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회분식 고강도 광원 처리에 의한 막걸리 효모의 살균 KCI 등재

Sterilization of Yeast Isolated from Makgeolli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in Batch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UV 파장이 차단된 고강도 광원을 활용한 광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막걸리로부터 분리한 효모의 살균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광펄스 처리의 주요 변수인 빛의 세기와 처리시간 그리고 frequency에 따른 효모의 사멸 효과를 살펴본 결과 광원의 빛의 세기(전압의 세기)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사멸율을 나타내어 1000V, 50 sec 처리 후 모든 균(약 7 log CFU/mL) 이 사멸하였으며, 처리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사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정한 빛의 세기와 처리시간에서는 frequency가 증가할수록 사멸 효과가 증가하였지만 실제 처리시간(처리시간×펄스수)이 같으면 frequency에 상관없이 같은 사멸효과를 보여 frequency에 따른 사멸율의 영향은 없었다. 시료내에 초기 균수 농도가 높을수록 투명도의 감소에 의해 광원의 투과력이 떨어져 사멸효과는 감소하였으며, 시료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사멸효과는 감소하여 시료의 깊이가 5 mm이상일 경우 사멸효과가 급격히 떨어졌다. 광펄스 처리 중 시료의 온도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광펄스 처리가 실제 공정에 적용될 경우 온도의 변화없이 시료 내의 미생물을 사멸하는데 효과는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시료의 탁도와 초기균수 그리고 깊이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tense pulsed light (IPL) treatment is one of the emerging non-thermal techniques being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hermal treatment because it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for microbial inactivation in air, water, and foo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IPL treatment for the effective inactivation of isolated yeast in makgeolli. The key parameters of intense pulsed light are light intensity (input voltage), treatment time, frequency of pulse, and depth of sampl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of population along with an increase of light intensity and IPL treatment duration. The highest level of inactivation achieved in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a 7 log CFU/mL reduction. In addition, the inactivation rates of yeast cells decrease with increasing initial cell population and depth of samples. But pulse frequency did not affect the inactivation of yeast. Temperature was not changed during IPL treatment.

저자
  • 김보라(전주대학교 식품산업연구소) | Bora Kim
  • 김애진(샘표식품(주)) | Ae-Jin Kim
  • 홍희정(전주대학교 전통식품산업학과,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Hee-Jung Hong
  • 신정규(전주대학교 식품산업연구소) | Jung-Kue 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