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acculturation on the well-being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769
  • DOIhttps://doi.org/10.14328/MES.2014.09.30.1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과 안녕감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2년 5월 12일에서 8월 말까지 약 4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8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18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응, 자아탄력성, 교사지지, 가족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지지, 가족지지, 자아탄력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문화적응과 안녕감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의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친구지지, 가족지지, 자아탄력성의 제고를 통해 문화적응을 향상시키는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multicultural children's sense of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grade 3-6) and middle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The survey was conducted May 12, 2012 to August. 58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51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wellbeing were acculturation(cultural adaptation), self-resilience, teachers’ support, family support in order and the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were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self-resilience in order. And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acculturation and a sense of well-being.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child's sense of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ulturation by enhancing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ego- resilience.

저자
  • 이주영(장안대학교 외래강사) | Lee, Ju-young
  • 이미애(한세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 Lee, Mi-ea
  • 문재우(한세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 Moon, Jae Woo 교신저자