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재래계와 도입계의 육성기(0 ~ 20주령) 성장 능력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at Rearing Stage between Korean Native Chicken and Imported Chicke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2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도입계의 육성기(0 ~ 20주령) 성장 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가축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암수 병아리 180 수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재래계 1 계통(A)과 도입계 2계통(B, C)으로 총 3 계통의 육성률, 육성단계별 체중, 증체량, 사료 요구율, 정강이 길이 등을 조사하였다. 육성 초기(0 ~ 4주) 육성률은, A와 C계통은 98.33%로 높게 나타났으나, B계통은 91.67% 로 낮게 나타났다. 육성기 전 주령(0 ~ 20주)육성률도 C계통이 98.33%로 높게 조사 되었고, B계통이 83.33%로 낮게 조사되었다. 육성기 전 주령의 체중은 A, B계통이 C계통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p < 0.05). 한국 재래계통인 A계통은 발생 시에는 체중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지만, 20주령에는 1.64 kg으로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계통간 사료 요구율은 0 ~ 8주령에서 C계통이 가장 높았고(p<0.05), 12 ~ 16주령에서는 B계통이 가장 높았으며(p < 0.05), 0 ~ 20주령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 > 0.05). 육성 단계별 정강이 길이를 살펴보면, 0 ~ 12주령까지 B계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6 ~ 20주령에서는 B와 C계통에서 높게 나타났다(p < 0.05). 마지막으로 계통간 정강이 길이 증가량은 0 ~ 8주령까지 B계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8 ~ 16주령까지는 C계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이 한국 재래계의 육성기 능력이 도입계에 비하여 다소 낮게 조사되었지만, 한국 재래계 고유 특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한국 재래계의 고유 특성들은 한국 재래계 활용에 있어 기준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색인어 : 한국 재래계, 도입계, 육성기, 체중, 정강이 길이).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performance at rearing stage between Korean native and imported chickens. One hundred eighty chickens were used in this work and divided by strains (A, B and C) and sex (male and female). Three strains including 1 Korean native strain: A (Korean Native Yellowish Brown) and 2 imported layer strains: B (White Leghorn) and C (Araucana) were used to analyze the following traits such as viability, body weight at a different growing stage, average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ratio, and shank length at a different growing stage. The viability was excellent in strain C to be more than 98% and was low in strain B to be 83.33% during a whole week. The strain A had a great performance on body weight during growing stages (p < 0.05). The shank length of strain B was the highest value to 70.06 ± 8.48 mm at 20 weeks of age (p < 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the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was less than those of imported chicken, Korean native chicken has own characteristics as a native livestock. And these results should provide the criteria of performance for Korean native chicken.

목차
재료 및 방법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사양관리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육성률
  육성 단계별 체중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
  육성 단계별 정강이 길이 및 정강이 길이 증가량
 적 요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
  • 김영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Young Sin Kim
  • 변미정(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Mi-Jeong Byun
  • 서상원(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Sang Won Suh
  • 김재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Jae-Hwan Kim
  • 조창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Chang-Yeon Cho
  • 박성복(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Seong-Bok Park
  • 고응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Yeoung-Gyu Ko
  • 이지웅(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Ji Woong Lee
  • 최성복(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Seong-Bok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