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3 및 CAM 식물의 광도에 따른 음이온 발생 효과 KCI 등재

Air Anions Emission in CAM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and C3 Plant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2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C3식물과 CAM식물에 광량을 달리 처리하여 음이온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C3식물은 0, 20, 100, 200(µmol·m-2·s-1)의 광량이 주어졌으며, CAM 식물에는 주간과 야간에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C3식물의 광량별 음이온 발생량은 관음죽(300/cm3), 팔손이나무(497/cm3), 로즈마리(735/cm3) 3종 모두 20µmol·m-2·s-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µmol·m-2·s-1이상의 광량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AM 식물의 음이온 발생은 주간과 야간에 비슷하게 양이 발생하였으며, C3 식물에 비해 매우 적은 양이 발생하였다. CAM 식물 중에 음이온 발생량은 금전수가 가장 많고, 산세베리아가 가장 적었다. 결과적으로 C3 식물의 음이온 발생량은 20µmol·m-2·s-1 에서 가장 많았으며, CAM 식물의 음이온 발생량은 C3 식물에 비해 매우 적고, 주간과 야간에 비슷한 양이 발생하였다.

The air anions generated by potted plants were investigated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in C3 plants, and day and night in CAM plants. C3 plants were acclimatized at 20 µmol·m-2·s-1 and measured at 0, 20, 100, and 200 µmol·m-2·s-1. The air anions emission by C3 plants was the greatest at 20 µmol·m-2·s-1 and was Rhapis excelsa (300/cm3), Fatsia japonica (497/cm3), and Rosmarinus officinalis (735/cm3). The air anions emission by CAM plants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and was a little amount compared with C3 plants. The number of air anions generated by Zamioculcas zamiifolia was the greatest, but that generated by Sansevieria trifasciata was the smallest among CAM plants tested. As a results, the air anions emission by C3 plants was the greatest at 20 µmol·m-2·s-1 light intensity, and that by CAM plants was little affected by light intensity.

저자
  • 김광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Kwang Jin Kim Corresponding author
  • 유은하(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Eun Ha Yoo
  • 서효원(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Hyo Won Seo
  • 조수연(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u Yeon Jo
  • 이정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Jung A Lee
  • 정현환(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Hyun Hwan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