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헤어리베치 재배 및 채종지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실태 및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한 생물적방제 가능성 조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604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 여 페로몬트랩과 포충망을 이용하여 대전시 유성구에 3곳, 아산시 지역에 2곳에서 수행하였다.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식한 아산 포장 두 곳에서페로몬트랩에 유인 포획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5월에 비해 6월에 매우 감소하였지만, 7월 달에 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헤어리베치만 정식되어 있는 노은포장과 궁동 제 1 포장에 서는 7월에 비해 8월에 많이 포획되었다. 하지만 헤어리베치가 정식되어 있는 포 장 4곳에 비하여 유인포장으로서 콩이 정식되어 있는 궁동 제 2 포장에서의 유인 포획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월등히 많았다. 아산시 포장, 노은포장과 궁동 제 1 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보다 닮은초록노린재, 변색장님노린재, 알락 수염노린재 등이 더 많이 포획되었지만, 궁동 제 2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 린재가 주로 포획되었다. 친환경농자재를 헤어리베치 채종지에 사용하여 톱다리 개미허리노린재의 방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내에서 직접살포 및 간접살포를 실시한 결과, 직접살포에서 일부 친환경농자재가 효과를 보였다.

저자
  • 권혜리(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윤규식(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강민아(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박민우(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조신혁(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신효섭(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김세희(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강은진(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서미자(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유용만(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윤영남(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