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역 논에서 봄파종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 및 파종시기가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eeding Date and Varieties of Italian Ryegras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Early Spring-seeded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2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IRG)는 주로 답리작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파종기는 벼 수확시기와 겹치고 파종기에 강우에 의하여 파종 적기를 놓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적기 파종을 놓쳤을 때 봄 파종시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2012월 10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전라남도 강 진에서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를 주구로 2월 15일, 2월 25 일, 3월 5일, 3월 15일로 4처리 하였으며, 품종을 세 구로 극조생종 그린팜(Greenfarm), 조생종 코윈어리(Kowinearly) 그리고 중생종 코윈마스터(Kiwinmaster)를 공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시기별 출수기는 2월 15일 파종에서는 Kowinmaster, Kowinearly 및 Greenfarm은 각각 5월 14일, 5월 12일, 5월 9일로 극조생종과 중생종간의 차 이는 5일의 숙기 차이가 있었으나, 3월 15일 파종에서는 각각 5월 23일, 5월 22일, 5월 20일로 극조생종과 조생종 간의 생육차이는 3일의 숙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초 장은 Kowinmaster를 2월 15일 파종하였을 때 105.7 cm로 3 월 15일에 파종하였을 93.0 cm 보다 길었으며, Kowinearly 와 Greenfarm 품종도 2월 15일과 2월 25일 파종구에서 초 장은 비슷하였으나, 3월 5일과 3월 15일에서는 짧았다. 그 리고 도복은 빨리 파종하였을 때 심했으며, 품종간의 차이 는 적었다.
그리고 건물수량은 Kowinearly 조생종을 2월 15일에 파 종하여 5월 30일에 수확할 때 7,333 kg/ha으로 가장 많았 고, Green farm 극조생종에서 6,609 kg/ha으로 적었으며, 유 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파종시기별 건물수량은 2월 15일에 파종했을 때 7,052 kg/ha으로 3월 15일 파종구의 4,698 kg/ha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조단백질의 경우 2월 15일 파종에서 평균 8.8%인데 반해 3월 15일 파 종에서 평균 11.1%로 약 2.3% 높게 나타났으며, ADF는 2.1% 낮게 나타났고 TDN도 1.5% 정도 높았다. 그리고 RFV에서는 5.9% 정도 높아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사 료가치는 좋았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남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봄 파종 적기는 2월 25일경이며, 최소한 2월말까지는 파종해야 수량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조사료(forage)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talian ryegrass is generally cultivated by a winter forage in a paddy field, the harvest season overlaps with rice transplantion in some cases. In addition, farmers can miss the optimal seedtime for Italian ryegrass because of the rainy season.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2012 and June 2013 in Kwangjin, Korea to examine the effect of spring-seeding on the yields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 for the determination of an alternative if the optimal seedtime is missed. This trial consists of four different seeding dates (15 February, 25 February, 5 March, and 15 March) and three varieties (Kowinmaster, Kowinearly, and Green farm). The Italian ryegrass varieties “Kowinmaster,” “Kowinearly,” and “Green farm” were sown on February 15. The heading date of each variety showed from May 12 to May 9 and interval time of five days but the Treatment of March 15 planting date showed three days interval. The Kowinmaster variety, planted on February 15, was 93.0 cm taller on March 15 with a height of 105.7 cm.
The Kowinearly and Green farmvarieties planted on February 15 were of a similar height on February 25 and received a poor lodging score when planted quickly. The dry matter (DM) yield of the Kowinearly planted on February 15 was high but that of Green farm was low at 6,609 kg/ha and a difference was not shown between the varieties. The DM yield was different for those varieties planted on February 15 and March 15 (P<0.05). The crude protein content (CPC) of those varieties planted on February 15 showed an average of 8.8%, while those that were planted on March 15 showed an average that was about 2.3% higher at 11.1%; furthermore, the latter also showed lowe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s, by 2.1% and 1.5%, respectively. The relative feed value was about 5.9% higher, depending on the seeding date, as well as being slower and showing less difference between the varieties. According to this study, Italian ryegrass planted in a paddy field of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on February 25 will produce a high-quantity yield with nutritive value.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1. 실험설계 및 수행
  2. 파종 및 시비
  3. 생육특성 및 수량조사
  4. 사료가치 분석
  5.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1. 생육특성
  2. 초장 및 도복
  3. 봄 파종시 수량성
  4. 사료가치
 Ⅳ. 요 약
 Ⅵ. REFERENCES
저자
  • 김기수(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 Ki Soo Kim
  • 이숙경(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 Suk Kyung Lee
  • 최영선(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 Young Sun Choi
  • 박도환(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 Do Hwan Park
  • 지희정(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ee Jung Ji
  • 정종성(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ong Seong Jung
  • 최기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i Choon Choi
  • 김원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Won H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