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양분벡터분석을 이용한 활엽수와 침엽수 묘목의 적정 시비량 연구 KCI 등재

Study of Optimal Fertilization with Vector Analysis in Hardwood and Softwood Seedl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3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묘목 생산성과 적절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비는 매우 중요하지만, 수종에 따른 최적의 시비량을 결정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경제림 육성 수종인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잣나무, 전나무를 대상으로 복합비료 1x(N 6.9 g m-2, P 3.1 g m-2, K 3.7 g m-2), 2x(1x의 2배), 4x(1x의 4배) 처리가 묘목의 생장과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양분벡터분석(Vector diagnosis)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수고와 근원경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잣나무와 전나무는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 1x, 2x, 4x는 대조에 비하여 물푸레나무의 건중량을 각각 43, 11, 87% 증가시켰고, 들메나무는 각각 36, 145, 143% 더 증가시켰다. 반면 잣나무와 전나무 건중량은 시비량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비에 대한 양분벡터반응은 수종과 시비량에 따라 상이한 경향을 보였는데, 물푸레나무 조직의 질소 농도는 생장 및 질소함량의 증가만큼 증가하지 않는 “양분결핍” 상태였고, 들메나무는 흡수한 것보다 생장이 증가하여 농도가 감소하는 “양분희석” 상태였으며, 잣나무와 전나무는 생장이 거의 증가하지 않으면서 농도는 약간 감소하는 “과량길항”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는 처리 2x 또는 그 이상의 시비가 요구되고, 잣나무와 전나무의 경우 초기 시비를 하지 않아도 생장과 양분 흡수에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fertilizer for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with vector analysis. As the amount of fertilizer increases, the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of F. rhychophylla and F. mandshurica increased and those of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reatment 1x (N 6.9 g m-2, P 3.1 g m–2, K 3.7 g m-2), 2x (two times of 1x) and 4x (four times of 1x) improved the dry weight of F. rhynchophylla by 43, 11, and 87% and that of F. mandshurica by 36, 145 and 14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the dry weight of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was not different among fertilization treatments. The responses of vector exhibit a different inclination depending on tree species and the amount of fertilizer. F. rhynchophylla is in the status of N “deficiency” which means the N concentration does not increase as much as the increment of growth and nutrient content; F. mandshurica is in a condition of N “dilution” which refers the concentration decreases since the growth increases more than the absorption of nutrients;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show the state of N “antagonism” which indicates the concentration decreases slightly while the growth does not increase nearly. This study suggests that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require to fertilize 2x or more and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do not need to fertilize at the initial stage of outplanting.

저자
  • 박병배(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Byung Bae Park
  • 변재경(한국임업진흥원) | Jae Kyung Byun
  • 성주한(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Joo Han Sung
  • 조민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Min Seok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