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TS2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감초 종(Glycyrrhiza spp.) 분류 및 유통 감초한약재의 원산지 판별 KCI 등재

Authentication of Traded Medicinal Herb, Glycyrrhiza spp.(Licorice), Based on nrDNA-ITS2 Sequenc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3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유통 감초약재의 원산지 판별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약재로 쓰이는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유럽감초(G. glabra)와 약재로 사용되지 않는 국내 자생종 개감초(G. pallidiflora) 식물의 형태적 차이 및 엽록체와 핵 DNA 구간의 염기서열의 차이를 구명하였다. 감초식물 3종의 형태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잎과 뿌리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잎의 형태에 있어서 중국감초와 유럽감초는난형 혹은 타원형인 반면, 개감초는 엽장/엽폭비가 큰 피침형이었다. 또한 건조된 뿌리로 시중되는 감초 한약재의 경우, 중국산과 한국산은 백색인 반면 우즈베키스탄산은 황백색이었다.감초식물 3종을 대상으로 DNA 수준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rpoB2, rpoC1에서는 G. uralensis와 G. glabra가 구분되지않았으며, psbA-trnH의 경우 단 한 구간의 SNP에서 차이를 보였다. 반면 ITS2에 의해 증폭된 450bp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G. glabra는 98, 99, 100번째 위치에서, G. pallidiflora는 137, 161, 164, 203, 296위치에서 감초 종간판별을 위한 특이적 SNP가 확인되었다. 또한, phylogenetic tree 분석을 통해, 약재로 쓰이는 G. uralensis과 G. glabra는 약재로 쓰이지 않는 G. pallidiflora에 비하여 유전적 거리가 가까움을 확인하였다. 본 표준시료에서 얻은 결과를 유통 한약재 원산지 판별에 적용한 결과, 중국산과 한국산의 한약재는 G. uralensis와 염기서열이 일치하였고,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 수입된 한약재는 G. glabra와 염기서열이 일치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감초의 생체 및 한약재의 원산지 판별을 위해 ITS2를 이용한 분자수준에서의 판별이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rigines of Licorice (Glycyrrhiza spp.) traded asmedicines in herb market. For these purpo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quence of nrDNA and cpDNA among Glycyrrhiza spp. plants as follows; G. uralensis and G. glabra L. are used as medicines,however, Korean domestic G. pallidiflora is not used as medicine. In morphology, leaf and root shape among the plant were different. Especially, leaf shapes of G. uralensis and G. glabra L. were egg and ovalshape, however, that of G. pallidiflora were lanceolate shape with higher leaf length/width ratio thanother plants. An also in colors of the roots, white were shown in Chinese and Korean products, otherwise, off-white in Uzbekistan. In molecular studies of cpDNA, G. uralensis and G. glabra were not distinguished by rpoB2 and rpoC1 and only one SNP was shown by psbA-trnH. However, in 450 bp sequences amplified by ITS2, specific SNP were shown in 98, 99, 100 and 137, 161, 164, 203, 296 regions producedin G. glabra and G. pallidiflora, respectively. And these were presumably used as molecular markers for discriminating Glycyrrhiza spp.. Also in phylogenetic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genetic relations between G. uralensis and G. glabra, which were used as medicines, were closer than to G. pallidiflora. By applying the results to traded herb materials, Chinese and Korean medicinal herbs are accordance with G. uralensis where as Uzbekistan medicinal herb is G. glabra. In results, molecular analysis by using ITS2 was useful to identify the origines of medicinal herb, Glycyrrhiza spp. traded in herb market.

저자
  • 임종민(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Jong-Min Lim
  • 안영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Young-Sup Ahn
  • 박춘근(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Chun-Geon Park
  • 박충범(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Chung-Berm Park
  • 조준형(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Joon-Hyeong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