장애인 운전 교육 시행기관에 대하여 ‘전혀 모른다’고 응답하였고, 현 운전자 그룹은 운전재활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수준이 비운전자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재활에 대한 요구도 분석결과, 장애인을 위한 운전재활기관(89.5%), 운전 적합성에 대한 인지 및 지각 평가(88.6%), 운전 적합성에 대한 평가와 장애인을 위한 자동차 개조(86.9%), 운전 보조 장치 처방(86.8%)에 대하여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의 비율이 80.0%를 넘었다. 운전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비운전자가 현 운전자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들이 운전재활전문가로서 가장 적합한 전문분야는 작업치료라고 응답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운전재활과 관련하여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교육 및 훈련시설 확충이 가장 높았고, 평가 및 훈련 비용 지원, 홍보 순이었다. 결론:뇌졸중 환자의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으며 장애인 운전재활의 발전을 위하여 비용지원과 운전지원센터 설치 등의 제도적 지지와 작업치료사의 역할 확대 및 강화, 운전재활에 대한 적극적 홍보 등 전문가적 책임이 요구된다.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need for driving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in Busan and Gimhae.Methods: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ree parts was given: 13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7 items on the current or previous state of driving ability, and 16 items on the awareness and need for driving rehabilitation. The survey period was from December 2013 to January 2014. One-hundred and fourteen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otal.Results:More than 50.0% answered ‘I don’t know anything about that’ regarding the motor function fitness assessment and the drivi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Awareness regarding a supportive policy for disabled drivers was higher for drivers than for non-drivers. More than 80.0% answered that a driving rehabilitation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a cognitive or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fitness, car remodeling for the disabled, and a prescription of driving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are ‘necessary.’ The need for a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non-drivers was higher than for drivers. The special field that the respondents perceived as the most appropriate for driving rehabilitation was occupational therapy. They answered that an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ies is a top priority, with financial support and advertising being the next most important elements, for improvements in driving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Conclusion:To develop a driving rehabilitation system for people suffering a strok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financial aid and the installation of driving rehabilitation centers; professional responsibility, including a rol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active promotion are need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2. 대상자의 운전관련 정보
  3. 운전재활에 관한 인식
  4. 운전재활에 대한 요구도
  5. 장애인을 위한 운전재활 전문가
  6. 장애인을 위한 운전재활 개선점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정남해(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Jung, Nam-Hae
  • 장문영(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Chang, Moon-Yo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