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산림정책별 입목축적변화의 요인 군집 KCI 등재

The Factor Clustering of Growing Stock Changes by Forest Polic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 연구는 입목축적과 산림관리정책 간의 전이함수(transfer function model)를 도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입목축적변화를 유도하는 산림사업 간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9개의 대표적인 산림관리정책에 대해 1977~2008년까지 32년간의 연도별 시계열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추출된 3개의 주성분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91.4%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요약된 3개의 성분은 양호한 산림관리·병해충관리·산불발생이라는 새로운 변수명으로 개념화하였다.

This study is a precedent study for deriving transfer function model between growing stock and forest management policies. Its goal is to solve the multicollinearity between forest works inducing growing stock change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annual time series data from 1997 to 2008. As the result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showed 91.4% on the summarized 3 principal components. They were renamed 'good forest management'·'pest & insets management'·'forest fires' for conceptualization on the derived each component.

저자
  • 김현근(한국임업진흥원 정보서비스본부 통계조사팀) | Hyeon-Guen Kim
  • 김동현(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Dong-Hyeon Kim
  • 김의경(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Eui-Gyeong Kim Corresponding author
  • 신혜진(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Hye-Jin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