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알로에 베라의 DIS (Dewatering & Impregnation Soaking) 공정 중 물질 전달 동역학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Temperature on Mass Transfer Kinetic and Microscopic Structure During DIS Process of Aloe vera Lea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3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알로에의 최소공정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DIS(dewatering & impregnation soaking) 공정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삼투탈수는 분자량 4000의 PEG을 삼투제로 하여 이의 40%(w/v) 용액에 두께 0.5 cm의 알로에 잎 슬라이스를 넣고 간헐적으로 교반하면서 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침지온도(25-55oC)가 DIS의 성능(수분소실 및 고형분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현미경관찰에 의한 세포조직 구조의 경시변화를 모니터링하면서 조사, 비교되었고, 동역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온(55oC) 처리에서는 저온(25 and 35oC)에서보다 더 높은 수분소실을 보였으나 세포조직의 파괴를 동반하였다. 또, 품질지표값으로서의 glucomannan 함량은 세포조직구조를 잘 유지하였던 침지온도 35oC에서 얻어졌다. 얻어진 시료의 실온건조제품을 재수화시켜 조사하고 동역학적으로 해석한 결과, 재수화 동역학은 Peleg 및 Weibull 모델로 잘 설명할 수 있었다. DIS 제품은 DIS 처리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세포구조 및 재수화성질의 향상을 주어 적정온도하에서 DIS 처리함으로써 최소공정의 알로에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DIS (dewatering & impregnation soaking) process for Aloe vera leaf slices,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DIS was investigated. DIS performance (water loss, solid gain) at various temperatures (25oC-55oC) was analyzed and changes of cell tissue structures were monitor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DIS was carried out with an immersion time of 0-2 h and a thickness of Aloe vera leaf slices of 0.5 cm using poly(ethylene glycol) of 40% (w/v) with a molecular weight of 4,000 Da as a hypertonic solution. Increasing immersion temperature showed higher levels of water loss. In addition, the microscopic structures of samples treated at higher temperatures (55oC) indicated more disruption than those of samples treated at lower temperatures (25 and 35oC). The highest level of glucomannan content was observed at the 35oC of immersion temperature. The DIS sample treated at 35oC for 2 h without any pretreatment was air dried at room temperature, and this dried sample showed both improved cell structure and rehydration property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sample prepared without DIS. Peleg and Weibull models were found to be the most accurate for describing the rehydration kinetics of aloe samples.

저자
  • 권혜미(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Hye Mi Kwon
  • 차지민(KJM 알로에 R&D 센터) | Ji Min Cha
  • 허원(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Won Hur
  • 이신영(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 Shin You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