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IRG)는 주로 답리작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파종기는 벼 수확시기와 겹치고 파종기에 강우에 의하여 파종 적기를 놓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적기 파종을 놓쳤을 때 봄 파종시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2012월 10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전라남도 강진에서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를 주구로 2월 15일, 2월 25일, 3월 5일, 3월 15일로 4처리 하였으며, 품종을 세 구로 극조생종 그린팜(Greenfarm), 조생종 코윈어리(Kowinearly) 그리고 중생종 코윈마스터(Kiwinmaster)를 공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시기별 출수기는 2월 15일 파종에서는 Kowinmaster, Kowinearly 및 Greenfarm은 각각 5월 14일, 5월 12일, 5월 9일로 극조생종과 중생종간의 차이는 5일의 숙기 차이가 있었으나, 3월 15일 파종에서는 각각 5월 23일, 5월 22일, 5월 20일로 극조생종과 조생종간의 생육차이는 3일의 숙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초장은 Kowinmaster를 2월 15일 파종하였을 때 105.7 cm로 3월 15일에 파종하였을 93.0 cm 보다 길었으며, Kowinearly와 Greenfarm 품종도 2월 15일과 2월 25일 파종구에서 초장은 비슷하였으나, 3월 5일과 3월 15일에서는 짧았다. 그리고 도복은 빨리 파종하였을 때 심했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적었다. 그리고 건물수량은 Kowinearly 조생종을 2월 15일에 파종하여 5월 30일에 수확할 때 7,33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Green farm 극조생종에서 6,609 kg/ha으로 적었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파종시기별 건물수량은 2월 15일에 파종했을 때 7,052 kg/ha으로 3월 15일 파종구의 4,698 kg/ha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조단백질의 경우 2월 15일 파종에서 평균 8.8%인데 반해 3월 15일 파종에서 평균 11.1%로 약 2.3% 높게 나타났으며, ADF는 2.1% 낮게 나타났고 TDN도 1.5% 정도 높았다. 그리고 RFV에서는 5.9% 정도 높아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사료가치는 좋았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남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봄 파종 적기는 2월 25일경이며, 최소한 2월말까지는 파종해야 수량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조사료(forage)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IRG)는 주로 답리작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파종기는 벼 수확시기와 겹치고 파종기에 강우에 의하여 파종 적기를 놓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적기 파종을 놓쳤을 때 봄 파종시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2012월 10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전라남도 강 진에서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를 주구로 2월 15일, 2월 25 일, 3월 5일, 3월 15일로 4처리 하였으며, 품종을 세 구로 극조생종 그린팜(Greenfarm), 조생종 코윈어리(Kowinearly) 그리고 중생종 코윈마스터(Kiwinmaster)를 공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시기별 출수기는 2월 15일 파종에서는 Kowinmaster, Kowinearly 및 Greenfarm은 각각 5월 14일, 5월 12일, 5월 9일로 극조생종과 중생종간의 차 이는 5일의 숙기 차이가 있었으나, 3월 15일 파종에서는 각각 5월 23일, 5월 22일, 5월 20일로 극조생종과 조생종 간의 생육차이는 3일의 숙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초 장은 Kowinmaster를 2월 15일 파종하였을 때 105.7 cm로 3 월 15일에 파종하였을 93.0 cm 보다 길었으며, Kowinearly 와 Greenfarm 품종도 2월 15일과 2월 25일 파종구에서 초 장은 비슷하였으나, 3월 5일과 3월 15일에서는 짧았다. 그 리고 도복은 빨리 파종하였을 때 심했으며, 품종간의 차이 는 적었다. 그리고 건물수량은 Kowinearly 조생종을 2월 15일에 파 종하여 5월 30일에 수확할 때 7,333 kg/ha으로 가장 많았 고, Green farm 극조생종에서 6,609 kg/ha으로 적었으며, 유 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파종시기별 건물수량은 2월 15일에 파종했을 때 7,052 kg/ha으로 3월 15일 파종구의 4,698 kg/ha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조단백질의 경우 2월 15일 파종에서 평균 8.8%인데 반해 3월 15일 파 종에서 평균 11.1%로 약 2.3% 높게 나타났으며, ADF는 2.1% 낮게 나타났고 TDN도 1.5% 정도 높았다. 그리고 RFV에서는 5.9% 정도 높아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사 료가치는 좋았으며 품종간의 차이는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남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봄 파종 적기는 2월 25일경이며, 최소한 2월말까지는 파종해야 수량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조사료(forage)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5,946 cows from 24 dairy farms were carried out for the improvement of reproductive performance. Dairy cows in post-parturition 30 day were performed periodic reproductive examination to check for recovery of post-parturition ovary and uterus and for the early diagnosis of reproductive diseas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ies were as follow. The result of 1,126 cows with ovario-uterine disease were 579 slient heat and error of estrus detection (51.4%), 296 ovarian disease (26.3%), 248 uterine disease (22%), mummification and freematin were each 1 head (0.1%), respectively. Hormonal therapeutic effects were follicular cyst 81.5%, luteal cyst 90.7%, endometritis 86.9%, mucometra 90.1%, pyometra 60.9%, respectively. In cows, even if the 1st treatment fails, 2nd, 3rd treatment were performed. Therapeutic effect of 2nd, 3rd were reduced, but the number of cured cows were gradually increased. The cured cows after hormonal treatment were performed service repeatedly and the cumulative conception rate were increased. The cows treated with hormones at first service, the conception rate were follicular cyst 26%, luteal cyst 64.1%, endometritis 38.7%, mucometra 40%, pyometra 20.5%, respectively. The cumulative conception rates were increased by repeated service follicular cyst 57.3%, luteal cyst 84.6%, endometritis 67%, mucometra 75%, pyometra 64.1%, respectively.
        4,000원
        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aginal epithelial cell in estrus-induced Shih-tzu bitch, estrus was induced by PMSG (50 IU/kg, for 10 days) and hCG (1,000 IU, on Day 10) in 12 anestrus Shih-tzu bitches. Day-changes of vaginal epithelial cells during the whole period of hormone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bitches. The first day of vulvar bleeding and the first day of male acceptant was on days (), and days after the first PMSG treatment. The duration of proestrus and estrus was days, and days. Characteristic features of vaginal cytology during the estrous cycle were the high proportion of large intermediate cell,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and erythrocyte in proestrus, superficial cell and anuclear cell in estrus, and parabasal cell, small and large intermediate cell, and leukocyte in diestrus, respectively. When it was timed from the first day of PMSG administration (Day 0), the cornification index (CI) was the high proportion in proestrus and estrus. The CI peak was maintained above 80% between Day 11~14 (4 days) and CI showed a peak at Day 1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12 Shih-tzu bitches showed positive estrus induction by vaginal smear test and observation of clinical estrus sign.
        4,000원
        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i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s were daily performed from 15 days after ovulation until parturition to determine the time of first detection and ultrasonographic appearance of the fetal and extra-fetal structures in pregnant 10 Maltese, 10 Yorkshire Terrier, 15 Shih-tzu, and 10 Miniature Schnauzer bitches, respectively. Gestational age was timed from the day of ovulation (day 0), which was estimated to occur when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ng/ml. The gestational length was (range: ) days and the geatational length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itches (p>0.05). The initial detection of the extra-fetal structures were; gestational sac at days , zonary placenta at days , yolk sac membrane at days , yolk sac tubular shape at days , and amniotic membrane at days , respectively. The time of the first detection of the extra-fetal structur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itches (p>0.05). The initial detection of the fetal structures were; embryo initial detection at days , heartbeat at days , embryo bipolar shape , fetal movement at days , limb buds at days , stomach at days , urinary bladder at days , skeleton at days , and kidney at days , respectively. The the time of the first detection of the fetal structur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itche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e evaluation of the time of first detection and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estational structures might be useful for pregnancy diagnosis, estimating fetal age, embryonic resorption, fetal monster, abnormal fetal growth and fetal viability, respectively.
        4,000원
        1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글루코만난과 유청칼슘의 혼합물이 1%-Cholesterol을 식이한 후 혈청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과 70%-Sucrose를 식이한 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Cholesterol을 식이한 쥐를 일반식이군(ND)과 비교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군(HCD)에 글루코만난식이군(HCDG)과 글루코만난과 유청칼슘군식이군(HCDGW)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또한 70%-Sucrose를 식이한 쥐를 일반식이군(ND)과 비교하였으며, 고혈당식이군(HGD)에 글루코만난식이군(HGDG)과 글루코만난과 유청칼슘군식이군(HGDGW)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이를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혈청콜레스테롤수치는 HCD> HCDG> HCDGW> ND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2. HCD의 혈청콜레스테롤증가량에 비하여 HCDG는 약 23.84% HCDGW는 약 42.38% 감소하였다. 3. 혈당수치는 HGD >HGDG> HGDGW> ND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4. HGD의 혈당증가량에 비하여 HGDG는 약 6.63% HGDGW는 약 63.14% 감소하였다.
        3,000원
        1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조구와 1.5%인삼강정의 AV, POV 및 산패취 발생기를 측정한 결과 가속저장과 실온저장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AV의 가속저장과 실온저장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조구의 경우 가속저장 시 0시간<4시간<8시간<12시간<16시간<20시간<24시간은 실온저장 시 각각 0개월<약 1.1개월<약 1.4개월 <약 3.4개월<약 4.3개월<약 5.1개월<약 5.9개월이며, 1.5%-인삼처리구의 경우 가속 저장 시 0시간<4시간<8시간<12시간<16시간<20시간<24시간은 실온저장 시 각각 0개월<약 1.2개월< 약 2.5개월< 약 2.9개월< 약4.7개월< 약 5.4개월<6개월로 이와 같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V는 60℃, RH 50%에서 대조구의 경우 가속저장 1시간이 실온저장 7일에, 1.5%-인삼처리구의 경우 1시간이 실온저장 7.5일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POV의 가속저장과 실온저장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조구의 경우 가속저장 시 0시간<4시간<8시간<12시간<16시간<20시간<24시간은 실온저장 시 각각 0개월<약 1.3개월<약 2.2개월< 약 3.4개월<약 5.2개월<약 5.7개월<6개월 이상이며, 1.5%-인삼처리구의 경우 가속저장 시 0시간<4시간<8시간<12시간<16시간<20시간<24시간은 실온저장 시 각각 0개월<약 1.0개월<약 2.0개월<약 2.7개월<약 4.5개월<약 5.7개월<6개월로 이와 같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V는 60℃, RH 50%에서 대조구의 경우 가속저장 1시간이 실온저장 7.5일에, 1.5%-인삼처리구의 경우 1시간이 실온저장 7.7일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저장기간 중 산패취 발생시기의 경우, 대조구는 가속저장과 실온저장 시 AV 및 POV의 저장안전시기와 유사한 시기에 산패취가 발생하였으나, 1.5%-인삼처리구의 경우 가속저장이 실온저장에 비해 약 1개월 정도 앞서 산패취가 발생하여 다소 차이를 보였다.
        4,000원
        1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무좀균에 대한 각 시료들이 항균력으로는 terbinafine > 100%-bamboo oil > 50%-bamboo oil 순으로 나타내었다. 무좀균에 대한 Bamboo oil에 대한 영향으로는 T. M > E.F > T.R의 순서대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T.M에 대하여 가장 우수하게 나타내었다. 2. 비듬균에 대한 각 시료들이 항균력으로는 terbinafine > 100%-bamboo oil > 50%-bamboo oil 순으로 나타내었다. 비듬균에 대한 Bamboo oil에 대한 영향으로는 P.O-75 > P.O-77의 순서대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P.O-75에 대하여 가장 우수 하게 나타내었다. 3. 50%-bamboo oil은 무좀균과 비듬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100%-Bamboo oil의 항균력과 비슷하게 나타내었으며, 경비 절감 측면에서 기대를 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4.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각칼슘을 식초에 침지하여 제조한 양조칼슘, 현미칼슘과 난각칼슘분 및 침 강성탄산칼슘을 횐쥐에 식이 후 칼슘의 혈청 중 보유량(흡수율)에 관하여 비교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온화율이 높은 양조칼슘낀폐,통기 현미칼슘의 흡수는 경구투여 2시간 후에 최고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온화율이 낮은 난각칼슘분이나 침감성탄산칼슘은 이보다 늦은 5시간 후에 최고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온화율이 높은 칼슘일 수록 흡수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횐쥐에 식이한 칼슘시료의 칼슘의 혈청 중 보유량은 현미칼슘>양조칼슘(밀폐))양조칼슘(통기))침강성탄산칼슘>난각칼슘분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이온화율의 순과 같았다 3. 현미칼슘의 혈청중 칼슘농도가 난각칼슘분에 비하여 약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칼슘의 혈청 중 보유량은 칼슘 섭취수준에 의한 영향보다 칼슘 이온화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제조 조건에 따른 양조칼슘의 칼슘의 혈청 중 보유량은 밀폐조건이 통기조건에 비해 약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이유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야 할 것으로 본다
        4,000원
        16.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ic materials for various making gangjung, various concentration 0-25.0%(w/v) of coating agent and 0-20.0% of substitutional materials carried out an experiment in sensory evaluation, expansion rate and hardness of substitu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dded coating agent for improvement of decreasing aroma, arabic gum and dextrin signiffcant from 20.0% to 25.0% compared with others. A good results flavor strength score and hedonic score of added 20.0% arabic gum are highest. 2. Expansion rate is caused by substitutional waxy rice, expansion rate decreased above 20.0% as tapioca above 5.0%, rice above 10.0%, brown waxy rice and wheat flour 15.0%. 3. After flying gangjung of substitutional materials, hardness increase concentration of substitutional materials. Therefore substitutional materials added to tapioca below 5.0%, rice and wheat flour 10.0%, brown waxy rice 15.0% is thought of good.
        4,000원
        17.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lready pointed ou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dried insam with gangjung becomes progressing the antioxidant effect: 1. The antioxidant effect of gangjung with undried insam increased than gangjung and above 6.0% of undried insam is same of the storage stability, 6 months 2. The more increased acid value(AV) and the peroxide value(POV) of susam gangjung the longer period of storage, but there was no significient difference with the kinds of adding methods. 3. Sensory evaluation of preference for flavor gangjung with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undried insam but 6.0% undried insam in maltose was the best among samples.
        4,000원
        1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oxidant effect and sensory evaluation of various concentration of dried insam on gangjung was investigated for 6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tioxidant effect of each sample were in the rank order of 0$gt;0.5$gt;1.0$gt;1.5$gt;2.0$gt;2.5% of dried insam at 20℃ by acid and peroxide value but the effect did not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2. In 3 months, acid and peroxide values increased slowly showing, but after 3 months, acid and peroxide values increased remarkably. 3. The acid value(AV) and the peroxide value(POV) of dried insam gangjung increased according to storage ter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kinds of adding methods of dried insam. 4. Sensory evaluation of preference for flavor, texture, taste and total quality of six samples by multiple paired comparison test indicated that gangjung with 1.5% dried insam in maltose was the best among samples.
        4,000원
        1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develop a antimicrobial agent, dried bamboo trunk was extracted by high temperature suction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2825 and Escherichia coli DH 5α were investigated as compared with tea tree oil and BHA.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the extracted substance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y disc diffusion method, BH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Gram-positive bacteria such as S. aureus ATCC 2825 but bamboo essential oil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Gram-negative bacteria such as E. coli DH 5α. 2. By broth dilution metho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BHA, tea tree oil and bamboo oil were not detected against S. aureus ATCC 2825(MIC, 6.0 ㎕/㎖) and E. cola DH 5α(MIC, 6.0 ㎕/㎖)
        4,000원
        2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ipid stability of walnut added with water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Camellia sinensis and Lycii fructus was stud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when the extracts were added to walnut, the lipid stability was improv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 of Camellia Sinensis and Lycii Fructus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Ganoderma lucidum.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rank order Lycii Fructus$gt;Camellia Sinensis$gt;Ganoderma lucidum. 2. This clearly suggests that water extract of Lycii Fructus at 4℃ Bx level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natural antioxidant for the lipid stability of walnut.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