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화단국을 이용하여 미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관상식물의 중금속에 대한 생육 양상 및 중금속 축적 능력을 확인함으로써 오염지의 경광조성 및 환경친화적인 중금속 정화방법인 식물복원법(phytoremediation)의 가능성을 규명을 위해 화단국인 도입품종인 ‘Branivory'과 국내 육성 품종인 ‘금방울’과 ‘화이트 미리’를 공시하여 토양 내에 Cd를 처리하여 생육량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 3품종의 신초장은 Cd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다소 높았고, 특히 화이트 미리’는 216mm의 가장 높은 신초장을 보였고, Cd 처리구에서는 대조 품종인 ‘Branivory'에 비해 국내 육성종인 ‘화이트 미리’는 처리구의 16주에서 높은 196mm의 신초장을 보였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에서도 ‘화이트 미리’는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였으나, 다른 품종에 비해 16주의 Cd 처리구에서는 높은 23.7g의 생육반응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식물체 내의 생리물질의 변화에 있어서는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Cd 처리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대조구에서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수용성 탄수화물에서는 시간별 품종간 차이를 보였는데 ‘Branivory’와 ‘금방울’에서는 8주차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금방울’ 품종에 있어서는 8주 대조구에서 4.81mg/g으로 가장 현저하였다. 한편 Cd 처리구에서 생육량과 생리적 양상에서 다소 저해를 보였지만 축적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금방울’에서 8주의 2.88ppm, 16주의 7.04ppm 이었고, ‘Branivory'는 1.55ppm(8주), 2.56ppm(16주)으로, ‘화이트 미리’에서는 0.31ppm(8주), 0.88ppm(16주) 순으로 품종간 차이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국내 육성품종과 도입품종의 간의 비교에서 토양오염지에서 국내 육성품종에 있어 생육상에서는 화이트 미리’가 우수한 생육반응을, 중금속 축적에서는 '금방울’에서 우수함을 나타냄으로써 경관조성이 가능한 phytoremediator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또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품종의 비교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인산, 소석회, 토양개량제 등의 첨가를 통한 토양내 bioavailability를 높이고 활착과 보다 많은 건물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Dendranthema grandiflora 'Branivory', 'Geumbangul' and 'White miri' which were reported to have good phytoremediability of cadmium contained soil. Growth responses of shoot length were found that the increase of 'White miri' was 216mm in control and 196mm in Cd treatment after 16 weeks and in fresh weight of top part was showed 23.7g in compared with 'Branivory' and 'Geumbangul' with Cd contaminated soil after transplant at 16 weeks. Different tendency was shown the change of soluble protein content when their growth period passed unlike the tendency of chlorophyll. The soluble protein content of 'Branivory' and 'Geumbangul' was much higher in the Cd treatment after 8 weeks. The chlorophyll content of 'Geumbangul' was the highest in 4.81 mg/g in the Cd treatment than other cultivar. The comparison of heavy metal accumulators in top of plants was as follows; 'Geumbangul'>'Branivory'>'White miri' after 8 weeks, and 'Geumbangul'>'Branivory'>'White miri' after 16 weeks. The choice of proper plants for bioremediation in different sources of heavy metal pollution seems important. In this regard, Dendranthema grandiflora 'Geumbangul' which showed higher in Cd accumulation of shoots could be used for phytoremediation and phytostabi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